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극한(비교)

r4 vs r6
......
55
66
== 엡실론‐델타법 ==
77
고등학교 수준을 넘어가면 다음과 같이 엄밀하게 배운다.
8
9
[math(x)]에 대한 함수 [math(f\left(x\right))]와 [math(a)]에 대하여
10
아무 [math(\epsilon > 0)] 인 [math(\epsilon)]을 잡더라도
8
||[math(x)]에 대한 함수 [math(f\left(x\right))]와 [math(a)]에 대하여
9
아무 [math(\epsilon > 0)] 인 [math(\epsilon)]을 잡더라도 ("오차"라는 뜻의 error를 생각해보자.)
1110
상수 [math(L)]에 대하여 다음 명제 곧
12
> [math(x \neq a)]이고 [math(a-\delta < x < a+\delta)]이면 [math(L-\epsilon< f\left(x\right) < L+\epsilon)]이다.
13
를 참이 되게 할 수 있는 __적당한 양수 [math(\delta)]를 항상 정할 수__ 있는 상수 [math(L)]이 존재할 때
11
> [math(x \neq a)]이고 [math(a-\delta < x < a+\delta)]이면
12
> [math(L-\epsilon< f\left(x\right) < L+\epsilon)]이다.
13
를 참이 되게 할 수 있는 __적당한 양수 [math(\delta)]를 항상 정할 수__ 있는 상수 [math(L)]이 존재할 때 ("편차"라는 뜻의 difference를 생각해보자.)
1414
1515
함수 [math(f\left(x\right))]는 [math(x=a)]에서 [math(L)]로 '''수렴한다'''고 말하며 기호로는 [math(\displaystyle\lim_{x\to a}f(x)=L)]으로 표기한다.
1616
17
만일 해당되는 [math(L)]이 존재하지 않으면 '''발산한다'''고 말한다.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