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 ||||
경부고속도로 노선도[1] | ||||
노선 번호 | ||||
1번 | ||||
기점 | ||||
종점 | ||||
연장 | ||||
416km[3] | ||||
개통 | ||||
1968. 12. 21. | ||||
1968. 12. 30. | ||||
1969. 9. 29. | ||||
1969. 12. 10 | ||||
1969. 12. 26. | ||||
1969. 12. 29. | ||||
1970. 7. 7. | ||||
시공사 | ||||
현대건설, 한신공영, 대우건설, 럭키개발, 코오롱건설, 대림산업, 한일개발, 삼환기업, 삼성종합건설, 한국중공업, 삼부토건, 쌍용건설, 임광토건, 극동건설 外# | ||||
관리 | ||||
왕복 차로 수 | ||||
청성 졸음쉼터 - 동이면 소도교 | ||||
6차로 | ||||
8차로 | ||||
10차로 | ||||
12차로 | ||||
구조 | ||||
주요 경유지 | ||||
1. 개요
1. 개요[편집]
| |
|
삼천만 온 겨레가 힘과 뜻을 한데 뭉쳐
이 나라 근대화의 길로 줄달음질 이 해는 왔네
보아라 저 험산 뚫고 뻗어가는 고속도로
대국토 건설의 맥박이 뛴다
[1] 2020년 자료로, 현재는 서울주JC의 함양울산고속도로와 동대구JC, 칠곡JC의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북구미IC가 새로 개통되었으며 동탄JC의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곤지암 방면이 연장 개통되었다.[2] 2002년 단축 이전에는 강남구 신사동 한남대교 남단이었다.[3] 최초 개통 당시엔 428km였으나, 확장 및 선형 개량 공사를 거치고 경부간선도로(한남IC ~ 양재IC)가 고속도로 구간에서 해제되어 단축되었다. 해제 지점은 대략 현대자동차, 기아 본사 위치와 근접하기 때문에 해당 건물을 지나면 고속도로가 끝났다고 봐도 무방하다.[4] 그로부터 약 34년후인 2002년 11월 25일 한남IC ~ 양재IC 구간이 서울특별시도인 경부간선도로로 전환되며 고속도로 구간에서 제외되었다. 최초 개통 구간은 반포IC에서 끝나 이수교차로에서 구 395번 지방도와 합류해 한강대교 방향으로 직결되어 한강대교 남단에서 끝이 났다.[5] 당시 제3한강교 개통과 함께 완공.[6] 서울 방향 가변차로 시행.[7] 부산 방향 가변차로 시행.[8] 부산방향 가변차로 시행.[9] 양방향 가변차로 시행.[10] 양방향 가변차로 시행.[11] 양방향 가변차로 시행.[12] 서울방향 5차로, 부산방향 7차로.[13] 부산, 경남, 울산: 구서IC, 영락IC, 노포IC, 양산IC, 통도사하이패스IC, 통도사IC, 서울산IC, 활천IC
대구, 경북: 경주IC, 건천IC, 영천IC, 경산IC, 북대구IC, 칠곡물류IC, 왜관IC, 남구미IC, 구미IC, 북구미IC, 동김천IC, 김천IC, 추풍령IC
대전, 충청: 황간IC, 영동IC, 금강IC, 옥천IC, 대전IC, 신탄진IC, 남청주IC, 청주IC, 옥산하이패스IC, 목천IC, 천안IC, 북천안IC, 유성IC
수도권: 안성IC, 오산IC, 기흥동탄IC, 기흥IC, 수원신갈IC, 판교IC, 대왕판교IC, 양재IC.[14] 부산, 경남, 울산: 노포분기점(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양산분기점(중앙고속도로지선),서울주분기점(함양울산고속도로) 언양분기점(울산고속도로)
대구, 경북: 영천분기점(상주영천고속도로), 동대구분기점(대구부산고속도로), 도동분기점(새만금포항고속도로(대구-포항)), 금호분기점(중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김천분기점(중부내륙고속도로)
대전, 충청: 비룡분기점(통영대전고속도로), 회덕분기점(호남고속도로지선), 청주분기점(서산영덕고속도로(청주-영덕)), 남이분기점(중부고속도로), 옥산분기점(당진청주고속도로(옥산-오창)), 천안분기점(논산천안고속도로,당진청주고속도로(아산-천안))
