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시드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파일 올리기
라이선스
35.172.164.32
Please login!
설정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로그인
최근 변경
역링크
삭제
이동
부사관
(r5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로그인 허용 차단 #1566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P 사용자의 이용권은 일부 제한되어 있습니다. 계정을 만들고 활동해 주세요.
RAW 편집
== 개요 == 군에서 하사, 중사, 상사, 원사의 계급을 말한다. == 상세 == === 진급 === 장교와 달리 군인사법 상 진급에 필요한 최소복무기간을 갖춘 다음 바로 진급하는 것은 보통 중사, 상사에서 상사, 원사로 진급하는 경우 불가능에 가깝다. 군인사법 상 하사->중사, 중사->상사, 상사->원사로 진급하는데 하사로 2년, 중사로 5년, 상사로 7년이상 복무해야 하지만 보통은 상사로 10년 복무하고 원사로 진급하는 것도 어렵다. === 계급 === * 1999년 2월 9일 하사관이라는 명칭에서 부사관으로 바꼈다. * 1954년 당시 하사관에는 육/공군에서 상사와 중사가 있었으며 이를 각각 1등과 2등계급으로 나누어 1등상사, 2등상사, 1등중사, 2등중사로 하였다. 해군의 경우 병조장, 1등병조, 2등병조, 3등병조로 구분하였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6121&ancYd=19531214&ancNo=00845&efYd=19540215&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참고]] * 1957년에 육/공군에서는 세부 계급으로 구분하지 않고 상사, 중사, 상사 3계급으로 구분하였으며 해군의 경우 병조장, 1등병조, 2등병조로 구분하였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6234&ancYd=19570107&ancNo=01226&efYd=19570107&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참고]] * 1989년 상사를 일등상사, 이등상사로 구분하였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55171&ancYd=19890322&ancNo=04085&efYd=19890322&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 1993년 12월 31일 상사를 하나의 계급으로 독립하고 상위 계급 "원사"가 생겼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56827&ancYd=19931231&ancNo=04695&efYd=1993123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참고]] === 기타 === 1992년 군인사법의 개정 전에는 하사관도 영창을 갈 수 있었다. 하사관에게 내려지는 영창의 경우 경징계로 구분했다. 병에게는 쎈 징계였지만 --당연히-- 간부에게는 타 징계를 생각해보면 그나마 약한 징계였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56935&ancYd=19921202&ancNo=04506&efYd=19921202&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참고(이 때부터 영창은 병에 한한 징계가 되었음)]] == 계급 == 부사관의 계급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하사 === === 중사 === === 상사 === === 원사 === [[분류:계급]]
Liberty
|
the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