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나무위키:문법 도움말/심화 문서의 if 문단도 참고.
if 구문(if 문법) 테스트용 위키위키 문서.
편집하거나 검증할 때 RAW(원문)를 참조할 수 있다.
if 구문은 문서에서만이 아니라 토론 스레드에도 지원된다.
if 구문(if 문법) 테스트용 위키위키 문서.
편집하거나 검증할 때 RAW(원문)를 참조할 수 있다.
if 구문은 문서에서만이 아니라 토론 스레드에도 지원된다.
2. true, false[편집]
#!undefined_command ==1
1
if true 1 (정의되지 않는 #!(Shebang) 구문(문법)이면 리터럴로 출력되어야 하겠으나 if는 그렇지 않다.[1])
1 (true는 출력된다.)
1 (true는 출력된다.)
if false 1
결론 : true는 논리값 true로 동작된다.
결론 : true는 논리값 true로 동작된다.
3. | 기호 테스트[편집]
3.1. 논리 연산[편집]
| 기호 테스트 (둘 다 true)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 기호 테스트 (둘 중 한 쪽 false)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 기호 테스트 (둘 다 false)
true | true : 출력된다.
출력(| 기호)
출력(| 기호)
true | fals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false | tru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false | 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결론 : | 기호는 논리연산 OR
true || tru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true |||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3.2. 비트 연산[편집]
| 기호가 2진수 비트합으로도 처리되는 것은, true와 false 진리값이 각각 1, 0인 논리를 시스템상에서 나타내므로
case1 | case2 | case3 | case4 | |
A | 1 | 1 | 0 | 0 |
B | 1 | 0 | 1 | 0 |
A|B | 1 | 1 | 1 | 0 |
표와 같이 처리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1을 true, 0을 false 놓고 보면 | 연산 결과가 같다.)
그래서 이진법도 각 자릿수별로 | 연산 비교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가령 5|3을 보자면 이진법으로 변환한 값의 각 자릿수에 따라 연산이 된다.
그래서 이진법도 각 자릿수별로 | 연산 비교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가령 5|3을 보자면 이진법으로 변환한 값의 각 자릿수에 따라 연산이 된다.
10진수 | 22 | 21 | 20 |
5 = | 1 | 0 | 1 |
3 = | 0 | 1 | 1 |
(5|3) = 7 | 1 | 1 | 1 |
(5|3)=7 테스트 : 출력된다.
출력
출력
(5|3)=6 테스트 : 출력되지 않는다.
그래서 (5|3)=7 을 조건부로 둔 if 구문(문법)을 걸어 놓으면 true로 동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5|3)=7 을 조건부로 둔 if 구문(문법)을 걸어 놓으면 true로 동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9|5)=13 테스트
10진수 | 23 | 22 | 21 | 20 |
9 = | 1 | 0 | 0 | 1 |
5 = | 0 | 1 | 0 | 1 |
(9|5) = 13 | 1 | 1 | 0 | 1 |
출력 (1101)
(9|5)=12 테스트 : 일(20)의 자릿수가 틀려서 출력되지 않는다.
4. & 기호 테스트[편집]
4.1. 논리 연산[편집]
& 기호 테스트 (한 쪽 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 기호 테스트 (한 쪽 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 기호 테스트 (둘 다 tru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true & tru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true & 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false &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false & 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결론 : & 기호는 논리연산 AND
4.2. 비트 연산[편집]
& 기호가 2진수 비트곱으로도 처리되는 것은, |기호와 같이 true와 false 진리값이 각각 1, 0인 논리를 시스템상에서 나타내므로
case1 | case2 | case3 | case4 | |
A | 1 | 1 | 0 | 0 |
B | 1 | 0 | 1 | 0 |
A&B | 1 | 0 | 0 | 0 |
표와 같이 처리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1을 true, 0을 false 놓고 보면 & 연산 결과가 같다.)
10진수 | 24 | 23 | 22 | 21 | 20 |
25 | 1 | 1 | 0 | 0 | 1 |
19 | 1 | 0 | 0 | 1 | 1 |
(25&19) = 17 | 1 | 0 | 0 | 0 | 1 |
if (25&19)=17 : 출력된다.