경기: 안성분기점(평택제천고속도로), 동탄분기점(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신갈분기점(영동고속도로), 판교분기점(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금토분기점(용인서울고속도로)[15] 경북: 경주터널
충북, 대전: 황간터널, 영동1~3터널, 옥천1~4터널, 삼양터널, 증약터널, 대전터널
경기: 경부동탄터널[16] 최장터널: 옥천3터널(양방향 1,593m)[17] 서울방면 16개소(양산휴게소, 언양휴게소, 건천휴게소, 경산휴게소, 칠곡휴게소, 김천휴게소, 추풍령휴게소, 황간휴게소, 옥천휴게소, 신탄진휴게소, 죽암휴게소, 청주휴게소, 천안삼거리휴게소, 입장휴게소, 안성휴게소, 죽전휴게소)
부산방면 16개소(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기흥휴게소, 안성휴게소, 망향휴게소, 천안휴게소, 옥산휴게소, 죽암휴게소, 옥천휴게소, 황간휴게소, 추풍령휴게소, 김천휴게소, 칠곡휴게소, 평사휴게소, 건천휴게소, 경주휴게소, 통도사휴게소)
양방향 통합형 1개소(금강휴게소)[18] 저 버스는 구 유신고속(이후 코오롱고속으로 변경) 소속이다. 새 마크만 보고 한진고속 소속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당시 한진고속은 차체에 '한진고속버스'로 표기했다.
대구, 경북: 경주IC, 건천IC, 영천IC, 경산IC, 북대구IC, 칠곡물류IC, 왜관IC, 남구미IC, 구미IC, 북구미IC, 동김천IC, 김천IC, 추풍령IC
대전, 충청: 황간IC, 영동IC, 금강IC, 옥천IC, 대전IC, 신탄진IC, 남청주IC, 청주IC, 옥산하이패스IC, 목천IC, 천안IC, 북천안IC, 유성IC
수도권: 안성IC, 오산IC, 기흥동탄IC, 기흥IC, 수원신갈IC, 판교IC, 대왕판교IC, 양재IC.[14] 부산, 경남, 울산: 노포분기점(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양산분기점(중앙고속도로지선),서울주분기점(함양울산고속도로) 언양분기점(울산고속도로)
대구, 경북: 영천분기점(상주영천고속도로), 동대구분기점(대구부산고속도로), 도동분기점(새만금포항고속도로(대구-포항)), 금호분기점(중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김천분기점(중부내륙고속도로)
대전, 충청: 비룡분기점(통영대전고속도로), 회덕분기점(호남고속도로지선), 청주분기점(서산영덕고속도로(청주-영덕)), 남이분기점(중부고속도로), 옥산분기점(당진청주고속도로(옥산-오창)), 천안분기점(논산천안고속도로,
경기: 안성분기점(평택제천고속도로), 동탄분기점(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신갈분기점(영동고속도로), 판교분기점(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금토분기점(용인서울고속도로)[15] 경북: 경주터널
충북, 대전: 황간터널, 영동1~3터널, 옥천1~4터널, 삼양터널, 증약터널, 대전터널
경기: 경부동탄터널[16] 최장터널: 옥천3터널(양방향 1,593m)[17] 서울방면 16개소(양산휴게소, 언양휴게소, 건천휴게소, 경산휴게소, 칠곡휴게소, 김천휴게소, 추풍령휴게소, 황간휴게소, 옥천휴게소, 신탄진휴게소, 죽암휴게소, 청주휴게소, 천안삼거리휴게소, 입장휴게소, 안성휴게소, 죽전휴게소)
부산방면 16개소(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기흥휴게소, 안성휴게소, 망향휴게소, 천안휴게소, 옥산휴게소, 죽암휴게소, 옥천휴게소, 황간휴게소, 추풍령휴게소, 김천휴게소, 칠곡휴게소, 평사휴게소, 건천휴게소, 경주휴게소, 통도사휴게소)
양방향 통합형 1개소(금강휴게소)[18] 저 버스는 구 유신고속(이후 코오롱고속으로 변경) 소속이다. 새 마크만 보고 한진고속 소속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당시 한진고속은 차체에 '한진고속버스'로 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