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Name Space
네임스페이스.
네임스페이스.
2. 위키에서[편집]
2.1. 도쿠위키[편집]
'wiki' 네임스페이스가 기본적으로 탑재가 되어있다. 그냥 검색창에서 네임스페이스 이름:문서 이름 이렇게 하고 문서를 생성하면 그냥 자동적으로 네임스페이스가 생긴다.
2.2. the seed[편집]
the seed의 경우 기본 탑재 이름공간을 제외하면 설정파일에서 직접 추가하는 방식이다. 서버 설정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관리자가 할 수는 없고, 사용자:namu에게 만들어달라고 요청해야 한다. 각 위키의 RandomPage를 들어가보면 네임스페이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the seed 엔진 위키별로 탑재된 네임스페이스의 비교표이다. ☆표는 the seed 엔진으로 새 위키를 만들 시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있는 네임스페이스를 가리킨다.
다음은 the seed 엔진 위키별로 탑재된 네임스페이스의 비교표이다. ☆표는 the seed 엔진으로 새 위키를 만들 시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있는 네임스페이스를 가리킨다.
이름공간 | ||||
[위키 이름] 위키[추가] | O | O | O | O |
문서☆ | O | O | O | O |
파일☆ | O | O | O | O |
틀☆ | O | O | O | O |
X | O | O[2] | O | |
X | X | O | X | |
분류☆ | O | O | O | O |
사용자☆ | O | O | O | O |
X | X | O | O | |
O | O | O | O | |
O[5] | O | O | O | |
O[7] | O | O | O | |
X | X | O | X | |
X | X | O | X | |
O | O | O | O | |
O | O | O | O | |
O | O | O | O | |
O | O | O | O | |
X | O | X | X | |
O | O | O | O |
이름공간 | 문서 수 |
전체 | 13609 |
파일 | 2720 |
문서 | 7072 |
틀 | 543 |
사용자 | 1704 |
더시드위키 | 26 |
분류 | 1416 |
휴지통 | 74 |
시스템 | 14 |
파일휴지통 | 15 |
삭제된사용자 | 12 |
위키운영 | 13 |
[pagecount(
각 위키별로
이름
)]에서 이름
이 위키에 탑재되어 있는 네임스페이스 이름일 경우 값이 제대로 출력되며, 그렇지 않은 이름일 경우에는 문서 전체 수가 출력되는 일종의 함수(function)로 보인다.[14]각 위키별로
문서
, 틀
, 분류
, 파일
, 토론
, 투표
, 사용자
, 삭제된사용자
, 특수기능
, 시스템
[15] 네임스페이스는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으나 그 외에 사용하는 네임스페이스는 조금씩 다르다.- 알파위키는 독자적으로
집단창작
,나무파일
,보존문서
가 탑재되어 있다. 집단창작에 대해 (허가를 받으면) 열려있으며, 제로베이스 작업에 임시조치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였다. 현재 가장 많은 이름공간을 사용하고 있다. -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지 않던 네임스페이스가 추가되어 테스트를 해보면 네임스페이스에 일반(문서)용, 파일용, 사용자용, 비공개용[18] 등 별도 속성을 걸어놓을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2.2.1. 분류와의 연관성[편집]
네임스페이스에 따른 목록 배치 순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분류:테스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분류이름 " 분류에 속하는 네임스페이스 전체 number 개 문서 |
분류 링크를 걸어 분류에 넣게 되면, 해당 분류 문서를 읽을 때 해당 분류에 들어간 문서들의 목록을 특정 네임스페이스별로 보여준다. 이때 보여주는 네임스페이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2.3. 아카라이브 채널위키[편집]
아카라이브 채널위키 시스템상으로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는 (일반)위키백과도 아니고 특이하게
분류 문서를 읽다보면 해당 분류로 분류된 문서 목록이 네임스페이스별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섞어찌개 목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네임스페이스 구분자는 표시된다.
문서
, 파일
, 틀
, 분류
, 특수
가 있다. 그리고 특수
네임스페이스가 존재한다. 문서 이름을 찾고자 검색하면 특수:검색
으로 이동된다.분류 문서를 읽다보면 해당 분류로 분류된 문서 목록이 네임스페이스별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
[추가] 1.1 1.2 1.3 현재 모든 위키에 존재하지만, 기본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추가된 것이다.[2] 이전에는 없었으나 생성 요청으로 2022년 5월~6월 사이에 생성되었다.[5] 2025년 4월 8일 생성되었다. #[6] 2025년 8월 24일 기존 운영 목적으로 쓰이던 시스템 ns에서 계승됨.[7] 2025년 8월 24일 생성[inactive] 8.1 8.2 탑재는 되어 있으나 ACL 허용규칙이 없어 비활성화 상태로 있는 네임스페이스이다.[unused] 10.1 10.2 10.3 탑재는 되어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네임스페이스이다.[13] 더시드위키에서는 활성화 상태지만 나무위키, 알파위키에서는 ACL 허용규칙이 없어 비활성화 상태다. 하지만 더시드위키에서도 과거 운영목적 네임스페이스로 쓰이면서 정식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가 위키운영으로 계승되면서 개방되었다.[14] 모종의 오류로 값이 음수(...)가 된 적이 있었다.[15] 최근에 추가된 기본 이름공간이다.[16] 위키운영:운영회의, 위키운영:내부 관리 리스트, 위키운영:이용자 제재에 관한 시행규칙, 위키운영:연습장 문서가 들어있다. #(feat. RandomPage)[17] 내용이 궁금하다면 업무를 처리한 시각과 대조해보면 된다.[18] 검색에 노출되지 않음.[19] 단, 나무위키에서는 사용자 문서에 규정상 분류 넣기가 금지되어 있었으나, 시스템상 사용자 문서에 분류를 넣으도 보이지 않게 엔진이 업데이트 되어 이제 분류를 넣을 수는 있어도 분류에서 보이지 않아서 분류 안에서 정렬되는 네임스페이스 순서를 파악하기 어렵다. #[20] 분류에 속한 문서인지만 확인할 수 있다. 이를테면 분류:테스트에 분류되어 있는 휴지통 문서[t] 21.1 21.2 분류:더시드위키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