r1
r1

(새 문서)
1{{좌표|36|15|N|128|45|E|display=title}}
2{{대한민국 도 정보
3|이름 = 경상북도
4|한자 = 慶尙北道
5|면적 = 19,031.42
6|세대 = 1,227,548
7|세대년도 = 2019
8|인구 = 2,635,563
9|인구년도 = 2021<ref name="pop">{{웹 인용 |제목=2021년 3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10|인구밀도 = 144.24
11|시 = 10
12|군 = 13
13|도지사 = [[이철우 (1955년)|이철우]] ([[국민의힘]])
14|도청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15|홈페이지 = http://www.gb.go.kr/
16|도목 = [[느티나무]]
17|도화 = [[백일홍]]
18|도조 = [[왜가리]]
19|도어 = [[홍감펭]]
20}}
21
22'''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대한민국의 도|도]]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으로 [[전라북도]]·[[충청북도]], 남쪽으로 [[대구광역시]]를 둘러싸며 [[울산광역시]]·[[경상남도]]와 접하고, 북쪽은 [[강원도 (남)|강원도]]와 경계를 이룬다. 행정구역은 10[[시 (행정 구역)|시]] 13[[대한민국의 군|군]]이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중 관할 면적이 가장 넓다. [[경상북도청]] 소재지는 [[안동시]] [[풍천면]]이다.
23
24고대 서울이었던 [[경주시|경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 유적과 유물이 남아있으며, [[신라]]와 [[고려]]시대에 축조된 산성과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있다. 경상북도는 신라시대의 [[화랑도]]가 탄생한 곳이자, 고려시대 [[고려-거란 전쟁|거란 침입]] 당시 [[고려대장경#초조대장경|초조대장경]]을 보관하던 호국 정신의 중심지였으며, [[고려-몽골 전쟁|몽고 침입]] 당시에는 [[팔공산]]을 중심으로 군사적 요충지의 역할을 맡았다. [[조선]]시대에는 [[선비]] 문화가 발달한 곳이자 [[유교|유학]]의 본고장으로서 43개의 [[향교]]를 비롯하여 수많은 유림(儒林)을 양성하였고, [[이황|퇴계 이황]], [[조식 (1501년)|남명 조식]], [[장현광|여헌 장현광]], [[류성룡|서애 류성룡]], [[김성일 (1538년)|학봉 김성일]] 등의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며 [[영남학파]]를 형성하였다.
25
26[[경상북도청]] 소재지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이며, 도 내 최대도시는 [[포항시]]다. [[포항시]]에 환동해지역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27
28== 역사 ==
29{{본문|경상북도의 역사}}
30{{참고|경상도|설명=1896년 이전의 역사는}}
31{{참고|경상북도 (일제 강점기)|설명=일제 강점기의 역사는}}
32*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동래부(東萊府)]], [[23부제#대구부(大邱府)]], [[23부제#안동부(安東府)]] 실시.
33*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라 부르게 되고 경상북도의 수부(首府)는 [[대구부]]에 두었다.<ref>칙령 제36호 [[:s:고종실록 33년 8월#8월 4일|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ref>
34* [[1914년]] [[3월 1일]] 아래 표와 같이 부·군을 통폐합하였다.
35{|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5%;"
36|-
37! width="100" | 부·군 !! 위치 !! 관할 구역
38|-
39| style="text-align:center;" | [[대구부]]
40| style="text-align:center;" | 대구
41| 대구부 대구면(신천동, 신암동, 남산동 일부, 신동 일부를 제외) 일원
42|-
43| style="text-align:center;" | [[달성군]]
44| style="text-align:center;" | 대구
45| 현풍군 일원<br />대구부 동중면, 동하면, 해동촌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해북촌면,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상수남면, 하수남면, 상수서면, 하수서면, 서중면, 원서면, 성서면, 하동면, 하남면, 하서면, 하북면, 감물천면, 조엄면, 인흥면, 화현내면, 월배면, 옥포면, 법화면, 성평곡면, 대구면 중 대구부에 속하지 않는 지역
46|-
47| style="text-align:center;" | [[경산군]]
48| style="text-align:center;" | 경산
49| 경산군 일원<br />자인군 일원<br />하양군 일원
50|-
51| style="text-align:center;" | [[영천군]]
52| style="text-align:center;" | 영천
53| 영천군 일원<br />신녕군 일원
54|-
55| style="text-align:center;" | [[경주군]]
56| style="text-align:center;" | 경주
57| 경주군 일원<br />장기군 내남면, 양남면
58|-
59| style="text-align:center;" | [[영일군]]
60| style="text-align:center;" | 포항
61| 연일군 일원<br />흥해군 일원<br />청하군 일원<br />장기군(내남면, 양남면을 제외) 일원
62|-
63| style="text-align:center;" | [[영덕군]]
64| style="text-align:center;" | 영덕
65| 영덕군 일원<br />영해군 일원
66|-
67| style="text-align:center;" | [[영양군]]
68| style="text-align:center;" | 영양
69| 영양군 일원<br />진보군 동면, 북면
70|-
71| style="text-align:center;" | [[청송군]]
72| style="text-align:center;" | 청송
