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노무현(비교)

r32 vs r36
11
[[분류:노무현]]
2
||<-3><tablealign=center><bgcolor=#005ba6><tablebordercolor=#005ba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ba6, #005ba6)"
3
{{{#ffffff ''' {{{+1 이전·이후 대통령 }}} ''' }}}}}} ||
4
||<width=33%><height=40> 김대중 ||<width=33%><bgcolor=#990e3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ba6, #005ba6)"
5
{{{#ffffff ''' 노무현 ''' }}}}}} ||<width=33%> [[이명박]] ||
6
27
||<-2><tablealign=right><tablewidth=420><tablebordercolor=#005ba6><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3
'''[[대한민국 대통령|{{{#ffc224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br]{{{+1 노무현}}}[br]盧武鉉 | Roh Moo-hyun'''}}} ||
4
||<|2><width=100> '''출생''' ||[[1946년]] [[9월 1일]] ||
5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읍]] 본산리 30[br](현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봉하로]] 129) ||
6
||<|2> '''사망''' ||[[2009년]] [[5월 23일]] (향년 62세) ||
7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금오로(양산)|금오로]] 20[br](범어리, [[양산부산대학교병원]])[* [[DOA|병원 이송 중 경호차량에서 사망.]]] ||
8
|| '''사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봉하로]] 135 (본산리)[* 생전 거주지, 퇴임 후 이곳에서 지냈으며 생가 건너편이다.][* 취임 전 거주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9길 24, 302호 ([[명륜1가]], 현대이츠빌라). [[종로구(선거구)|종로구 국회의원]] 출를 위해 [[이사]] 온 집이다. [[1997년]]부터 대통령 취임 전까지 이곳에서 살았다. 당선 후 [[청와대]]로 가면서 "꼭 6년 전 [[이사]] 와 15대 보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짧은 [[해양수산부장관]]거쳐 마침내 대통령이 됐다"라는 소회를 밝혔다. 해당 집은 전직 중소기업인에게 팔렸다고 한다.] ||
9
|| '''묘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19-4[* 생가 동쪽에 위치해 있다.[[https://www.knowhow.or.kr/img/support/img_bonghaMap04.png|#]]] ||
10
||<|2> '''재임기간''' ||<bgcolor=#f5f5f5,#2d2f34>제16 [[대한민대통령|대통령]] ||
11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노무현 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2004헌나1]]에 의한 직무정지 기간: [[2004년]] [[312일]] ~ [[2004년]] [[5 14일]].] ||
12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13
[[파일:노무현 서명.svg|width=130]]}}} ||
14
||<-2><bgcolor=#fff,#1f2023><color=#373a3c,#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1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6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width=100> '''본관''' ||[[광주 노씨]][* 광주군계 매죽와공파 31세 ○현(鉉) 항렬.] ||
18
|| '''부모''' ||아버지 [[노판석]], 어머니 이순례 ||
19
|| '''형제자매''' || 노영현[* 盧英鉉. 1973사망.], [[노건평]][br]누나 노영옥[br]이복누나 노명자[br]이부누나 김선밀 ||
20
|| '''배우자''' ||[[권양숙]] ||
21
|| '''자녀''' ||아들 [[노건호]], 딸 노정연 ||
22
|| '''학력''' ||[[진영대창초등학교|진영대창국민학교]] {{{-2 (졸업)}}}[br][[진영중학교]] {{{-2 (졸업)}}}[br][[개성고등학교|부산상업고등학교]] {{{-2 (졸업 / 53회)}}} ||
23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상등병|상병]] 만기전역[* 상병 만기 전역인 이유는, 노무현이 병역을 수행하던 시기에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 파병자들의 월급을 [[병장]]에 맞춰 주게 되어 병장 TO가 가득 차 미 파병자들은 대부분 상병에서 전역했기 때문이다. 다만 [[30개월 이상 복무한 상등병 만기전역자의 특별진급을 위한 특별법]][[https://www.law.go.kr/lsInfoP.do?lsiSeq=231363&ancYd=&ancNo=&efYd=20211014&nwJoYnInfo=N&ancYnChk=0&efGubun=Y&vSct=*#0000|이 정되어]], [[권양숙]] 여사 등 유족이 노무현 전 대통령 계급이 병장이 되게 하길 원한다면, 군적이 병장 전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
24
|| '''종교''' ||[[무종교]][* 공식적으로 무종교이나, [[종교]] 이력은 다소 특이하다. [[사법시험]]을 공부하던 시절에는 [[봉하마을]] 집 근처의 [[절(불교)|절]] 정토원에서 주로 공부했다고 전해지며, 이 때 [[불경]]도 틈틈이 외웠다고 한다. [[천주교]] 신자인 [[문재인]]을 불교적 용어인 도반(道伴)으로 칭하기도 했고, 이후 [[변호사]] 시절에 정신적 지주라고 불리는 송기인 신부와의 인연으로 당시 송기인 신부가 주임 신부로 시무하였던 [[천주교 부산교구|부산]] 당감성당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유스토'라는 [[세례명]]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때문인지 [[신앙]] 생활은 커녕 [[성당]]에 몇 번 가지도 못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대통령 시절에는 종교적 정체성을 드러내지 않은 채 프로필에도 '무교'라 적혔지만, 불심이 깊은 [[영부인]]을 따라 [[해인사]]를 방문하는 등 불교적인 활동을 몇 번 한 적은 있었다. 참고로, 사망하기 직전에도 사시를 공부했던 봉화산 정토원에서 위패에 예를 표하기도 했으며, 장례식 때 해인사의 [[스님]]들이 조문을 오기도 했다.] ||
