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극한(비교)

r53 vs r54
......
77
== 수열 ==
88
무한 수열 [math(a_{n})] 에 대해 [math(n)]이 무한히 커지고 [math(a_{n})]이 [math(L)]에 가까워지면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a_{n}= L )] 이라고 한다.
99
10
== 엡실론‐델타법 ==
10
== 엡실론 이용한 극한의 정의 ==
1111
고등학교 과정을 넘어가면 다음과 같이 엄밀하게 배운다. 기호가 조금 복잡할 수 있겠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집합(, 집합의 표기법, 포함관계, 멱집합, 집합의 연산), 명제, 부등호, 절댓값, 함수(, 정의역, 공역, 함숫값), 수열 등의 개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정의(Definition), 정리(Theorem)들이므로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근방" 등의 일부 기호는 풀어서 서술함을 밝힌다.
1212
* 먼저 실수 전체집합을 [math(\mathbb{R})]이라 하자.
1313
* 공역을 [math(\mathbb{R})]로 두면서도 실수 [math(x)]에 대한 함수 [math(f\left(x\right))]의 정의역(Domain, 곧 집합이 된다.)을 [math(D)]라 하자. (교과서에 따라 [math(E)]라고 적힌 곳도 있지만 쉬운 이해를 위하여 [math(D)]로 적는다.)
1414
* (당연히 [math(D \subset \mathbb{R})]이 된다.)
1515
* (또한 이는 [math(f:D \to \mathbb{R})]이 된다.)
1616
17
=== 어떤 지점에서의 함수의 극한 ===
17
=== 어떤 지점에서의 함수의 극한 (엡실론-델타법) ===
1818
[math(x \to 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1919
2020
들어가기 앞서 다음 전제조건이 깔려 있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