73| 청송군 일원<br />진보군(동면, 북면을 제외) 일원
74|-
75| style="text-align:center;" | [[안동군]]
76| style="text-align:center;" | 안동
77| 안동군 일원<br />예안군 일원
78|-
79| style="text-align:center;" | [[의성군]]
80| style="text-align:center;" | 의성
81| 의성군 일원<br />비안군(현서면을 제외) 일원<br />용궁군 신하면
82|-
83| style="text-align:center;" | [[군위군]]
84| style="text-align:center;" | 군위
85| 의흥군 일원<br />군위군 일원
86|-
87| style="text-align:center;" | [[칠곡군]]
88| style="text-align:center;" | 왜관
89| 칠곡군 일원<br />인동군 일원
90|-
91| style="text-align:center;" | [[김천군]]
92| style="text-align:center;" | 김천
93| 김산군 일원<br />지례군 일원<br />개령군 일원<br />성주군 신곡면
94|-
95| style="text-align:center;" | [[상주군]]
96| style="text-align:center;" | 상주
97| 상주군(공서면 웅북리를 제외) 일원<br />함창군 일원
98|-
99| style="text-align:center;" | [[예천군]]
100| style="text-align:center;" | 예천
101| 용궁군(신하면, 서면을 제외) 일원<br />예천군 일원<br />비안군 현서면
102|-
103| style="text-align:center;" | [[영주군]]
104| style="text-align:center;" | 영천
105| 풍기군 일원<br />영천군 일원<br />순흥군(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제외) 일원
106|-
107| style="text-align:center;" | [[봉화군]]
108| style="text-align:center;" | 내성
109| 봉화군 일원<br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
110|-
111| style="text-align:center;" | [[문경군]]
112| style="text-align:center;" | 문경
113| 문경군 일원<br />용궁군 서면
114|-
115| style="text-align:center;" | [[성주군]]
116| style="text-align:center;" | 성주
117| 성주군(신곡면을 제외) 일원
118|-
119| style="text-align:center;" | [[고령군]]
120| style="text-align:center;" | 고령
121| 고령군 일원
122|-
123| style="text-align:center;" | [[청도군]]
124| style="text-align:center;" | 청도
125| 청도군 일원
126|-
127| style="text-align:center;" | [[선산군]]
128| style="text-align:center;" | 선산
129| 선산군 일원
130|-
131| style="text-align:center;" | [[울도군]]
132| style="text-align:center;" | 울도
133| 경상남도 울도군 일원
134|}
135* [[1915년]] 울도군을 [[울릉도]]로 개칭하였다.
136* [[1949년]] [[8월 14일]] [[영일군]] 포항읍, [[김천군]] 김천읍이 각각 [[포항부]], [[김천부]]로 승격되었고, 김천군을 [[금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37* 1949년 [[8월 15일]] 대구부를 [[대구시]]로, 포항부를 [[포항시]]로, 김천부를 [[김천시]]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38* [[1955년]] [[9월 1일]] 경주군 경주읍, 내동면이 [[경주시]]로 승격되었고, 경주읍, 내동면을 제외한 나머지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39* [[1962년]] [[12월 12일]] [[강원도 (남)|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
140* [[1963년]] [[1월 1일]]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141* [[1978년]] [[2월 15일]] 선산군 구미읍이 [[구미시]]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칠곡군]] 인동면을 구미시로 편입하였다.
142* [[1980년]] [[4월 1일]] 영주군 영주읍이 [[영주시]]로 승격되었다. 영주읍을 제외한 나머지 영주군은 영풍군으로 개칭되었다.
143*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고, 영천군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고산면과 [[칠곡군]] 칠곡읍과 달성군 공산면, 성서읍, 월배읍이 대구직할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144* [[1983년]] [[2월 15일]] 칠곡군 북삼면 오태동이 [[구미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145* [[1986년]] [[1월 1일]] [[상주군]] 상주읍이 [[상주시]]로, [[문경군]] 점촌읍이 [[점촌시]]로 승격되었다.
146* [[1988년]] 경상북도의 모든 군에 있는 동을 리로 일괄 개칭하였다.
147* [[1989년]] [[1월 1일]] 경산군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월성군을 경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48*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김천시와 금릉군이, 경주시와 경주군이, 안동시와 안동군이, 구미시와 선산군이, 영주시와 영풍군이, 영천시와 영천군이, 상주시와 상주군이, 점촌시와 문경군이(문경시),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로 개편되었다.