25
|| '''신체''' ||168cm, 68kg, [[O형]] ||
26
|| '''의원 선수''' ||'''2''' ||
27
|| '''의원 대수''' ||[[제13대 국회의원|'''13''']], [[제15대 국회의원|'''15''']] ||
28
|| '''약칭''' ||'''[[盧]]''', '''[[노통#s-2.2]]'''[* 앞의 두 별명은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도 사용된다.], '''MH'''[* 일부 보수언론에서 드물게 사용된 전례가 있다. 다만 盧로 대표되는 약칭에 밀려 지지자층이나 일반 대중 사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 ||
8
'''[[대한민국 대통령|{{{#ffc224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br]{{{+1 노무현}}}[br]文在寅 | Moon Jae In'''}}} ||
9
||<-2> {{{#!wiki style="margin: -5px -10px"
10
[[파일:노무현 사진.jpg|width=100%]]}}} ||
11
||<-4><bgcolor=#005ba6> {{{#ffc224 '''신상 정보'''}}} ||
12
||<|2><width=100> '''출생''' ||1946년 9월 1일 ||
13
||미 군정 조선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 ||
14
||<|2><width=100> '''사망''' ||2009년 5월 23일 (향년 62세) ||
15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양산부산대학교병원||
16
||<|1><width=100> '''묘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 ||
17
|| '''국적''' ||[[파일:태극기.jpg|width=20px]] [[대한민국]] ||
18
||<|3> '''학력''' ||진영민학교 졸업 ||
19
||진영중학교 졸업 ||
20
||부산상고 졸업 ||
21
||<|3> '''경력''' ||전지방법원 ||
22
||제13·15 국회의원||
23
||제6대 해양수산부 장관||
24
||<|4> '''가족''' ||아버지 : 노판석 ||
25
||어머니 : 이순례 ||
26
||배우자 : 권양숙 ||
27
||자녀 : 노건호(아들), 노정연(딸)||
28
|| '''종교''' ||불교 ||
29
||<-4><bgcolor=#005ba6> {{{#ffc224 '''군사 경력'''}}} ||
30
|| '''복무''' ||[[대한민국]] 국군 ||
31
|| '''복무기간''' ||1968년 ~ 1971년 ||
32
|| '''소속''' ||[[대한민국 육군]] ||
33
|| '''최종계급''' ||상병 ||
34
|| '''근무부대''' ||[[제12보병사단]] ||
35
||<-3><bgcolor=#005ba6> {{{#ffc224 '''대통령 정보'''}}} ||
36
||<|2> '''재임기간''' ||<bgcolor=#f5f5f5,#2d2f34>16대 대한민국 대통령 ||
37
||2003년 2월 25~ 2008 2월 24일 ||
38
|| '''전임''' ||김대중 ||
39
|| '''후임''' ||[[이명박]] ||
40
|| '''소속 정당''' ||무소속 ||
2941
[목차]
3042
[clearfix]
3143
== 개요 ==
32
노무현은 대한민국의 16대 대통령이, 주로 줄임말MH라 한다.
33
== 커뮤니티에서 ==
34
"예아" 등 노무현의 연설에서 가져와서 이용자들이 의사현을 하는 인다. 아카라보더라지지 않는다.
44
노무현은 [[대한민국]]16대 [[대통령]]다.
45
== 상세 ==
46
판사로 재직 후 부산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제13·15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김대중 정부에서 제6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다.
47
48
본관은 광(光州)이며 경상남도 김해 출생이다. 부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막노동에 뛰어들었다가 독학으1975년 3월 30세에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대전지방법원 판사1년을 재직하다가 그만두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여 여러 인권 사건을 변호하였다. 통일민주당 총재 김영삼의 공천을 받아 제13대 총선에 출마하여 부산 동구에서 당선되며 5공비리특별위원으로 활동했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하면서 김영삼과 결별한다. 김대중 정부에서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고 국민경선제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제16대 대선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2003년 말에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고 2004년 초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한 개혁 세력들이 주축이 되어 창당한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다.
49
50
2004년 무렵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이 정한 중립의무 및 헌법 위반을 시유로 야당 국회로부터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직 재임 중 탄핵 소추를 당해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었다. 하지만 이후 탄핵을 주도했던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은 여론의 역풍에 휩싸여 제17대 총선에참패하였고 얼마 후 헌법재판소에서 소추안을 기각하며 노무현은 다시 대통령 직무에 복귀하였다.
