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r21 vs r25
11
[include(틀:남북관계)]
22
||<-2><tablewidth=450><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84c9><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84c9><color=#fff> '''{{{+1 공동경비구역}}}'''[br]共同警備區域[br]Joint Security Area ||
3
||<|2><colbgcolor=#0084c9><colcolor=#fff><width=90> '''위치''' ||{{{#!wiki style="vertical-align: sub; 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5)"
4
[[파일:대한민국 국기.jpg|width=25]]}}}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
5
||[[파일:북한 국기.jpg|width=25]] 개성시 판문구역 ||
6
|| '''특징''' ||비무장지대 ||
3
||<|2><colbgcolor=#0084c9><colcolor=#fff><width=90> '''위치'''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 sub; 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5)"
4
[[파일:대한민국 국기.jpg|width=25]]}}}]]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파일:북한 국기.jpg|width=25]]]] 개성시 판문구역 ||
6
|| '''특징''' ||[[비무장지대]] ||
77
|| '''생성''' ||1953년 ||
8
|| '''소유자''' ||유엔[br]대한민국[br]북한 ||
9
|| '''주둔''' ||파일:태극기.jpg JSA 경비대대[br]파일:북한 국기.jpg 조선인민군 경비대대 ||
8
|| '''소유자''' ||[[유엔]][br][[대한민국]][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
|| '''주둔''' ||[[파일:태극기.jpg|width=20px]]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JSA 경비대대]][br][[파일:북한 국기.jpg|width=20px]] 조선인민군 경비대대 ||
1010
[목차]
1111
== 개요 ==
12
공동경비구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비무장지대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지역으로,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에 위치한다.
12
공동경비구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비무장지대]]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지역으로,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에 위치한다.
1313
== 이름의 유래 ==
14
공동경비구역의 또 다른 이름은 판문점이다. 판문점의 원래 이름은 '널문리'였다. 널문리의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14
공동경비구역의 또 다른 이름은 [[판문점]]이다. 판문점의 원래 이름은 '널문리'였다. 널문리의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1515
1616
첫째는 마을에 널빤지로 만든 대문이 많았기 때문이라는 설이다.
1717
......
2323
2424
한국전쟁 휴전회담이 진행된 곳은 널문리의 한 이름 없는 가게 앞이었다. 회담에 참석하는 중공군 대표들이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회담 장소 앞에 있던 주막을 겸한 가게를 한자로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널문리의 가게라는 한자어, ‘판문점(板門店)’이다.
2525
== 역사 ==
26
공동경비구역은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협정으로 인해 판문점에 형성되었다. 협정에 따라 관련 업무를 소관할 유엔사령부 소속 군사정전위원회가 판문점에 설치되었고, 군사정전위원회 인근 지역을 유엔군과 조선인민군이 공동으로 경비하게 되었다. 때때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활용된다.
26
공동경비구역은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정전협정]]으로 인해 판문점에 형성되었다. 협정에 따라 관련 업무를 소관할 유엔사령부 소속 군사정전위원회가 판문점에 설치되었고, 군사정전위원회 인근 지역을 유엔군과 조선인민군이 공동으로 경비하게 되었다. 때때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활용된다.
2727
2828
군사정전위원회는 1953년 10월 제25차 본희의에서 군사정전위원회의 원만한 운영을 위해서 군사정전위원회 본부 구역에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유엔군 측과 공산군 측의 공동경비 구역을 설정하기로 합의했고, 이 합의에 따라 동서 800m, 남북 400m에 달하는 정방형의 공동경비구역이 만들어졌다.
2929
......
3131
3232
2004년 이후 공동경비구역의 경비 임무는 대한민국 국군에게 이양되었으나, 지휘통제권은 계속 유엔사령부가 가지고 있으므로, 주한미군과 중립국 감독위원회(스위스, 스웨덴 대표)도 주둔하고 있다.
3333
== 내부 시설 ==
34
=== 대한민국 측 ===
34
=== [[대한민국]] 측 ===
3535
* 자유의 집 : 우리측 건물인 자유의 집은 통일의 뜻을 북으로 날려보내는 마음을 표현한 방패연 모양을 하고 있다. 건물 양면의 곡선도 통일의 소망을 담아 두 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자유의 집은 1998년에 신축된 4층 건물로 1층에는 로비·기자실·편의시설, 2층에는 대기실·사무실·회의실(향후 우편물 교환소 등으로 활용), 3층에는 남북 연락사무소·남북 적십자 연락사무소·대회의실(향후 이산가족 면회실 등으로 활용), 4층에는 전망대와 다용도 공간이 위치하는 등 남북교류 활성화에 대비하도록 설계되어 연락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3636
3737
* 평화의 집 : 1989년 판문점에서의 남북 대화가 활발해질 것에 대비하여 판문점 내 우리측 회담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1992년 남북 연락사무소(남측)와 직통전화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1998년 ‘자유의 집’이 완공되면서 옮겨갔다. 평화의 집은 연건평 600평의 3층 석조건물로 1층은 귀빈실과 기자실, 2층은 회담장, 3층은 연회실로 꾸며져 회담 뒤 대표단의 식사나 모임 장소로 쓰이고 있다.
3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
3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
3939
* 통일각 : 1985년 북측이 판문점 회담 시설로 준공한 통일각은 남측 지역 ‘평화의 집’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연건평 460평의 지하 1층, 지상 1층 건물이다. 1992년 5월부터 북측 남북 연락사무소로 사용되면서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개최된 주요 남북회담이나 접촉은 대부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당시 통일각에 설치된 북측 남북 연락사무소는 직원 5~6명이 상주하면서 직통전화 2회선 등을 통해 남측과 연락업무를 수행해왔다. 통일각은 판문각에서 서북쪽으로 100미터 정도 떨어져 있어 잘 보이지 않는다.
4040
4141
* 판문각 : 판문각은 판문점 내에 북측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전협정 체결 이후 12년간 판문점을 일반인에게 공개하지 않다가 1964년 공개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의 판문각 자리에 육각정을 지었다. 그후 1969년에 육각정을 헐고 판문각을 신축했는데 판문각은 남쪽에서 보면 웅장한 석조 건물로 보였으나 건물 내의 폭은 좁았다. 그래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4년 판문각 중축공사를 시작해 12월에 완공했으며 건물을 3층으로 높이고 건물 폭도 확장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