149* [[1995년]] [[3월 1일]]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다.
150* [[2008년]] [[6월 8일]] 경상북도청 이전 예정지가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로 결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 '안동.예천' 결정(종합) |url = 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080608200015009&cp=yonhap |출판사 = 연합뉴스 |날짜 = 2008-06-08}}</ref>
151* [[2016년]] [[2월 22일]] [[대구광역시]] [[산격동]]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의 [[경상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huffingtonpost.kr/2016/02/15/story_n_9234492.html|title=도로망 구축 10조 원, 경북도청 신청사 지역의 위용(사진)|publisher=Huffington Post|date=2016-02-15|accessdate=2016-02-23}}</ref>
152
153== 자연 ==
154=== 위치 ===
155[[한반도]]의 남동부를 차지하며, 북동부에 [[태백산맥]], 북서부는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였으며, [[낙동강]]의 중상류 부분을 차지한 경상북도는 북부에 [[강원도]], 서부는 [[충청북도]]와 [[전라북도]], 그리고 남부와 동부는 [[경상남도]]와 [[동해]]에 각각 인접하고 있다. 수리적 위치로는 [[울릉군]] 울릉읍 [[독도]]가 동경 131°52"로 경북의 동쪽 끝인 동시에 대한민국의 극동을 이루고, 서쪽 끝은 동경 127°148"인 [[상주시]] 화북면 홍리로서 동서단간의 경도차는 4°4"이다. 남쪽 끝은 [[청도군]] 청도읍 원동으로 북위 35°33"인데 남북단간의 위도차는 1°59"이다.
156
157==== 동부 지역 ====
158[[포항시]]를 중심으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은 동해안에 위치하고. [[울릉군]]은 동해상에 있다. <br /> 울진은 [[강원도]] 영동지방, 경주는 [[울주]]과 접한다.
159
160==== 중서부 지역 ====
161[[구미시]]를 중심으로 [[상주시]], [[김천시]], [[문경시]], [[군위군]]가 경북의 서부이다.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충청북도]] 중남부 지역과 접한다.
162
163==== 남부 지역 ====
164[[경산시|경산]], [[영천]], [[청도]], [[칠곡군|칠곡]], [[고령]], [[성주]]가 경북의 남부에 속한다.
165
166==== 북부 지역 ====
167[[안동]]을 중심으로 [[영주]], [[의성]], [[예천]], [[봉화]], [[영양군|영양]], [[청송]]이 경북 북부이다. 경북 북부는 주로 산악 지형이 많다.
168
169=== 지질 ===
170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경상계 지질구로 [[한반도]]에서도 가장 [[중생대]] [[지층]]이 넓게 발달되어 있는 지역이며, 이들 지층은 주로 [[중생대]] [[쥐라기]]의 극심한 지각변동 후에 형성된 [[퇴적암]]층으로 대체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한편 [[낙동강]] 하류에는 그 이후에 분출 형성된 [[화산암]]층이 곳곳에 분포하여 비교적 장년기적 지세를 나타낸다.
171
172경북의 북부지방인 [[문경시|문경]]에서 [[울진군|울진]]에 이르는 일대에는 [[무연탄]]과 [[석회암]]을 부존(賦存)하고 있는 고생계가 있어 지하자원뿐만 아니라 [[석회동굴]] 등의 관광적인 면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영일만]] 부근에는 한반도에서는 흔하지 않은 [[삼기층]]이 분포하여 [[갈탄]]을 생산하며 한때 유징(油徵)을 보인 일까지 있다.
173
174동해의 고도인 [[울릉도]]와 [[독도]]는 [[제주도]]와 함께 제3기와 제4기에 용암분출을 한 화산섬이며, 주위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여 절경을 이루고 울릉도의 [[나리분지]]는 화구에 해당된다.
175
176=== 지형 ===
177[[강원도]]에서 남하한 [[태백산맥]]은 이 지방에 들어서면서 그 지세가 차차 약화되어 낮은 산지로 바뀌어 [[형산강 지구대]] 부근에 이르러서는 산발적인 [[구릉]]지로 변한다. 한편, [[태백산]] 부근에서 분기된 [[소백산맥]]은 [[소백산]](1,421m)·[[연화봉]](1,394m)·[[도솔봉]](1,314m)·[[문수봉]](1,162m)·[[백화산 (충북 괴산/경북 문경)|백화산]](1,064m)·[[속리산]](1,057m)·[[민주지산]](1,242m)·[[가야산]](1,430m) 등의 명산과, [[죽령]](689m)·[[조령]](새재, 642m)·[[이화령]](548m)·[[추풍령]](548m) 등의 큰 재를 만들면서 호남 및 호서지방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산지가 주로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만장년기 지형으로 침식에 저항이 강하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맥을 이룬다.
