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극한(비교)

r42 vs r44
......
4444
4545
==== 참고사항1 ====
4646
{{{+2 내점이면 극한점이 되는 이유}}}
47
4748
먼저 [math(x=a)]가 [math(D)]의 "내점(Interior point)"이려면 내점의 정의에 따라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4849
||[math(a \in \left\{x|a-c_{1}<x<a+c_{1}\right\} \subset D)]
4950
를 만족하는 적당한 양수 [math(c_{1})]가 존재한다.||
......
6869
||[math(\left(\left\{x|a-{\color{blue}c}<x<a+{\color{blue}c}\right\} \backslash \left\{ a \right\} \right) \cap D \neq \emptyset)]||
6970
을 만족하며, [math(x=a)]가 [math(D)]의 '내점'이면 [math(x=a)]은 [math(D)]의 '극한점'이 된다.
7071
72
참고로, __주의할 점이 있는데 [math(D)]의 극한점이라고 해서 [math(D)]의 내점이 되지는 않__는다. 만일 [math(D)]가 [math(\mathbb{R})]의 모든 유리수들만을 모아놓은 집합이고 여기서 임의의[math(x=p)] 지점을 가져왔다고 하자.
73
임의의 양수 [math(c)]에 대하여 다음 집합인
74
||[math(\left\{x|p-c<x<p+c\right\})]를 보자.||
75
위 집합에서는 [math(c)]가 그 어떤 값이라도 무수히 많은 유리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들은 모두 [math(D)]의 원소이다. 따라서 [math(D)]의 모든 지점은 [math(D)]의 극한점이 된다.
76
한편, 위 집합에서는 [math(c)]가 그 어떤 값이라도 __무수히 많은 무리수__가 있으며, 따라서 [math(D)]의 부분집합이 될 수 없다. 따라서 [math(D)]의 모든 원소에 해당되는 지점은 [math(D)]의 내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7177
-------
7278
{{{+2 수렴하는 극한의 유일성}}}
79
7380
극한이 [math(L)]로 수렴할 경우, 유일(unique)하다. (여기 보통위상[*보통위상]에서는. [[위상]]이 어떤 구성으로 되어있느냐에 따라 수렴하는 극한값이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7481
7582
-------
76
[anchor(극한점 전제조건)]
77
{{{+2 극한점임이 전제되어야 하는 이유}}}
83
[anchor(극한점 전제조건)]{{{+2 극한점임이 전제되어야 하는 이유}}}
84
7885
결론부터 말하자면 수렴하는 극한의 유일성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7986
8087
만일 [math(x=a)]가 [math(D)]의 극한점이라는 전제가 없으면 (특히 어떤 값으로 수렴함을 보이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앞에서 언급된 극한점의 조건에서 제시된 명제를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