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극한(비교)

r52 vs r55
......
77
== 수열 ==
88
무한 수열 [math(a_{n})] 에 대해 [math(n)]이 무한히 커지고 [math(a_{n})]이 [math(L)]에 가까워지면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a_{n}= L )] 이라고 한다.
99
10
== 엡실론‐델타법 ==
11
고등학교 과정을 넘어가면 다음과 같이 엄밀하게 배운다. 기호가 조금 복잡할 수 있겠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집합(, 집합의 표기법, 포함관계, 멱집합, 집합의 연산), 명제, 부등호, 절댓값, 함수(, 정의역, 공역, 함숫값), 수열 등의 개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정의(Definition), 정리(Theorem)들이므로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근방" 등의 일부 기호는 풀어서 서술함을 밝힌다.
10
== 엡실론 이용한 극한의 정의 ==
11
고등학교 과정을 넘어가면 그리스 문자 [math(\epsilon)](엡실론), [math(\delta)](델타) 등을 읽으면서 극한의 정의를 엄밀하게 배운다.
12
기호가 조금 복잡할 수 있겠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집합(, 집합의 표기법, 포함관계, 멱집합, 집합의 연산), 명제, 부등호, 절댓값, 함수(, 정의역, 공역, 함숫값), 수열 등의 개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정의(Definition), 정리(Theorem)들이므로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math(\epsilon)]-근방" 등의 일부 기호는 풀어서 서술함을 밝힌다.
1213
* 먼저 실수 전체집합을 [math(\mathbb{R})]이라 하자.
1314
* 공역을 [math(\mathbb{R})]로 두면서도 실수 [math(x)]에 대한 함수 [math(f\left(x\right))]의 정의역(Domain, 곧 집합이 된다.)을 [math(D)]라 하자. (교과서에 따라 [math(E)]라고 적힌 곳도 있지만 쉬운 이해를 위하여 [math(D)]로 적는다.)
1415
* (당연히 [math(D \subset \mathbb{R})]이 된다.)
1516
* (또한 이는 [math(f:D \to \mathbb{R})]이 된다.)
1617
17
=== 어떤 지점에서의 함수의 극한 ===
18
=== 어떤 지점에서의 함수의 극한 (엡실론-델타법) ===
1819
[math(x \to 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1920
2021
들어가기 앞서 다음 전제조건이 깔려 있어야 한다.
......
177178
178179
{{{+1 '''1.'''}}} 그럼 [math(x=a)]가 [math(D)]의 극한점이 __아닌 경우__가 존재한다.
179180
180
{{{+1 '''2.'''}}} 앞에서 언급된 극한점의 조건을 보 다음과 같다.
181
{{{+1 '''2.'''}}} 극한점의 조건을 보자.
182
[math(x=a)]가 [math(D)]의 극한점인 조건은 다음과 같다.
181183
||임의의 양수 [math(c)]에 대하여
182184
[math(\left(\left\{x|a-c<x<a+c\right\} \backslash \left\{ a \right\} \right) \cap D \neq \emptyset)]||
185
183186
이 명제의 부정은
184187
||{{{#red 어떤}}} 양수 [math(c)]에 대하여
185188
[math(\left(\left\{x|a-c<x<a+c\right\} \backslash \left\{ a \right\} \right) \cap D {\color{red}\ =\ }\emptyset)]||
186189
이 된다.
187190
188
{{{+1 '''3.'''}}} 앞에 말한 함수의 극한의 정의에서 다음 명제를 보자.
191
{{{+1 '''3.'''}}} 함수의 극한의 정의에서 다음 명제를 보자.
189192
> [math(x \in D)]이고 [math(x \neq a)], [math(a-\delta < x < a+\delta)]이면
190193
> [math(L-\epsilon< f\left(x\right) < L+\epsilon)]이다.
191194
192
{{{+1 '''4.'''}}} '''2.'''를 만족하는 [math(c)]를 가져와서 '''3.'''의 [math(\delta)]를 [math(\delta \leq c)]를 만족하는 적당한 값으로 두자.([math(\delta)]를 충분히 작은 값으로 잡자.)
195
{{{+1 '''4.'''}}} '''1.'''의 경우(충분히 나올 수 있다) '''2.'''를 만족하는 [math(c)]를 가져와서 '''3.'''의 [math(\delta)]를 [math(\delta \leq c)]를 만족하는 적당한 값으로 두자.([math(\delta)]를 충분히 작은 값으로 잡자.)
193196
194197
그러면 [math(L)]의 값과 관계 없이 '''3.'''에 제시된 명제의 가정에서 두 조건이 서로 모순된다.
195
|| 1. [math(x \in D)]
196
1. [math(x \neq a)], [math(a-\delta < x < a+\delta)]||
198
||1. [math(x \in D)]
199
2. [math(x \neq a)], [math(a-\delta < x < a+\delta)]||
200
따라서 '''가정이 거짓이 되며''', 가정이 거짓인 이유로 '''명제가 전체적으로 참'''이 되버리는 오류가 발생한다.
197201
198
이는 곧 '''가정이 거짓이 된'''다. 곧 가정이 거짓이므로 '''명제가 전체적으로 참'''이 되버리는 오류가 발생한다.
199
200202
{{{+1 '''5.'''}}} 이 때 [math(L)]의 값을 아무렇게 잡아도 명제가 참이 된 탓에 "모든 실수값으로 수렴한다"는 오류까지 발생한다. 이는 수렴하는 함수의 유일성에 위배된다.
201203
202204
그러므로 [math(x=a)]가 [math(D)]의 극한점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