출력
출력
if (25&19)=19 : 21의 자릿수가 틀려서 출력되지 않는다.
10진수 | 24 | 23 | 22 | 21 | 20 |
20 | 1 | 0 | 1 | 0 | 0 |
11 | 0 | 1 | 0 | 1 | 1 |
(20&11) = 0 | 0 | 0 | 0 | 0 | 0 |
if (20&11)=0
출력
출력
5. 부등호 테스트[편집]
연산 테스트 (음수도 읽는 모양이다.)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geq(greater than or equal to)를 >=로 입력 안 하고 =>로 입력하면 깨진다.
geq 동작 가능 인증 (if 1>=1 걸면 true로 나온다.)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leq(less than or equal to)를 <=로 입력 안 하고 =<로 입력하면 깨진다.
leq(<=) 로 해도 나오지 않다가 잠수함 패치로 fix된 모양이다.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leq 동작 가능 인증 (if 1<=1 걸면 true로 나온다.)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 and >=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 부등호도 가능하다.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true and true) or (false and true)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 (times) 기호 : 출력된다.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 식 을 틀리게 만들면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는 지원되는 모양이다.)
/ (devided by)
출력 (연산 테스트)
출력 (연산 테스트)
/ 식을 틀리게 만들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는 지원되는 모양이다.)
결론 : * / > >= < <= 연산기호는 지원되는 모양이다.
6. ^ 기호 테스트[편집]
6.1. 논리 연산[편집]
^ (exponent?)
출력 (^기호)
출력 (^기호)
^(1/2)
출력 (^기호)
출력 (^기호)
^ 틀리게 해도 나오는 것으로 봐서는 지원되지 않는 모양이다?[2]
출력 (^기호)
출력 (^기호)
true ^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true ^ fals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false ^ tru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false & 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A^B==C ()꼴을 if 조건문으로 걸어 놨는데 true가 된 것은, ==를 먼저 연산해서 A^false가 되었는데 A가 0이 아니므로 true로 읽히게 되어 A^false가 true로 반환되서 if 조건문이 true로 되어버린 모양.
1^2==3 : 1^false가 되어 출력된다.
출력
1^2==3 : 1^false가 되어 출력된다.
출력
1^1==1 : 1^true가 되어 출력되지 않는다.
0^1==2 : 0^false가 되어 출력되지 않는다.
0^1==1 : 0^true가 되어 출력된다.
출력
출력
결론
: ^는 논리연산 XOR
6.2. 비트 연산[편집]
| 기호, & 기호와 같이 2진법의 각 자릿수별로 계산된다.
10진법 | 24 | 23 | 22 | 21 | 20 |
20 | 1 | 0 | 1 | 0 | 0 |
11 | 0 | 1 | 0 | 1 | 1 |
(20^11)=31 | 1 | 1 | 1 | 1 | 1 |
(20^11)=31 : 출력된다.
출력 (20^11)=31
출력 (20^11)=31
(20^11)=30 : 20의 자릿수가 틀려서 출력되지 않는다.
양변에 ^을 걸어도 출력된다.
10진법 | 24 | 23 | 22 | 21 | 20 |
17 | 1 | 0 | 0 | 0 | 1 |
14 | 0 | 1 | 1 | 1 | 0 |
(17^14)=31 | 1 | 1 | 1 | 1 | 1 |
(20^11)==(17^14) : 출력된다.
출력
출력
(20^10)==(17^14) : 20의 자릿수가 틀려서 출력되지 않는다.
7. ture, false, !기호 테스트[편집]
false == false : 출력된다.
출력 (f=f)
출력 (f=f)
true == true : 출력된다.
출력 (t=t)
출력 (t=t)
false ==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false != true : 출력된다.
출력 (!= 기호)
출력 (!= 기호)
1!=0 : 출력된다.
출력 (1!=0)
출력 (1!=0)
1 !=0 : 출력된다.
출력 (1 !=0)
출력 (1 !=0)
1 !==0 : 출력되지 않는다.
!(1==0) : 출력된다.
출력 !(1==0)
출력 !(1==0)
1<0 : 출력되지 않는다.
1 !< 0 : 출력되지 않는다.
1 !(<) 0 : 출력되지 않는다. 부등호에 걸 수 있는 기호가 아니라서 깨진 모양이다.
