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 | ||
---|---|---|
r1 (새 문서) | 1 | '''김동화'''(金東華, <small>일본식 이름:</small> 金河東華, [[1902년]] [[음력 8월 30일]] ~ [[1980년]] 4월)는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이며 [[법명]]은 뇌허(雷虛)이다. |
2 | ||
3 | == 생애 == | |
4 | === 일제 강점기 === | |
5 | [[경상북도]] [[상주시|상주]]에서 태어나, 12세 때인 [[1913년]] 상주 [[동해사 (상주시)|동해사]]에서 출가했다. 상주보통학교와 남명학원을 거쳐서 [[문경시|문경]] [[김룡사]]의 경흥강숙을 [[1923년]] 졸업했다. | |
6 | ||
7 | 이후 [[일본]]에 유학하였고, [[1930년]]에 [[도쿄]]의 [[릿쇼 대학]] 전문부 종교과를 졸업했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해서는 잠시 경성실업전수학교 교원을 지내다가, 재차 유학하여 [[1932년]] 릿쇼 대학 종교과를 졸업하고 불교교리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연구에 충실히 몰두하여 [[1936년]]에 릿쇼 대학 전문부 종교과의 전임강사로 임용되었다. | |
8 | ||
9 | 이 무렵 조선에서는 총독 [[우가키 가즈시게]]가 앞장서 보급한 심전개발 운동을 유교계와 불교계가 지원하고 있었다. 김동화는 1936년 여름 방학을 이용하여 고향인 상주군 일원을 돌며 순회강연을 벌였다. [[중일 전쟁]] 2주년을 맞는 [[1938년]]에도 시국 행사로 개최된 '시국 인식 및 심전개발 하기 순회강연회'에 연사로 참여해 경북 여러 지역에서 강연을 했다. | |
10 | ||
11 | [[1939년]]에 경북5본산이 주축이 된 경북불교협회의 총무로 선출되면서 리소 대학에서는 사직했다. 전쟁 시국인 이때 경북불교협회는 [[조선총독부]]의 시책에 협조적인 모습을 보였고, 그 중심에는 총무인 김동화가 있었다. [[1939년]] 경북5본산 승려하기수련강습회에 외부 강사들을 초빙하여 [[내선일체]] 등 정치적인 성격의 강연을 들었고, 하기강습회 기간 중 승려들이 식사를 걸러 모은 금액은 국방헌금으로 헌병대에 납부되었다. | |
12 | ||
13 | [[1940년]]에는 경북5본산이 합동으로 [[은해사]]에 세운 [[오산불교학교]]의 초대 교장에 취임했다가, 그해 [[경성부]]의 [[혜화전문학교]] 강사가 되었다. [[1942년]]에는 혜화전문학교 교수로 승진했으며, [[태평양 전쟁]] 지원을 위한 강연 활동에 계속 참여했다. [[1943년]]에 [[구세군]]의 [[황종률 (구세군)|황종률]]과 함께 영남 지역에서 학병 지원 유세를 편 일도 있고, [[1944년]] 《불교》에 징병제 실시는 영광이라는 내용의 친일 시사문을 기고하기도 했다. | |
14 | ||
15 | 김동화는 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1944년]]에 중앙 포교사 및 조선 불교 교학위원에 임명되어 총본산 종무원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당시의 총본산은 전시체제에 협조하기 위해 조직된 친일 종단이었다. 김동화는 이 직책에 재직하면서 [[부민관]]에서 열린 '미영격멸종교단체총궐기대회'에 참여한 일이 있다. 이 행사에는 조선총독 등 최고위급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여 [[조선신궁]]을 함께 참배한 뒤 각 종교 대표들이 '열렬한 결의를 표하는' 전쟁 지원 연설을 했는데, 김동화는 불교계 대표로 연설했다. | |
16 | ||
17 | === 광복 후 === | |
18 | ||
19 | [[1945년]]에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한 뒤 혜화전문학교에 돌아와 교수가 되었고, [[1947년]]에 이 학교의 후신인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학과장에, [[1948년]]에는 부학장에 임명되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에 피난지 [[부산]]에서 학장에 취임하였고, [[1953년]]에는 동국대학교 대학원장이 되었다. | |
20 | ||
21 | [[1962년]] 동국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고 [[1971년]]까지 대학원장 및 불교문화연구소장으로 재직했다. [[1972년]]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교육 공로자로 선정해 수여한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고, 같은 해 학술원 공로상을 받고 [[대한민국학술원]]의 종신회원이 되었다. | |
22 | ||
23 | == 사후 == | |
24 | 김동화는 불교사상의 현대적 정립으로 한국불교의 발전을 이룬 선각자이며 '근대 불교연구의 거장'으로 평가받는다.<ref>{{뉴스 인용 | |
25 | |저자 = 김정은 | |
26 | |url = http://www.buddhapia.com/mem/hyundae/auto/newspaper/208/c-11.htm | |
27 | |제목 = 동국대 불교관련 박사논문 3편 | |
28 | |출판사 = 현대불교 | |
29 | |날짜 = 1999-01-27 | |
30 | |확인날짜 = 2008-03-31 | |
31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50108005519/http://www.buddhapia.com/mem/hyundae/auto/newspaper/208/c-11.htm# | |
32 | |보존날짜 = 2005-01-08 | |
33 | |url-status = dead | |
34 | }}</ref> 활발한 저술 활동으로 많은 논문을 남겨, 탄생 100주년인 [[2002년]]에 전14권의 《뇌허 김동화 전집》이 출간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 | |
35 | |저자 = 김중근 | |
36 | |url = http://www.buddhapia.com/mem/hyundae/auto/newspaper/343/c-12.htm | |
37 | |제목 = 탄생 100주년 김동화 전집 14권 출간 | |
38 | |출판사 = 현대불교 | |
39 | |날짜 = 2002-11-14 | |
40 | |확인날짜 = 2008-03-31 | |
41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50118021708/http://www.buddhapia.com/mem/hyundae/auto/newspaper/343/c-12.htm# | |
42 | |보존날짜 = 2005-01-18 | |
43 | |url-status = dead | |
44 | }}</ref> | |
45 | ||
46 |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종교 부문에 선정되었다. | |
47 | ||
48 | == 각주 == | |
49 | <references/> | |
50 | ||
51 | == 참고자료 == | |
52 | * {{서적 인용 | |
53 | |저자=임혜봉 | |
54 | |제목=친일 승려 108인 | |
55 | |날짜=2005-03-01 | |
56 | |출판사=청년사 | |
57 | |출판위치=서울 | |
58 | |ISBN=9788972783848 | |
59 | |장=김동하 : 학병 지원 유세를 한 유학생 출신의 학승 | |
60 | |페이지=387~398쪽 | |
61 | ||
62 | }} | |
63 | ||
64 | <!-- 학장 (총장에 해당) --> | |
65 | ||
66 | {{전거 통제}} | |
67 | [[분류:1902년 태어남]] | |
68 | [[분류:1980년 죽음]] | |
69 | [[분류:일제 강점기의 승려]] | |
70 | [[분류: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 | |
71 |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
72 | [[분류: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
73 | [[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 | |
74 | [[분류:상주시 출신]] | |
75 | [[분류:동국대학교]] | |
76 | [[분류:대한민국의 승려]] | |
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