178
179이 밖에도 전술한 [[낙동강]] 하류 일대의 [[중생대]] 말기에 분출한 [[화산암]]의 [[팔공산]](1,192m)·[[운문산]](1,200m) 등은 침식기간이 짧아 험준한 산세를 나타내고 있다. 낙동강은 본도의 대부분을 유역화하고 있으며 [[안동]]·[[영주]]·[[예천]]·[[상주]]·선산 등의 많은 침식분지를 만들고 내성천·반변천·감천·대가천·[[금호강]] 등의 많은 지류를 모아 경상남도으로 흘러 들어간다. [[형산강]]은 [[경주분지]]와 [[안강평야]]를 거쳐 [[지구대]] 속을 흘러 [[영일만]]으로 유입한다. 한편 굽이 흐르는 [[낙동강]] 상류의 하곡 저지와 북·서·동북의 산록면에는 간헐적인 충적지와 작은 구릉이 기복한 침식평야가 분포한다. 해안선은 [[장기곶]]을 제외하고는 매우 단조한 편이며 일부에 해안단구(海岸段丘) 곳곳에 사빈해안이 발달하여 임해 휴양지로서도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180
181=== 기후 ===
182경상북도의 대부분 대한민국 남부 내륙형의 기후로서 여름에는 상당히 덥고, 겨울에는 온난하다. 동해안 지방은 해류와 산맥의 영향으로 내륙보다 따뜻하다. 연평균 기온은 11~13도, 1월 평균 기온은 동해안 지방이 0.6~0.8도이고, [[영천시|영천]] 등 남부지방은 -1.6~-2.2도, [[영주시|영주]]·[[문경시|문경]]·[[청송군|청송]] 등 북부 내륙지방은 -4.0~-4.2 로 가장 춥다. 8월 평균 기온은 24.9~26.9도로 남부 내륙은 높고 동해안 지방은 낮은 편이다. 연 강수량은 900~1,100mm로 [[영천시|영천]]·[[청송군|청송]]·길안 등 내륙지방이 비가 가장 적고, [[영주시|영주]]·[[경산시|경산]]·[[청도군|청도]]·[[고령군|고령]] 등은 1,000~1,100mm이다. [[울릉도]]는 반도부와는 달리 해양성 기후로서 온난 다습하여 연강수량이 1,700mm에 달하며 대한민국 최다우 지역의 하나를 이룬다. 특히 겨울철에 강설량이 많아 눈의 피해가 크며, 가옥구조도 특이하다. 이 섬에는 [[동백꽃]]을 비롯하여 해양성 기후의 지표식물인 [[너도밤나무]]가 자란다.
183
184== 행정 구역 ==
185{{본문|경상북도의 행정 구역}}
186[[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로 독립 승격되어, 현재 경상북도에는 10개의 시와 13개의 군이 있다. [[달성군]]의 경우 [[1995년]] [[3월 1일]] 부로 [[대구광역시]]에 이관되었다. 인구는 2,715,085명이고 남녀 성비는 현재 0.99로 여자가 약간 더 많다. 도내 시군별 남녀 성비는 [[울릉군]] (1.11)이 가장 높고, [[칠곡군]] (1.06), [[성주군]] (1.04), [[고령군]] (1.04), [[구미시]] (1.04), [[포항시]] (1.03), [[경산시]] (1.02), [[군위군]] (1.01), [[영천시]] (1.01), [[경주시]] (1.00), [[봉화군]] (1.00), [[영주시]] (0.99), [[김천시]] (0.99), [[안동시]] (0.98), [[예천군]] (0.98), [[청송군]] (0.98), [[영양군]] (0.97), [[문경시]] (0.97), [[상주시]] (0.97), [[울진군]] (0.97), [[의성군]] (0.96), [[청도군]] (0.95), [[영덕군]] (0.9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187[[파일:Gyeongb-map.png|섬네일|대체글=|510x510픽셀]]
188{|class="wikitable sortable"
189|+행정구역 면적 및 인구 통계 (2020기준)<ref name="Gyeongbuk%20area">(2007년) [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A11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5%E4%C1%F6%20%B9%D7%20%B1%E2%C8%C4%20%3E%20%C7%E0%C1%A4%B1%B8%BF%AA 통계작성 기관별 > 경상북도 > 경상북도기본통계 > 토지 및 기후 > 행정구역 > 행정구역] {{웨이백|url=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A11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5%E4%C1%F6%20%B9%D7%20%B1%E2%C8%C4%20%3E%20%C7%E0%C1%A4%B1%B8%BF%AA |date=20200511103131 }} 경상북도청</ref><ref name="Gyeongbuk%20population">(2007년) [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022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0%CE%B1%B8%20%3E%20%BD%C3%B1%BA%BA%B0%20%BC%BC%B4%EB%20%B9%D7%20%C0%CE%B1%B8 통계작성 기관별 > 경상북도 > 경상북도기본통계 > 인구 >... > 시군별 세대 및 인구(주민등록) ] 경상북도청</ref>
