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허수(비교)

r7 vs r8
......
2929
||[math(a+bi)]||
3030
로 나타내며, 전자의 [math(a)]를 '''실수부'''(real part), 후자의 [math(b)]를 '''허수부'''(imaginary part)로 부른다. (복합단지를 두고 "complex"라고 부른다.)
3131
32
앞의 실수체계에서 확장을 하여 임의의 실수 [math(a_{r})], [math(a_{i})], [math(b_{r})], [math(b_{i})], [math(c_{r})], [math(c_{i})]에 대한 임의의 세 복소수 [math(a_{r}+a_{i}i)], [math(b_{r}+b_{i}i)], [math(c_{r}+c_{i}i)] 대하여 덧셈, 곱셈에 대한 성질을 만족하는 복소수체계를 생각할 수 있다. 단, 대소비교는 불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내용 참조.
32
앞의 실수체계에서 확장을 하여 임의의 실수 [math(a_{R})], [math(a_{I})], [math(b_{R})], [math(b_{I})], [math(c_{R})], [math(c_{I})]에 대한 임의의 세 복소수 [math(a_{R}+a_{I}i)], [math(b_{R}+b_{I}i)], [math(c_{R}+c_{I}i)] 생각해볼 수 있다. 대하여 덧셈, 곱셈에 대한 성질을 만족하는 복소수체계를 생각할 수 있다. 단, 대소비교는 불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내용 참조.
3333
3434
=== 허수단위에 대한 계산 ===
3535
이렇게 하여 [math(a > 0)], [math(b > 0)]인 [math(a)], [math(b)]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