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 vs r3 | ||
---|---|---|
1 | 1 | [[분류:수학]] |
2 | == 개요 == | |
3 | 음수의 제곱근에 해당되는 값이 포함되는 수. | |
4 | ||
5 | == 소개 == | |
6 | 열람 주의 : [[실수체계]]가 먼저 이해되어야 합니다. | |
7 | ||
2 | 8 | 양수의 제곱은 양수이며 음수의 제곱은 양수가 된다. 여기에서 제곱하여 양수가 되는 수는 양수 아니면 음수임이 분명하므로 양수의 제곱근은 양수 또는 음수이다. |
3 | 9 | |
4 | 10 | 그런데, __제곱하면 음수가 되는 수__를 찾아야 하는 경우 곧 __음수의 제곱근__을 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차방정식 문제를 풀다 보면 쉽게 겪을 수 있는 문제이다.) 조금 더 간략히 하자면 [math(x^2=-1)]을 만족하는 [math(x)]를 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
5 | 11 | |
6 | 12 | 앞의 [math(x^2=-1)]을 만족하는 [math(x)]은 [math(\sqrt{-1})], [math(-\sqrt{-1})]가 되며, 이러한 수는 "뭔지는 모르겠지만 하나의 문자식 같은 가상의 수라고 여기면서" 사칙연산을 하면 잘 된다고 한다. |
7 | 13 | |
8 | 여기에서 [math(\sqrt{-1})]가 있는 수를 허수(imaginary number)라고 부르며, imaginary의 머릿글자 i를 따서 [math(i=\sqrt{-1})]로 표기 | |
14 | 여기에서 [math(\sqrt{-1})]가 있는 수를 허수(imaginary number)라고 부르며, imaginary의 머릿글자 i를 따서 [math(i=\sqrt{-1})]로 표기하며, [math(i)]는 허수단위라고 부른다. ("실상"과 "허상"이라는 단어, "상상하다"는 의미가 들어있는 "imagine"이라는 단어를 떠올려보자.) | |
9 | 15 | |
16 | 전기공학 등 전기와 관련된 물리현상을 공부하는 경우 허수단위를 [math(\sqrt{-1}=j)]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전류를 뜻하는 [math(I)][* '''I'''ntensity of Current]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 |
17 | ||
18 | {{{#!folding [각주 보기, 접기] | |
19 | [각주]}}} | |
20 | == 성질 == | |
21 | === 복소수 === | |
22 | 두 실수 [math(a)], [math(b)]에 대하여 허수를 포함한 수를 | |
23 | ||[math(a+b \times i)]|| | |
24 | 로 나타내며 이를 '''복소수'''(complex number)라 부른다. --실수라고 부르기에는 콤플렉스가 있는 숫자-- 곱셈에 대한 혼동의 여지가 없으면 곱셈 기호를 생략하고 | |
25 | ||[math(a+bi)]|| | |
26 | 로 나타내며, 전자의 [math(a)]를 '''실수부''', 후자의 [math(b)]를 '''허수부'''로 부른다. | |
27 | ||
28 | 앞의 실수체계에서 확장을 하여 임의의 실수 [math(a_{r})], [math(a_{i})], [math(b_{r})], [math(b_{i})], [math(c_{r})], [math(c_{i})]에 대한 임의의 세 복소수 [math(a_{r}+a_{i}i)], [math(b_{r}+b_{i}i)], [math(c_{r}+c_{i}i)]에 대하여 덧셈, 곱셈에 대한 성질을 만족하는 복소수체계를 생각할 수 있다. 단, 대소비교는 불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내용 참조. | |
29 | ||
30 | === 허수단위에 대한 계산 === | |
10 | 31 | 이렇게 하여 [math(a > 0)], [math(b > 0)]인 [math(a)], [math(b)]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
11 | 32 | * [math(i^2=-1)]이 된다. |
12 | 33 | * [math(i^3=-i)], [math(i^4=1)]이 된다. [math(i)]에 대한 거듭제곱은 4번 주기로 [math(i)], [math(-1)], [math(-i)], [math(1)]이 순환된다. (간혹 이를 이용한 문제를 볼 수 있다. 이를테면 "다음 [math(i^{2021})]을 간단히 하시오."같은 문제.) |
... | ... | |
16 | 37 | [math(\sqrt{-a}\times\sqrt{-b}={\color{red}-}\sqrt{a\times b})]이다. |
17 | 38 | 이유는 [math(\sqrt{-a}\times\sqrt{-b} = (\sqrt{a}{\color{blue}\times i})\times(\sqrt{b}{\color{blue}\times i}) = \sqrt{a}\times\sqrt{b}{\color{blue}\times i^2}={\color{blue}-}\sqrt{a\times b})]이기 때문. |
18 | 39 | |
19 | ||
40 | === 대소비교의 불가능 === | |
41 | 허수는 일반적으로 대소비교가 불가능하다. 앞의 [[실수체계]]의 대소비교에 대한 성질을 끌어다 쓰면 모순되는 점이 발생하기 때문. | |
20 | 42 | |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