190!이름 !! 한자 !! 면적 !! 인구 (명) !! 세대
191|-
192|style="background: #f9f9c9;" | '''[[포항시]]''' || 浦項市 || 1,128 || 503,649 || 218,011
193|-
194|style="background: #f9f9c9;" | '''[[경주시]]''' || 慶州市 || 1,324 || 253,415 || 116,978
195|-
196|style="background: #f9f9c9;" | '''[[김천시]]''' || 金泉市 || 1,009 || 140,197 || 64,499
197|-
198|style="background: #f9f9c9;" | '''[[안동시]]''' || 安東市 || 1,521 || 158,984 || 74,104
199|-
200|style="background: #f9f9c9;" | '''[[구미시]]''' || 龜尾市 || 616 || 417,679 || 174,438
201|-
202|style="background: #f9f9c9;" | '''[[영주시]]''' || 榮州市 || 669 || 104,336 || 48,517
203|-
204|style="background: #f9f9c9;" | '''[[영천시]]''' || 永川市 || 920 || 101,417 ||50,688
205|-
206|style="background: #f9f9c9;" | '''[[상주시]]''' || 尙州市 || 1,255 || 99,093 || 47,893
207|-
208|style="background: #f9f9c9;" | '''[[문경시]]''' || 聞慶市 || 911 || 71,325 || 35,003
209|-
210|style="background: #f9f9c9;" | '''[[경산시]]''' || 慶山市 || 412 || 261,438 || 114,141
211|-
212|'''[[군위군]]''' || 軍威郡 || 614 || 23,655 || 12,797
213|-
214|'''[[의성군]]''' || 義城郡 || 1,176 || 52,154 || 27,769
215|-
216|'''[[청송군]]''' || 靑松郡 || 843 || 25,251 || 13,722
217|-
218|'''[[영양군]]''' || 英陽郡 || 815 || 16,280 || 8,793
219|-
220|'''[[영덕군]]''' || 盈德郡 || 741 || 36,875 || 19,730
221|-
222|'''[[청도군]]''' || 淸道郡 || 697 || 42,608 || 22,210
223|-
224|'''[[고령군]]''' || 高靈郡 || 384 || 32,067 || 16,029
225|-
226|'''[[성주군]]''' || 星州郡 || 616 || 43,655 || 22,643
227|-
228|'''[[칠곡군]]''' || 漆谷郡 || 451 || 115,809 || 51,764
229|-
230|'''[[예천군]]''' || 醴泉郡 || 661 || 54,871 || 26,231
231|-
232|'''[[봉화군]]''' || 奉化郡 || 1,201 || 31,714 || 16,396
233|-
234|'''[[울진군]]''' || 蔚珍郡 || 989 || 48,873 || 24,910
235|-
236|'''[[울릉군]]''' || 鬱陵郡 || 73 || 9,355 || 5,243
237|-
238! 경상북도 !! 慶尙北道 !! 19,026.06 !! 2,645,240 !! 1,212,509
239|}
240
241=== 경상북도지사 ===
242{{본문|경상북도지사}}
243=== 일제 치하 경북 ===
244{{본문|경상북도 (일제 강점기)}}
245{{참고|경상북도의 역사|경상도|설명=시대별 경상북도의 역사에 대해서는}}
246[[조선 고종]] 32년([[1895년]]) [[5월 26일]]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하였다. 고종 33년(고종 건양 원년, [[1896년]]) 8월 4일 지방제도를 [[23부]]에서 [[13도]]로 다시 개편하였다. [[대한제국]]([[1896년]] ~ [[1910년]]) 및 [[일제 강점기]]([[1910년]] ~ [[1945년]])에도 이때 개편된 지방제도는 그대로 이어졌다. 현재와 비교하면 [[울진군]]이 [[강원도의 행정 구역|강원도]]에서 [[경상북도의 행정 구역|경상북도]]로 편입되었고, [[대구광역시]]가 분리된 것이 차이점이다.
247
248=== 독도 ===
249{{참고|울릉군|울릉읍|설명=독도 외의 정보에 대해서는}}
250[[독도]]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라는 행정구역을 가지고 있다. 경상북도의 행정력이 미치는 지역이고, 독도의 경비는 [[경상북도경찰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에서는 이 섬을 대한민국의 최동단 영토로 보며 한편 일본에서는 시마네 현 오키 군 오키노시마 정으로 주장하고 있다.
