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실수체계(비교)

r9 vs r10
......
1111
다음은 실수에 대한 성질을 다루며, 공리로 다루어 시작한다.
1212
(논리체계를 시작으로 하여 [math(1 \in \mathbb{C})], [math(1 \neq 0)]을 공리로 둔 다음 여러 논리체계의 정리를 거쳐 [math(1 \in \mathbb{R})]이 성립함을 [[http://us.metamath.org/mpeuni/1re.html|증명한 곳]](...)도 있다. 여기서 [math(\mathbb{C})]는 모든 [[복소수]]들을 모아놓은 집합이다. 복소수체계를 공리로 두고 시작하는 방법이든 실수체계를 공리로 두고 시작하는 방법이든 둘 중 하나는 공리로 둘 수 밖에 없다. 단, [[허수]]에 대하여 [math(i \in \mathbb{C})]는 둘 중 어느 방법으로 하든 [[http://us.metamath.org/mpeuni/ax-icn.html|공리]]로 둔다.)
1313
14
또한 집합론에서 두 원소를 두고 "관계"(relation)를 정의하면서 "연산"을 정의하고 시작한다. 이는 (단순 모든 실수의 집합만이 아닌 일반적인 집합에 대한 개념을 다루는 까닭에) 내용이 방대하므로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배우지 않는다.) [[집합(수학)|집합]] 문서의 서술로 남겨두고 여기에는 생략한다.
15
1416
다음은 덧셈과 곱셈 연산에 대한 성질이다.
1517
||모든 실수를 모아놓은 집합 [math(\mathbb{R})]과 임의의 실수 [math(a)], [math(b)], [math(c)]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1618
{{{+1 I.}}} [[덧셈]] 연산 "[math(+)]"에 대한 성질
......
4951
* 참고
5052
i. [math(a\geq b)] : [math(a>b)] '''또는''' [math(a=b)] 임을 뜻한다. ('''g'''reater than or '''eq'''ual to)
5153
i. [math(a\leq b)] : [math(a<b)] '''또는''' [math(a=b)] 임을 뜻한다. ('''l'''ess than or '''eq'''ual to)
52
i. 복소수체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대소비교가 불가능하다.||
54
i. [math(a\neq b)] : [math(a=b)]이 아님을 뜻한다. ('''n'''ot '''eq'''ual to) 대소를 비교해야 하는 계산에서는
55
[math(a<b)] 또는 [math(a>b)]가 된다.
56
단, 복소수체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대소비교가 불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허수]] 참조.||
5357
54
[[분류:수학]]
58
[[분류:수학]][[분류:더새드위키 수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