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
r1

(새 문서)
1[include(틀:사건사고)]
2||<-3><tablewidth=500><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color#fff> '''{{{+2 연평도 포격전}}}''' ||
3||<-3> {{{#!wiki style="margin: -5px -10px"
4[[파일:연평도 포격 사진.jpg|width=100%]]}}} ||
5||<-3><bgcolor=#000><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0"
6{{{-1 포격 직후 연평도의 모습}}}}}} ||
7||<colbgcolor=#000><colcolor=#fff><width=25%> '''발생일''' ||<-2>2010년 11월 23일 ||
8|| '''장소''' ||<-2>[[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대연평도,[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황해남도 강령군 무도방어대·개머리해안 일대 ||
9|| '''교전국''' ||[[파일:태극기.jpg|width=20px]] [[대한민국]] ||<width=25%>[[파일:북한 국기.jpg|width=20px]]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
10[목차]
11== 개요 ==
12연평도 포격(延坪島 砲擊)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아무런 선전포고도 없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하자 대한민국 해병대가 피격 직후 북한 영토를 향해 대응사격을 가한 사건이다.
13== 상세 ==
14대한민국 국군은 서해 5도에 진돗개 하나를 발령한 뒤, 곧 전군으로 진돗개 하나를 확대 발령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에는 해병대원 전사자 2명, 군인 부상자 16명, 민간인 사망자 2명, 민간인 부상자 3명, 도합 사망자 4명과 부상자 1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연평도의 각종 시설 및 가옥이 파괴되어 재산 피해를 입었다.
15
16한국 전쟁의 휴전 협정 이후 조선인민군이 대한민국의 영토를 직접 타격하여 민간인이 사망한 최초의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큰 관심을 끌었고, 당시 국제 사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규탄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당한 군사적 대응이었으며 전적인 책임은 대한민국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천안함 피격 사건에 이어 8개월 만에 벌어진 이 사건으로 인해 양측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17
182021년 3월 31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해병대와 전사자 유족의 요구를 받아들여 사건의 공식 명칭을 연평도 포격 도발에서 연평도 포격전으로 변경했다. 앞서 해병대사령부는 2012년과 2015년 등 '연평도 포격 도발' 명칭을 '포격전'으로 바꿔줄 것을 국방부에 건의했지만 변경되지 않았으며, 전사자 유족들로부터도 변경 요청이 있었다. 변경되기 전에도 해병대는 자체적으로 '연평도 포격전'이라는 용어를 계속 써왔다.
19== 본 문서 정보 ==
20 * 본 문서에 작성된 일부 내용들은 아래의 자료들로 참고하였습니다.
21
22 * [[https://ko.m.wikipedia.org/wiki/%EC%97%B0%ED%8F%89%EB%8F%84_%ED%8F%AC%EA%B2%A9%EC%A0%84|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