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윤봉길(비교)

r5 vs r8
1
[[분류:대한민국의 유공자]] [[분류:대한민국의 ]]
1
[[분류:대한민국의 유공자]] [[분류:인]]
22
||<-2><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47a0><tablewidth=5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33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1 윤봉길}}}[br]尹奉吉 | Yun Bonggil'''}}} ||
44
||<-2><nopad> [[파일:윤봉길 사진.jpg|width=100%]] ||
......
4949
== 유언 ==
5050
2005년 12월 18일 매헌 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는 순국 73주기를 맞아 유언 친필 사본을 공개했다. 윤 의사는 거사 이틀 전인 1932년 4월 27일 공원을언을 작성했다. 이 자리에서 윤의사는 거사가, 조선청년단에 대한 당부의 시, 김구 선생에 대한 존경의 시, 두 아들에게 남기는 유언 등 4편의 시를 2시간여 만에 썼다. "너희도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한잔 술을 부어 놓으라. 그리고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두 아들 종과 담에게 남긴 시에는 거사를 앞둔 비장한 심경과 자식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
5151
== 사후 ==
52
국민회의 부주석 김구는 일본에 있던 박열에게 3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의 유해 발굴을 부탁하였다. 유해봉안 추진위원장을 맡은 박열은 재일동포들과 1946년 3월 6일 사형장에서 남쪽으로 3 km 떨어진 가나자와(金沢)시 노다산 시영공동묘지 북측 통행로에서 윤봉길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같은 해 6월 16일 서울에 도착하여 6월 30일 국민장으로 안장되었으며 장지는 효창공원이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는 윤봉길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을 추서하였다.
52
국민회의 부주석 김구는 일본에 있던 박열에게 3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의 유해 발굴을 부탁하였다. 유해봉안 추진위원장을 맡은 박열은 재일동포들과 1946년 3월 6일 사형장에서 남쪽으로 3 km 떨어진 가나자와(金沢)시 노다산 시영공동묘지 북측 통행로에서 윤봉길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같은 해 6월 16일 서울에 도착하여 6월 30일 국민장으로 안장되었으며 장지는 효창공원이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는 윤봉길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을 추서하였다.
5353
=== 기념사업 ===
5454
1965년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 준비위가 구성되고 같은해 6월 29일 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으며 1965년 12월 19일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준위를 서울 조계사에서 발족되었다.
5555
......
124124
== 본 문서 정보 ==
125125
* 본 문서에 작성된 일부 내용들은 아래의 자료들로 참고하였습니다.
126126
127
* [[https://ko.m.wikipedia.org/wiki/%EC%9C%A4%EB%B4%89%EA%B8%B8C|위키백과]]
127
* [[https://ko.m.wikipedia.org/wiki/%EC%9C%A4%EB%B4%89%EA%B8%B8C|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