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75 vs r76
......
233233
234234
== 다른 공간에서 극한의 정의 ==
235235
=== 위상공간에서 극한의 정의 ===
236
위상수학에서는 위상에 따른 열린집합(개집합)을 두고 집적점을 정의하게 된다. 앞의 엡실론-델타법 정의에서 다루는 부등호 바꿔보면 일종의 집합과 원소의 포함관계로 표시되는데, 거리 등 그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위상으로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가지는 극한은 위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 유일하지 않수 있다. ([math(\mathbb{R})] 유한여집합위상 )
236
위상수학에서는 위상에 따른 열린집합(개집합)을 두고 집적점을 정의하게 된다. 앞의 [[#엡실론-델타법 정의|엡실론-델타법]]에서 다루는 부등호 식은 바꿔보면 일종의 열린집합과 원소의 포함관계로 표시다. ([math(A)] 초과 [math(B)] 미만을 [math(\left( A,\ B\right))] 같이 열린구간을 표시한다.)
237237
238
|| 부등식 || 집합식 ||
239
||[math(x \in D)]이고 [math(x \neq a)], [math(a-\delta < x < a+\delta)]이다. ||[math(x \in D)]이고 [math(x \in \left(a-\delta ,\ a+\delta \right) \backslash \left{a \right})]이다. ||
240
||아무 [math(\epsilon > 0)] 인 [math(\epsilon)]을 잡더라도 [math(L-\epsilon< f\left(x\right) < L+\epsilon)]이다. ||아무 [math(\epsilon > 0)] 인 [math(\epsilon)]을 잡더라도 [math(f\left(x\right) \in \left(L‐\epsilon ,\ L+\epsilon \right))]이다.||
241
242
가지는 극한은 위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math(\mathbb{R})]의 유한여집합위상 등)
243
238244
=== 변수가 2개 이상인 경우 ===
239245
변수가 2개 이상이 되면 각 변수들은 독립적이므로 서로 수직인 축들이 2개 이상으로 되어 있는 [math(\mathbb{R}^{2})], [math(\mathbb{R}^{3})] 평면, (3차원) 공간 등 [math(n)]차원 (유클리드)공간에서 점의 좌표와 점과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한 (위상으로) 극한을 정의한다.
2402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