251
252=== 없어진 행정구역 ===
253* [[대구부 (1910년)|대구부]]
254* [[금릉군]]
255* [[문경군]]
256* [[선산군]]
257* [[순흥군]]
258* [[연일군]]
259* [[영일군]]
260* [[영천군]]
261* [[예안군]]
262* [[의흥군]]
263* [[인동군]]
264* [[장기군]]
265* [[점촌시]]
266* [[진보군]]
267* [[청하군]]
268* [[풍기군]]
269* [[평해군]]
270* [[하양군]]
271* [[함창군]]
272* [[현풍군]]
273* [[흥해군]]
274* [[안동군]]
275* [[영해군]]
276* [[자인군]]
277* [[우시군]]
278* [[유린군]]
279* [[장산군]]
280* [[화왕군]]
281* [[밀성군]]
282* [[퇴화군]]
283* [[문소군]]
284* [[보성군]]
285* [[경주부]]
286* [[의창군]]
287* [[용궁군]]
288* [[비안군]]
289* [[성산군]]
290* [[급산군]]
291* [[급벌산군]]
292* [[숭선군]]
293* [[화의군]]
294* [[김산군]]
295* [[지례군]]
296* [[개령군]]
297
298== 인구 ==
299=== 연도별 인구 ===
300경상북도(에 해당하는 지역, 대구시/달성군 및 대구광역시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ref>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ref><ref>[http://27.101.213.4/index.jsp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ref>
301
302{| class="wikitable"
303|-
304!연도||총인구||인구그래프||비고
305|-
306|[[1925년]]||2,293,285명||{{새막대|청|229.3}}||
307|-
308|[[1930년]]||2,471,059명||{{새막대|청|247.1}}||
309|-
310|[[1935년]]||2,506,092명||{{새막대|청|250.6}}||
311|-
312|[[1940년]]||2,444,295명||{{새막대|청|244.4}}||
313|-
314|[[1945년]]||2,661,094명||{{새막대|청|266.1}}||
315|-
316|[[1950년]]||3,220,342명||{{새막대|청|322.0}}||
317|-
318|[[1955년]]||3,360,859명||{{새막대|청|336.1}}||
319|-
320|[[1960년]]||3,847,290명||{{새막대|청|384.7}}||
321|-
322|[[1965년]]||4,389,703명||{{새막대|청|439.0}}||
323|-
324|[[1970년]]||4,558,186명||{{새막대|청|455.8}}||
325|-
326|[[1975년]]||4,855,185명||{{새막대|청|485.5}}||
327|-
328|[[1980년]]||4,950,310명||{{새막대|청|495.0}}||
329|-
330|[[1985년]]||3,014,712명||{{새막대|청|301.5}}|| [[1981년]]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감소
331|-
332|[[1990년]]||2,861,894명||{{새막대|청|286.2}}||
333|-
334|[[1995년]]||2,673,325명||{{새막대|청|267.3}}||
335|-
336|[[2000년]]||2,715,835명||{{새막대|청|271.6}}||
337|-
338|[[2005년]]||2,594,900명||{{새막대|청|259.5}}||
339|-
340|[[2008년]]||2,679,640명||{{새막대|청|268.0}}||
341|-
342|[[2009년]]||2,672,528명||{{새막대|청|267.3}}||
343|-
344|[[2010년]]||2,668,403명||{{새막대|청|266.8}}||
345|-
346|[[2011년]]||2,688,586명||{{새막대|청|268.9}}||
347|-
348|[[2012년]]||2,697,104명||{{새막대|청|269.7}}||
349|-
350|[[2013년]]||2,698,263명||{{새막대|청|269.8}}||
351|-
352|[[2014년]]||2,698,306명||{{새막대|청|269.8}}||
353|-
354|[[2015년]]||2,699,275명||{{새막대|청|269.9}}||
355|-
356|[[2016년]]||2,701,160명||{{새막대|청|270.1}}||
357|-
358|[[2017년]]||2,698,803명||{{새막대|청|269.9}}||
359|-
360|[[2018년]]||2,688,747명||{{새막대|청|268.9}}||
361|-
362|[[2019년]]||2,674,005명||{{새막대|청|267.4}}||
363|-
364|[[2020년]]||2,662,508명||{{새막대|적|266.3}}||
365|-
366|}
367
368=== 연령별 인구 ===
369{| class="wikitable"
370|-
371!구분||인구<br/>(2010년)||인구<br/>(2013년)||증감치
372|- align=center
373!유년인구<br/>(0~14세)
374|393,326명 || 360,699명 || 감소<br/>(32,627명)
375|- align=center
376!경제활동인구<br/>(15~64세)
377|1,877,736명 || 1,886,324명 || 증가<br/>(8.588명)
378|- align=center
379!노년인구<br/>(65세 이상)
380|418,858명 || 452,417명 || 증가<br/>(33,359명)
381|}
382
383== 교통 ==
384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교통이 가장 편리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경부선]], [[중앙선]], [[동해선]], [[대구선]], [[영동선]], [[경북선]] 등의 철도가 경상북도를 지나며 경상북도의 남부에 있는 [[대구광역시]]와 [[포항시]]([[포항역]]), [[경주시]]([[신경주역]]), [[김천시]]([[김천(구미)역]]) 통한 [[한국고속철도|KTX]]로 이용도 편리하다.