!(1<0) : 출력된다.
출력 !(1<0)
출력 !(1<0)
!(true and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true and false) : 출력된다.
출력 !(t&f)
출력 !(t&f)
!(false and false) : 출력된다.
출력 !(f&f)
그냥 and 식 전체에 ! 씌우면 nand가 된다.
출력 !(f&f)
그냥 and 식 전체에 ! 씌우면 nand가 된다.
!(true ^ true)
출력 !(t^t)
출력 !(t^t)
!(true ^ false)
!(false ^ true)
!(false ^ false)
출력 !(f^f)
그냥 ^ 식 전체에 ! 씌우면 xand(nxor)이다.
출력 !(f^f)
그냥 ^ 식 전체에 ! 씌우면 xand(nxor)이다.
!(!true) : 출력된다 (not of not)
출력 !(!t)
출력 !(!t)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는 범위를 입력해줘야 동작되는 모양.
not of not of not of true : 출력되지 않는다.
not of not of not of not of true 사각형안의사각형안의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0 : 진리값 0 (false)으로 읽히는지 출력되지 않는다.
!(0) : 출력된다.
출력
출력
1 : 진리값 1 (true)으로 읽히는지 출력된다.
출력
출력
!(1) : 출력되지 않는다.
2 : 출력된다.
출력
출력
!(2) : 출력되지 않는다.
0.5 : 출력된다.
출력
출력
!(0.5) : 출력되지 않는다.
결론 : !는 논리연산 NOT이고, 범위를 지정해줘야 동작된다.
0만 아니면 될까?
8. ~ 기호 테스트[편집]
~false : 출력된다.
출력 ~f
출력 ~f
~(~true)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true)))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true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true)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true)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true : 출력된다.
출력 ~~t
출력 ~~t
~(-1)=0 : 출력된다.
출력
출력
~(-1)=1 : 출력되지 않는다.
~(-2)=1 : 출력된다.
출력
출력
~(~1)=1 : 출력된다.
출력
출력
~false=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false=true : 출력되지 않는다.
~(!(true))=false : 출력되지 않는다.
결론 : ~ 기호는 논리 연산으로는 동작되지 않는다.
다만 위의 ~(-1)==1 을 가져와서 비트 연산이 참인지 거짓인지 나오는 결과를 두고 논리식을 만들기는 가능하다.
!(~(-1)==1) : false 부정이므로 출력된다.
출력
다만 위의 ~(-1)==1 을 가져와서 비트 연산이 참인지 거짓인지 나오는 결과를 두고 논리식을 만들기는 가능하다.
!(~(-1)==1) : false 부정이므로 출력된다.
출력
9. % 기호 테스트[편집]
식을 틀리게 적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10. null 과 "" 테스트[편집]
""과 ""은 같다.
출력
출력
Null과 ""은 다르다.
좌 우를 바꿔 적어도 다르다.
null과 null은 같다.
출력
출력
if null 은 출력되지 않는다.
그럼 앞에서 if false도 출력되지 않았으니까 null==false일까?
null=false 테스트 하면 출력되지 않는다.
null과 false는 같지 않다. (나무위키 도움말에서) if null이면 거짓이므로 출력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if 조건부 null이 true 논리값으로 나오지 않아서 출력이 안 되는 것이다.틀린 말은 아닌데, 팩트가 하나도 없으면 참은 아니기 때문이다.
null=false 테스트 하면 출력되지 않는다.
null과 false는 같지 않다. (나무위키 도움말에서) if null이면 거짓이므로 출력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if 조건부 null이 true 논리값으로 나오지 않아서 출력이 안 되는 것이다.
null과 true는 다르다. null=true 테스트를 하면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if ""를 해도 출력되지 않는다.
결론 1 : 호출할 때
결론 2 : true, false는 "정의한 논리값"이므로 null과 다르다.
기타 : if 구문에 숨은 함수나 연산자가 있는지 찾아보고 싶다면 아무 텍스트[4]를 가지고 와서 null과 같은지 대조해보면 된다.
변수명=
이라고 적으면 변수명은 "정의한 값이 없음(null)"이 아니라 "빈 텍스트 값"이 된다.결론 2 : true, false는 "정의한 논리값"이므로 null과 다르다.
