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r4 vs r9
......
3636
별개로 '내려 가! 내려 가!'라며 외치는 영상은 사고가 발생한 이후의 상황이 아니라 사고 발생 2~3시간 전에 한 여성이 큰 목소리로 교통정리를 해 주자 이에 호응하는 장면이므로 사고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그저 멈출 줄 모르며 내려오고만 있었다. 앞쪽 인파에서 청색증 및 구토 현상이 눈에 띄게 증가하자 일제히 '뒤로! 뒤로!'를 외치며 18.24m² 뒤쪽 인파가 대부분 역행하여 빠져나갔으나, 18.24m²에는 이미 300여 명의 사상자끼리 의식을 잃고 몸이 끼어서서 빼내기조차 힘든 상황이었다. 일부 사람들은 이미 외상성 질식이, 밑에 깔린 사람들은 장기 파손으로 인한 복부 팽창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였다.[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이경원 교수에 의하면, 외상성 질식으로 인해 뇌에 혈액이 돌지 못해 심정지로 이어지고, 호흡이 돌아온들 이미 비가역적 뇌손상을 입는다고 한다. 사망자들 대부분의 사인이 흉부 압박에 의한 질식사였고 외형상태는 무산소증으로 인한 청색증, 검은 반점, 안면 눌림, 심하게 꺾인 경추 형태 등이 거의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깔린 사망자들의 경우, 사방의 압박과 무게로 장기 파손이 추가적으로 이어져 시신 훼손 정도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18.24m²의 공간에서 150여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3737
3838
한편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차들의 도로 상황이 원활하지 못했으며 영상 최초 신고 이후 40분 이상이 지난 23시가 되어서야 경찰의 도로 통제에 따른 구급차 진입이 비로소 원활해졌다고 한다. 문현철 숭실대 재난안전관리학과 교수는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구급차가 들어오는 건 가능했지만 수많은 구급차가 서로 뒤엉키면서 인근 가용 병원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지체됐다고 말했다. 더구나 구급차 이송은 부상자가 아닌 사망자가 먼저 호송되는 등 혼란이 극심했다.
39
== 사망자 분석 ==
40
## 통계표에 해당하는 내용만 적어주세요.
41
총 '''159명'''이 사망했으며, 사망자 현황을 각각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42
43
||<-3><color=#fff><bgcolor=#000> '''성별 기준''' ||
44
||<tablealign=center><tablewidth=45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gray><bgcolor=#000><rowcolor=#fff><width=33.3%> '''성별''' ||<#000><width=33.3%> '''사망자 수''' ||<#000><width=33.3%> '''비율''' ||
45
|| [[여성]] || 102명 || 64.15% ||
46
|| [[남성]] || 57명 || 35.85% ||
47
48
||<-3><color=#fff><bgcolor=#000> '''연령대 기준''' ||
49
||<tablealign=center><tablewidth=45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gray><bgcolor=#000><rowcolor=#fff><width=28.3%> '''연령대''' ||<#000><width=28.3%> '''사망자 수''' ||<#000><width=28.3%> '''비율''' ||
50
|| 10대 || 13명 || 8.18% ||
51
|| 20대 || 106명 || 66.67% ||
52
|| 30대 || 30명 || 18.87% ||
53
|| 40대 || 9명 || 5.66% ||
54
|| 50대 || 1명 || 0.63% ||
55
56
||<-3><color=#fff><bgcolor=#000> '''등록 기준지 기준'''[* [[등록기준지]]는 부 또는 모의 본적이나 출생시 주소지로 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사망 당시의 연고지와는 무관할 가능성이 높다.] ||
57
||<tablealign=center><tablewidth=45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gray><bgcolor=#000><rowcolor=#fff><width=33.3%> '''거주지''' ||<#000><width=33.3%> '''사망자 수''' ||<#000><width=33.3%> '''비율''' ||
58
