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9
r1

(새 문서)
1||<-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ed1c27,#F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024fa2> '''{{{#FFF {{{+1 애국가}}}[br]愛國歌}}}''' ||
2||<bgcolor=#ed1c27><width=79> {{{#FFF '''지위'''}}} ||국가(國歌) ||
r8
3||<bgcolor=#ed1c27> {{{#FFF '''제정 시기'''}}} ||북조선인민위원회 {{{-2 (1947년 6월 29일)}}}[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2 (1992년)}}} ||
r4
4||<bgcolor=#ed1c2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FFF '''근거 법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7장 제17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는 <애국가> 이다.] ||
5||<bgcolor=#ed1c27> {{{#FFF '''작사'''}}} ||박세영(시인)|, 1947년 5월||
6||<bgcolor=#ed1c27> {{{#FFF '''작곡'''}}} ||김원균, 1947년 6월 27일 ||
r9
7||<bgcolor=#ed1c27> {{{#FFF '''편곡'''}}} ||황학근[* 합창 성부 및 관현악 편곡. 김일성장군의 노래 편곡도 맡았던 인물이다.] ||
r5
8||<bgcolor=#ed1c27> {{{#FFF '''초연'''}}} ||조선국립교향악단, 1947년 6월 (지휘: 박광우) ||
9[목차]
10== 개요 ==
11북한의 "국가(國歌)". 작사는 박세영(朴世永, 1902~1989). 경기도 고양 (현재 서울 성동구) 출신으로, 1946년에 월북했다.
12
13현 행정구역 기준으로 할 때, 매우 아이러니하게도 대한민국에서는 평양 출신의 안익태가 작곡한 애국가를, 북한에서는 서울에서 태어난 박세영이 작사한 노래를 국가로 쓰는 것이 된다.
14
15작곡은 김원균(金元均, 1917~2002) 강원도(구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광산 노동자 출신의 음악가.
16
17영어로는 Aegukka. 남한의 애국가는 로마자로 'Aegukga'로 표기한다. 대한민국의 로마자 표기법은 된소리되기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북한에서는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18
19첫 소절인 '아침은 빛나라(Let Morning Shine)'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20
21작사는 1947년 5월, 작곡은 같은 해 6월 27일에 완성되어 6월 29일 북조선인민위원회에서 이 곡을 애국가로 최종 확정했으며, 1948년 중순에 비로소 보급되기 시작했다.
22
23|| [youtube(DdcwJe7YAns)] || [youtube(EZFkHX46pqM)] || [youtube(sH2JwbAk_2Y)] ||
r6
24|| 조선인민군 창설식에서의 애국가 || 남북연석회의에서의 애국가 || 현재 애국가 ||
r5
251948년 중반까지는 올드 랭 사인 곡조에 기존의 애국가, '독립군 애국가'의 가사가 있는 애국가를 제창하였다.
26
27이 곡이 완성된 1947년에는 아직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지 않아 통일 한국의 정부 수립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기에, 북한에서 자신들만의 애국가를 만들었다고 공표하면 미군정에서 '북한 단독 정부를 세우겠다는 소리냐' 라는 식으로 나올까봐 확정만 하고 보급은 나중으로 미뤘다고 한다.
28
29그래서 그런지 1948년 [[북한]] 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인민민주주의헌법에도 해당 관련 법령은 없고, 1992년 수정헌법 때 비로소 성문화되었다. 이러한 사실 때문인지 북한의 애국가에 대한 설명을 보면 1947년과 1948년을 헷갈려 기술한 사이트도 많다.
30
31법적으로 국가로 지정되지는 않은 남한의 애국가와는 달리, 북한의 헌법 제1절 제171조에 명시되어 있다.
32
3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171조[br]'''[[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는 《애국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