385
386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가 통과한다.
387
388[[대구광역시]]의 [[대구국제공항]]과 [[포항시]]의 [[포항공항]]을 통해 항공편도 이용할 수 있다. [[포항시|포항]], [[안동시|안동]]은 도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속하고 [[영주시|영주]], [[김천시|김천]], [[경주시|경주]], [[영천시|영천]]은 철도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389
390경상북도에서 가장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 불렸던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등의 내륙 지역은 고속도로가 없었고 도로 사정이 나빴다. 그래서 이곳에서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이후 [[2016년]] [[12월 26일]]에 [[당진영덕고속도로|상주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접근성이 편리해졌다.
391
392[[울릉군]]은 정기 여객선을 통해 [[포항시]] 및 [[강원도 (남)|강원도]] [[삼척시]] 등과 연결된다.
393
394== 스포츠 ==
395{|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396|- style="border-bottom:solid 2px
397|- bgcolor="#efefef"
398|리그명 || 팀명 || 창단연도 || 홈 경기장
399|-
400|rowspan="2"|[[K리그1]] || [[포항 스틸러스]] || [[1973년]] || [[포항스틸야드]]
401|-
402|[[김천 상무 FC]] || [[1984년]] || [[김천종합운동장]]
403|-
404|[[K3리그]]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 [[1945년]] || [[경주시민운동장]]
405|-
406|[[V-리그 (대한민국)|V-리그]] (여)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1970년]] || [[김천실내체육관]]
407|}
408
409== 문화 ==
410[[파일:Daegu Yeongdeok crab.jpg|섬네일|영덕 대게]]
411[[파일:Korean cuisine-Gwamegi-01.jpg|섬네일|포항 구룡포 과메기]]
412[[파일:Dried Kaki Fruit.jpg|섬네일|상주 곶감]]
413[[파일:Korean.food-Andong-Jjimdakk.jpg|섬네일|안동찜닭]]
414=== 음식 ===
415* '''[[대게|울진, 영덕 대게]]'''
416울진, 영덕의 대게는 경북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갑각은 나비 13~15&nbsp;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 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417
418* '''[[과메기|포항 구룡포 과메기]]'''
419과메기는 한국 요리 중 하나로, 청어 또는 꽁치를 겨울동안 반건조 시킨 음식이다. 특히 경상북도 지방에서 많이 먹었으며, 그중에서도 청어나 꽁치가 많이 잡히는 포항, 울진, 영덕 등의 지방에서 과메기를 많이 먹었다. 이 중 포항의 구룡포가 가장 유명하다. 대체로 고추장(혹은 초장)에 찍어먹거나 쌈과 함께 싸먹기도 한다.
420
421본래 청어를 이용해 만들었으나 그 수가 줄자 1960년대부터 꽁치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근래에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나 일본 홋카이도 근해에서 잡힌 꽁치를 많이 이용한다.[4] 포항시에서는 매년 향토음식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과메기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422
423* '''[[안동찜닭]]'''
424안동찜닭은 닭과 채소를 이용한 찜류의 요리로서, 경상북도 안동에서 기원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찜닭은 고온에서 조리되기 때문에 지방이 적으며, 기호에 따라 여러가지 재료를 넣을 수 있어 다양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격에 비해 푸짐한 양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노동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안동찜닭은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데, 닭에 함유된 풍부한 단백질과 다양한 채소에 함유된 비타민을 섭취할 수 있다.
425
426* '''상주 곶감'''
427상주 [[곶감]]은 삼백의 고장 상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특산물로 전국 곶감 생산량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상주시의 대표적인 농산물이다.
428
429* '''성주 참외'''
430성주 [[참외]]는 경북 성주군의 지리적인 장점인 4대강의 하나인 낙동강을 끼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연안의 넓은 평야와 수자원이 많아 깨끗한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성주 땅은 미사질 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비옥하며, 배수가 양호하여 참외 재배의 적지라고 할 수 있다. 전국 참외 생산량의 70%를 성주 참외가 책임지고 있다.
431
432=== 축제 ===
433{{본문|틀:경상북도의 축제}}
434
435=== 사찰 ===
436{{본문|경상북도의 사찰 목록}}
437* [[불국사]] ([[경주시]])
438* [[분황사]] ([[경주시]])
439* [[부석사]] ([[영주시]])
440* [[봉정사]] ([[안동시]])
441* [[고운사]] ([[의성군]])
442* [[직지사]] ([[김천시]])
443* [[만불사]] ([[영천시]])
444* [[은해사]] ([[영천시]])
445* [[석굴암]] ([[경주시]])
446
447=== 방언 ===
448경상북도에서는 [[동남 방언]]을 사용한다.
