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제곱근(비교)

r42 vs r43
1
'''윤석열지지 사이트 디시인사이드 2중알파위키 더시드위키 윤석열 지지위키 일베 국짐당들 개같이 멸망 윤짜장 탄핵의 그날까지jsk1124 열사 만세 두환이는 화장실에서 똥싸고 뒤졌전재산은 29만원 문어대가리 전대갈 탕탕절에 김재규 열사한테 총맞아 뒤진 정희추모하는 더시드위키답게 두환이도 추모하고 국민 버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하미국로 런승만도 추모한 더시드위키 일베 국짐당 위키답다 '''
1
[[분류:수학]]
2
[목차]
3
== 개요 ==
4
말은 제곱[* [math(y=\sqrt{x})] 함수이차함수 대해역함수.]. [math(x^2=a)] [math(x=\sqrt{a})], [math(x=-\sqrt{a})]라고 하며 기호 [math(\sqrt{})]쓴다. 근호가 처럼 생겼다해서 기호 이름이 루트이.
25
6
== 표현 ==
7
실수 [math(a)]에 대하여 제곱근을 말할 때, "[math(a)]__의__ 제곱근"과 "제곱근 [math(a)]" 두 용례의 혼동에 주의하자.
8
* "[math(a)]의 제곱근"은 개요에서 설명하다시피 [math(\sqrt{a})], [math(-\sqrt{a})]를 가리킨다.
9
* "제곱근 [math(a)]"는 [math(\sqrt{a})]를 가리킨다.
10
* 따라서 "'[math(a)]의 제곱근'은 '__플러스__ 제곱근 [math(a)]'와 '__마이너스__ 제곱근 [math(a)]'이다." 라고 말해야 한다.
11
이는 세제곱근, 네제곱근 등 거듭제곱근에도 동일하다. 단, 제곱근의 개수와 그에 따른 표현이 홀수이냐 짝수이냐에 따라 다를 뿐이다.
12
* 이를테면 [math(\sqrt[3]{a})]은 "세제곱근 [math(a)]", "[math(a)]의 __실수__의 세제곱근"으로 불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허수 문단에서 설명하는 [math(\omega)]까지 가리키게 된다.)
13
* 또 이를테면 [math(\sqrt[4]{a})]는 "네제곱근 [math(a)]", "[math(a)]의 __양__의 네제곱근"으로 불러야 한다. "__음__의 네제곱근"인 [math(-\sqrt[4]{a})]가 있기 때문.
314
15
한편 제곱근은 "분수"의 지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테면 [math(\sqrt{a})]의 경우 [math(\sqrt{a} = a^{{1}\over{2}})]로 지수에 [math({{1} \over {2}})]을 적음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
16
세제곱근의 경우 지수에 [math({{1} \over {3}})]을 적음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
417
18
더시드엔진에서는 다음 TeX 문법을 사용하여 호출할 수 있다.
19
||{{{[math(\sqrt{a})]}}} : 제곱근 [math(a)]
20
{{{[math(\sqrt[n]{a})]}}} : [math(n)] 제곱근 [math(a)] ||
21
자세한 TeX 문법에 대하여는 다음의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B%AC%B8%EB%B2%95%20%EB%8F%84%EC%9B%80%EB%A7%90/%EC%8B%AC%ED%99%94/TeX|나무위키 도움말]] 문서 또는 다음의 (\<math\>...<\/math\>입력과 \[math(...)\] 입력의 차이를 제외하고)[[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TeX_%EB%AC%B8%EB%B2%95|위키피디아 도움말]]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22
== 허수 ==
23
[[허수]] 문서 참조.
24
=== i의 제곱근 ===
25
[math(i)]의 제곱근은 무엇인가 생각할 수 있다. 곧 [math(x^2=i)]를 만족하는 [math(x)]가 무엇인지 궁금할 수 있다.
26
27
이는 앞의 [math(x^2=i)]에서 대소를 비교할 수 있는 수(실수)인 [math(a)], [math(b)]에 대하여 [math(x=a+bi)]로 치환한 방정식 [math(\left(a+b i\right)^2=i)]을 풀어보면 된다.
28
좌변을 전개하면 [math(\left(bi\right)^{2}=-b^{2})]가 되므로
29
[math(a^{2}-b^{2}+2ab i=i)]을 얻는다. 두 복소수가 같으려면 실수부끼리 같아야 하면서 허수부끼리 같아야 한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이 식의 양변에서 실수부와 허수부를 비교해보면 미지수 [math(a)], [math(b)]에 대한 연립이차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30
[math(\begin{cases}
31
a^{2}-b^{2}=0 \quad\text{(실수부)} \\
32
2ab=1 \quad\text{(허수부)}
33
\end{cases})]
34
실수부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35
[math(\left(a+b\right)\left(a-b\right)=0)]이 되므로
36
[math(a=b)] 또는 [math(a=-b)] 이라는 결과를 얻는다.