51
52
정계 입문 초기에 직설적인 화법으로 청문회 스타 자리에 오르기도 하였으며, 이는 대중적 인지도를 크게 끌어올려 대통령 당선의 밑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임기 중에는 "대통령 못 해먹겠다", "미국 엉덩이 뒤에 숨어서" 그의 화법이 논란이 되며 보수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 합법화, 국가보안법 폐지 검토, 2007년 10월 4일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일과의 회담에서 NLL에 관한 발언이 오해를 불러 일으켜 보수 언론의 공격을 받았다. 보수 언론들은 노무현을 반미주자이며 좌파로 규정하고 공격을 가했으나, 실제 임기 중 펼친 정책은 그러한 노선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진보 진영으로부터는 한미 FTA 추진과 이라크 파병 등 노무현 정부의 정책이 신자유주의 우파에 가깝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진보 언론으로부터는 신자유주의자라고, 보수 언론에게는 반미주의자라며 양측 진영에모두 비판받은 대통령으로 평받는다. 행정수도 이전과 혁신도시 등 지방 균형 발전을 추진하였으나 세종특별자치시의 수도 이전은 헌법재판소에관습헌법라는 이유로 위헌 결정을 내려 행정도시로 선회하였다.
53
54
퇴임 후 고향 김해의 봉하마을로 귀향하였다. 2009년 검찰의 정관계 로비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되면서 노무현의 측근 세력들이 수사 대상에 오르게 되었고, 노무현과 개인적 친분이 있던 박연차로부터 노무현 일가가 금전을 수수했다는 포괄적 뇌물죄 혐를 받아 조를 받았으며, 노무 또한 검찰 조사를 받기에 이르렀다. 아내가 받았다는 노무현의 주장과는 달리, 박연차는 검찰 조사에서 노무현이 직접 전화를 걸어 자녀들의 집 장만위한 100만달러를 요구했다고 일관되게 진술였고, 비서관을 통해 요청을 받고 차명계좌에서 노무현의 아들 노건호와 조카사위 연철호가 동업하기업에 500만 달러를 송금한 사실도 밝혀졌다. 이러한 노무현 일가의 640만 달러 수수 의혹은 현재까지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55
56
이같은 뇌물 수수 직접 개입 의혹이 수면으로 부상하면서 궁지에 몰리게 되자,노무현은 그 해 5월 23일 자택 뒷산 봉화산 부엉이 바위에서 투신자살하였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서는 기자회견을 통해 두부 외상과 다발성 골절 등을 사망 이유로 결론내렸다. 노무현이 사망하면서 법무부는 노무현의 뇌물 수수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를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시켰다. 사후 봉하마을에는 전국에서 노무현 재단의 주장에 따르면 500만여 명의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고, 노무현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57
== 생애 ==
58
노무현은 1946년 9월 1일에 경상남도 김해에서 버지 노판석과 어머니 순례 사이에서 3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위로 있는 형 2명 중 맏형 영현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작은 형 건평은 현재까지 살아있다. 노건평은 1968년 세무직 9급 공무원이 되어 10년간 지방 세무서에서 근무하였다. 노무현은 광주 노씨 광주군파 31대 손으로 광주 노씨는 광주광역시 일곡동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가문이다.
59
60
1953년에 진영대창국민학교에 입학하였고 학업 성적은 우수했으나 가난으로 결석이 잦았다고 한다. 6학년 때 담임교사의 권유로 전교 학생회장을 맡았다. 1959년 3월에 진영중학교에 진학했다. 중학교 재학 당시 노무현은 입학금이 없어 중학교는 외상으로 입학하였다고 한다. 1학년 말 제4대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당시 이승 대통령의 생일을 기념하는 교내 글짓기 대회가 열리자 노무현은 백지동맹을 일으키다가 정학을 당하였다. 집안 형편이 어려워져 중학교를 1년간 휴학한 뒤 부일장학회의 장학금을 얻어 가까스로 중학교에 다니다가 1963년에 가까스로 졸업하고 부산상고에 진학하여 1966년에 졸업하였다.
61
62
고등학교 졸업 후 농업협동조합의 입사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하고, 한 어망 제조업체에 취직하였으나 최저 생계비에미치 못하는 임금과 다쳐도 치료비조차 주지 않는 고용주의 비정함에 실망하여 결국 그만두었다. 이후 막노동과 사시 공부를 병행하였다.
63
64
1968년 군에 입대하여 [[제12보병사단]] 을지부대에서 육군 상병으로 만기전역하였다. 1972년 27세에 권양숙과 결혼하였고 1973년에 아들 건호를, 1975년에 딸 정연을 낳았다. 1975년 3월 30세에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이는 4번째 도전에서 이루어진 성과였고 노무현은 제17회 사법시험에서 유일하게 고졸 출신 합격자였다. 이후 1977년 대전지방법원의 판사로 임용되었으나 5개월 만에 사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