449
450=== [[유네스코]] (UNESCO)등록 세계문화유산 ===
451{|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left: 5px; "
452|- style="background-color: #cccccc;"
453! 이름
454! 사진
455! 소재지
456! 제작시기
457! 유네스코 지정번호 (지정일)
458! 설명
459|-
460| [[불국사]]와 [[석굴암]]
461| [[파일:Seokguram Buddha.JPG|100px]]
462| [[경주시|경상북도 경주시]] || [[신라시대]] || [http://whc.unesco.org/en/list/736 736] (1995년)
463| <!--설명-->
464|-
465| [[경주역사유적지구]]
466| [[파일:Bifyu 9.jpg|100px]]
467| [[경주시|경상북도 경주시]] || [[신라시대]] || [http://whc.unesco.org/en/list/976 976] (2000년)
468|<!--설명-->
469|-
470| [[하회마을|하회]]·[[양동마을|양동 역사마을]]
471| [[파일:Korea-Andong-Hahoe.Village-02.jpg|100px]]
472| [[안동시|경상북도 안동시]]<br /> [[경주시|경상북도 경주시]] |||| [http://whc.unesco.org/en/list/1324 1324] (2010년)
473| <!--설명-->
474|}
475
476=== 경상북도의 문화재 ===
477*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478*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479* [[경상북도의 기념물]]
480*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481*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482
483=== 관광 ===
484[[경주시]]는 [[불국사]], [[석굴암]], [[보문단지]], [[문무왕릉]] 등의 왕릉, 김유신묘와 같은 공신묘 등 둘러볼 유적지가 많다. 안동에는 [[도산서원]]과 [[하회마을]] 등이 볼거리이고, 영주에는 [[부석사 (영주시)|부석사]]가, 고령에는 [[지산동 고분군]] 등이 있다.
485
486=== 호텔 ===
4872012년 기준으로 호텔 수는 49개, 객실 수는 4,351개가 있다. 나머지 시군별 지역에 [[경주시]]는 호텔 수 13개, 객실 수는 2,097개가 높았다.
488
489== 역대 도지사 ==
490
491{{참고|경상북도지사}}
492
493== 자매 결연 ==
494* {{국기나라|미국}} [[오하이오주]] ([[1984년]] [[12월 5일]])
495* {{국기나라|중국}} [[허난성]] ([[1995년]] [[10월 23일]])
496* {{국기나라|러시아}} [[이르쿠츠크주]] ([[1996년]] [[9월 10일]])
497* {{국기나라|남아프리카 공화국}} [[노스웨스트주]] ([[1998년]] [[9월 16일]])
498* {{국기나라|프랑스}} [[알자스]] ([[1999년]] [[4월 27일]])
499* {{국기나라|터키}} [[부르사주]] ([[2001년]] [[3월 19일]])
500* {{국기나라|베트남}} [[타이응우옌성]] ([[2005년]] [[2월 21일]])
501* {{국기나라|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특별주]] ([[2005년]] [[2월 24일]])
502* {{국기나라|스페인}} [[카스티야이레온 지방]] ([[2005년]] [[11월 8일]])
503* {{국기나라|중국}} [[산시성 (섬서성)|산시성]] ([[2013년]] [[4월 5일]])
504* {{국기나라|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2018년]] [[11월 8일]])
505* {{국기나라|중국}} [[후난성]] ([[2018년]] [[11월 29일]])
506
507=== 과거 자매 결연 ===
508* {{국기나라|일본}} [[시마네현]] ([[1989년]] [[10월 6일]] ~ [[2005년]] [[3월 16일]]): 경상북도는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제정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2005년 3월 16일을 기해 시마네현과의 자매 결연을 철회했다.
509
510== 교육 ==
511{{참고|경상북도교육청}}
512
513=== 대학교 · 전문대학 ===
514==== [[안동시]] ====
515* [[안동대학교]] - [[용상동|송천동]]
516* [[가톨릭상지대학교]] - [[중구동|율세동]]
517* [[안동과학대학교]] - [[서후면]] 교리
518
519== 같이 보기 ==
520* [[경상북도청]]
521
522== 각주 ==
523{{각주}}
524{{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525
526== 외부 링크 ==
527{{위키공용분류}}
528* [http://www.gyeongbuk.go.kr/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529
530{{대한민국}}
531{{경상북도}}
532
533{{전거 통제}}
534
535[[분류:한국의 지역]]
536[[분류:경상도]]
537[[분류:경상북도| ]]
538[[분류:1896년 설치]]
539[[분류:대구광역시]]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