37
38
[math(a=-b)]를 허수부인 [math(2ab=1)]에 대입하여 미지수 [math(a)]를 소거하면 [math(-2b^{2}=1)]을 얻는다. 이는 정리하면 [math(b^{2}=-{{1}\over{2}})]가 되는데, [math(b)]가 실수라는 조건에 모순이 된다.
39
40
한편 [math(a=b)]를 허수부인 [math(2ab=1)]에 대입하여 미지수 [math(a)]를 소거하면 [math(2b^{2}=1)]을 얻고, 정리하면 [math(b^{2}={{1}\over{2}})]가 되어 다음을 얻게 된다.
41
[math(b={{\sqrt{2}}\over{2}})] 또는 [math(b=-{{\sqrt{2}}\over{2}})]
42
이를 [math(a=b)]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43
[math(a+bi={{\sqrt{2}}\over{2}}+{{\sqrt{2}}\over{2}}i)] 또는 [math(a+bi=-{{\sqrt{2}}\over{2}}-{{\sqrt{2}}\over{2}}i)]
44
정리하면 [math(x=a+bi)]에서
45
[math(x={{\sqrt{2}}\over{2}}+{{\sqrt{2}}\over{2}}i)] 또는 [math(x=-{{\sqrt{2}}\over{2}}-{{\sqrt{2}}\over{2}}i)]라는 해를 얻는다.
46
47
따라서 [math(i)]의 제곱근은 [math({{\sqrt{2}}\over{2}}+{{\sqrt{2}}\over{2}}i)]와 [math(-{{\sqrt{2}}\over{2}}-{{\sqrt{2}}\over{2}}i)]임을 알 수 있다.
48
49
=== 세제곱근 ===
50
세제곱근 8인 [math(8 = \sqrt[3]8)] 은 실수 범위 내에서는 2이지만 복소수 범위에서는 [math(x=2 \text{ ,or }x=-1\pm\sqrt{3}i)]가 있다.
51
52
[math(x^3=-1)]이나 [math(x^3=1)]을 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math(\omega)]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53
일단 [math(x^3-1=0)]로 이항한 후 인수분해를 하면 [math(x^3-1=(x-1)(x^2+x+1)=0)] 이 식이 되는데, 그러면 근은 [math(x=1\;\textsf{or}\;x=\dfrac{-1\pm \sqrt 3i}{2})] 이 된다. 한 허근이 [math(\omega)]이면 다른 허근은 켤레복소수이므로 [math(\overline \omega)]가 된다.
54
55
=== [[삼각함수]]를 이용한 방법 ===
56
한편 [math(i)]의 제곱근을 조금 식을 바꿔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57
[math(\cos\left({{\pi} \over {4}}\right)+i \sin\left({{\pi} \over {4}}\right))], [math(\cos\left({{5\pi} \over {4}}\right)+i \sin\left({{5\pi} \over {4}}\right))]
58
실제로 복소평면[* 수직선을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쉬운 개념이다. 실수부 수직선과 직교되는 허수부 수직선이 있다. 흔히 생각하는 좌표평면처럼 되며, 복소수를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 복소수는 대소를 비교할 수 없음에 유의하자.]상에서 [[삼각함수]]를 이런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math(i)]의 경우 [math(i=\cos\left({{\pi} \over {2}}\right)+i \sin\left({{\pi} \over {2}}\right))]가 된다.
59
60
1의 세제곱근은 1주기가 [math(2\pi)]임을 이용, 다음으로도 표기가 가능하다.
61
[math(\cos\left({2\pi}\right)+i \sin\left({2\pi} \right)=1+0i=1)]
62
[math(\cos\left({{2\pi} \over {3}}\right)+i \sin\left({{2\pi} \over {3}}\right)=-{{1}\over{2}}+{{\sqrt{3}}\over{2}}i)]
63
[math(\cos\left({{4\pi} \over {3}}\right)+i \sin\left({{4\pi} \over {3}}\right)=-{{1}\over{2}}-{{\sqrt{3}}\over{2}}i)]
64
65
66
== 둘러보기 ==
67
* [[제곱]]과 거듭제곱
68
* [[지수]], [[지수법칙]], [[지수함수]]
69
* [[로가리듬]], [[로그함수]] : 지수를 실수 범위로 확장한 지수법칙을 이용하면 로가리듬의 여러 성질을 증명할 수 있다.
70
* [[방정식]]
71
* [[이차방정식]]
72
* [[허수]]와 [[복소수]]
73
* [[무리방정식]]과 [[무연근]] : 근호를 이용한 방정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