|| [[서울특별시|[[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20]] 서울]] || 66명 || 41.509% ||
59
|| [[경기도|[[파일:경기도 휘장.svg|width=20]] 경기]] || 40명 || 25.157% ||
60
|| [[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width=20]] 인천]] || 5명 || 3.145% ||
61
|| [[대전광역시|[[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width=20]] 대전]] || 5명 || 3.145% ||
62
|| [[충청남도|[[파일:충청남도 휘장.svg|width=20]] 충남]] || 4명 || 2.516% ||
63
|| [[전라남도|[[파일:전라남도 휘장.svg|width=20]] 전남]] || 3명 || 1.887% ||
64
|| [[광주광역시|[[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 광주]] || 2명 || 1.258% ||
65
|| [[울산광역시|[[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width=20]] 울산]] || 2명 || 1.258% ||
66
|| [[대구광역시|[[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20]] 대구]] || 1명 || 0.629% ||
67
|| [[경상북도|[[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20]] 경북]] || 1명 || 0.629% ||
68
|| [[경상남도|[[파일:경상남도 휘장.svg|width=20]] 경남]] || 1명 || 0.629% ||
69
|| [[전라북도|[[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20]] 전북]] || 1명 || 0.629% ||
70
|| [[충청북도|[[파일:충청북도 휘장.svg|width=20]] 충북]] || 1명 || 0.629% ||
71
|| [[제주도|[[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20]] 제주]] || 1명 || 0.629% ||
72
|| [[해외|[[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width=18]] 해외]][*외국인] || 26명 || 16.352% ||
73
== 사고 원인 ==
74
할로윈 축제 인원 과밀 및 경찰, 행정당국의 안전 관리와 통제 부족 및 국민들의 안전불감증으로 발생한 사고.
75
사고가 발생하기 전날부터 몇 차례 이상징후가 감지되었으나 결국에는 압사 사고가 발생하였다.
76
== 사고 징후 ==
77
사고 전날인 10월 28일 금요일 저녁, 이태원 뒷골목엔 움직이기 힘들 정도로 사람이 많았다. 사고 구간에서 정체가 길어지자 일부 사람들이 앞 사람을 밀치고 이동해 사람들 간 언성이 높아졌고, 몇몇은 인파에 떠밀려 넘어지기도 하는가 하면 사람들 사이에 시비가 붙어 싸움이 벌어지는 등 위험한 모습이 있었다는 언론 보도도 있다. 게다가 언론 보도가 아니더라도 인파에 떠밀려 다친 사례나 서로 시비가 붙어 싸움이 벌어진 사례의 경우 목격담이나 영상, 사진이 넷상에 올라오기도 했다. 또한 유튜버 긴벌레는 29일 저녁에 이태원에서 팬미팅을 진행하려 했는데, 전날 사전 답사로 현장 상황을 보고는 이태원 결집은 위험할 것으로 판단하고 팬미팅 장소를 남산으로 옮겼다.
78
79
사고 당일인 10월 29일 오후부터 통제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 방향으로 끊임없이 밀려오는 인파로 현장에 있던 수많은 사람들은 위험을 감지했다. 사고 발생 3시간 40분 전인 18시 34분에 압사 언급을 하며 최초 신고가 접수되었으며, 사고 발생 직전까지 112 신고가 경찰이 공개한 것만 11건이 들어왔다. 신고 내용은 모두 압사사고 우려였는데 경찰이 사건을 종결시켜 버렸다. 심지어 관할 경찰서인 용산경찰서 이태원파출소가 사고지점 바로 건너편에 있었는데 결국엔 대참사로 이어지고 말았다. 특히, 첫 출동의 경우 경찰이 현장에 갔으나 군중에게 해산 요청만 하고 종결시켰다. 참고로 관할 경찰서인 용산경찰서가 상위 기관인 서울경찰청에 사전 및 당일에도 기동대 지원을 요청했으나 서울경찰청에서 일련의 사유로 이를 거절했다고 한다. 다만 사전에 용산경찰서의 공식적인 요청은 없었고 용산서가 구두로 요청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사실 여부 확인에 들어갔다. 서울경제 기사
80
81
아프리카TV의 BJ꽉꽉은 사고 지점에서 사고 발생 1시간 전에 위험한 상황을 겪고 탈출해 인근 이태원파출소를 찾아 통제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한 네티즌은 사고 1시간 전에 이미 사고 위치에서 인파에 깔려 소지품도 잃었다가 다행히 탈출했다고 했으며, 사고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의 인터뷰에 따르면 사고 직전에도 인파 속에서 충격파가 몇 번이나 휘몰아쳤다고 한다.
82
83
사고 1시간 전, 사고 지점에서 100m 가량 떨어진 '만남의광장 이태원본점' 앞에서 진행된 KBS 9시 뉴스 생방송 보도를 보면 이태원의 경사진 골목길을 양쪽에서 오르내리는 혼잡스러운 모습이 잘 보인다. 뉴스에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사람이 오고 있다고 했으며, 보도 자체도 인파와 시끄러운 가게 스피커의 음악 소음으로 인해 골목에서는 진행이 불가능해 인근의 좁은 담과 화단 위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84
85
문현철 숭실대 재난안전관리학과 교수는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사고 전날에도 경찰서에 신고가 많이 접수되는 등 징후가 여러 차례 있었으며, 이 징후를 놓치지 않고 6호선 이태원역 지하철 무정차, 이태원로 및 보광로 일대 도로 통제 및 차 없는 거리 운영 등 사전 대책이 있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86
== 여파 ==
87
=== 사고 수습 당시 ==
88
* KBS 뉴스특보와 전화 연결된 현장 목격자에 따르면, 사고 발생 이후 인근 상가들은 안전을 위해 영업을 종료하고 손님들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안내했다고 한다. 구조에 비협조적이었다는 의견이 있으나 현장 경찰 및 소방 인력에 의해 상가 내부 인원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통제되었다는 증언도 존재한다. 이는 사고 발생지의 혼잡도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조치이다.
89
* 사고 발생 후부터 수습 전까지 이태원역 일대를 지나는 시내버스는 이태원로 녹사평역 ~ 한강진역 구간, 보광로 이태원역 ~ 청화아파트 구간 통제에 따라 우회운행한다. 이후 대사관로 ~ 한강진역 구간은 통제가 우선 해제되었고, 11월 1일부터 전 구간 통제가 해제되었다.
90
* 서울시는 인파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새벽 3시 50분부터 녹사평역~서울역 간 셔틀버스 2대를 운행하였으며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심야 임시편 운행 및 새벽 5시에 조기 운행을 시작하였다.
91
* 수도권뿐만 아니라 충청도와 강원도 소속 구급차들도 사고 현장에 동원되었다. 119 구급차 경기 50대, 인천 10대, 충남 10대, 충북 10대, 강원 10대, 서울 52대가 사고 현장에 투입되었다. 구급차 동원 현황 뿐만 아니라 소방당국의 요청에 사설구급차와 병원, 보건소구급차도 동원되었다. [* 강원도 고성 산불 당시에도 전국에서 구급차들이 동원됐다.]
92
* 사상자들은 강북삼성병원, 건국대병원, 경희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동국대 일산병원, 이대목동병원, 이대서울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보라매병원, 중앙대병원, 순천향대 서울병원, 삼육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은평성모병원, 한양대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동탄성심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 노원 을지대병원, 의정부 을지대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분당차병원, 삼성서울병원, 성빈센트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국군수도병원 외상센터 등 40~50여 개의 병원 및 사망자의 경우 수도권의 타 장례식장등에 분산 이송되었다.
93
* 사고 현장과 가까운 한남동 소재로 사상자가 많이 이송된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의 경우 영안실조차 가득 차서 다른 곳으로 사망자들을 이송하였다.
94
* 사고현장에서 전화 및 데이터 통신이 원활하게 되지 않았으나, 새벽 2시 33분을 기준으로 다시 정상화되었다.
95
=== 행사 취소 ===
96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할로윈 관련으로 진행하고 있거나 진행 예정이었던 행사는 거의 대부분 중지되거나 연기되었다.
97
=== 합동분향소 ===
98
10월 31일부터 서울시 모든 자치구에서 합동분향소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합동분향소는 11월 5일까지 운영되었다.
99
=== 이태원역 1번 출구 추모공간 ===
100
또한, 합동분향소와 별개로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시민들의 추모공간이 만들어졌다.
101
[[파일:1667200727586124.jpg]]
39102
== 사고 사진 ==
40103
[[파일:이태원압사사고.webp]]
41104
[[파일:이태원압사사고2.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