기타 : if 구문에 숨은 함수나 연산자가 있는지 찾아보고 싶다면 아무 텍스트[4]를 가지고 와서 null과 같은지 대조해보면 된다.
{{{#!if (입력한 텍스트)==null
피노키오의 코는 길어지지 않았다.}}}
입력한 텍스트가 단순 변수명이면 식이 "변수명=null"이 되어 true가 되어 출력할 내용이 나올 것이고, 입력한 텍스트가 연산자이면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
11. 수 체계 확장 테스트[편집]
제곱근
: 출력된다.
출력
: 출력된다.
출력
다만, 아직까지는 식이 정확히 동작되는지 더 살펴봐야 할듯.
: 출력된다.
출력
: 출력된다.
출력
: 출력되지 않는다.
%랑 엮이는 것인가?
: 출력된다.
출력
: 출력된다.
출력
: 출력된다.
출력
출력
: 출력된다.
출력
출력
지수의 지수
2
출력
2
22
=16 : 출력된다.출력
2
22
=15로 하면 출력되지 않는다.3
출력
32
=39=19683 : 출력된다.출력
3
32
=39=19682 : 출력되지 않는다.지수의 지수의 지수
2
출력
2
2
=216=65536 : 출력된다.22
출력
2
2
=216=65535 : 출력되지 않는다.22
무한 지수 탑 함수 테스트를 해볼 겸 지수의 지수의 지수의 지수(...)를 테스트 해볼 수는 있겠지만 적당한 값을 넣어야 한다. 가령 2
2
를 계산기에서 계산하면 2
22
오버플로
가 나온다.출력
12. 비트 연산 테스트[편집]
Zeroization. 자기 자릿수 이상으로 밀어버리면 0이 된다.
1>>1=0 : 출력된다.
출력
1>>1=0 : 출력된다.
출력
42<26=64이므로 2진법으로 6자리 숫자임을 이용.
42>>5==1 : 출력된다.
출력
42>>5==1 : 출력된다.
출력
42>>5==0 : 42의 25 자릿수가 1이었으므로 출력되지 않는다.
42>>6==1 : 출력되지 않는다.
42>>6==0 : 출력된다.
출력
출력
42>>7==0 : 출력된다.
출력
출력
42=101010(2)
95=1011111(2)
42>>3==5, 95>>4==5이므로 42>>3==95>>4는 출력된다.
출력
95=1011111(2)
42>>3==5, 95>>4==5이므로 42>>3==95>>4는 출력된다.
출력
13. 역링크 등 기타 테스트[편집]
출력이 되지 않는 틀은 역링크를 조회해보면 include로 역링크가 걸리지 않는다.
If true 분류:나무마크 문법 |
If false 분류:위키 |
출력이 되지 않는 분류로는 해당 문서가 포함되지 않는다.
If true ##@ |
If false ##@ |
##@ 테스트. If 문구 사이에 ##@를 끼워넣어도 편집창 상단 표시에 출력되어 나온다.
##@If true |
##@If false |
단, ##@ 로 표시되는 공간에 If 구문이 걸리면 true일 때만 출력된다.
14. 매개변수, include, this 테스트[편집]
매개변수 대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테스트:If문법/include 대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매개변수 대상의 include 테스트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테스트:If문법/include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결론 1 :
this['변수명']
(작은따옴표), this["변수명"]
(큰따옴표)는 텍스트값으로 출력된다. this[+변수명]
, this[변수명]
은 올바른 입력이 아니다.숫자 값으로 나오게 하고 싶으면
+this['변수명']
(작은따옴표), +this["변수명"]
(큰따옴표) 등 알맞은 양식으로 적어야 한다.숫자 값으로 연산할 경우 변수를 괄호로 묶어주어야 조건식에 오류가 나지 않는다.
예 :
(+this['aaa'])+(+this['bbb'])
결론 2 :
this.변수명
은 양식만 잘 맞추면 텍스트값이나 숫자값으로 출력된다.15. 메모[편집]
- If 조건문에 함수를 넣을 수 있을까?
예 : dday를 넣어서 누구누구 운영자가 재직 며칠이 되었음을 적을 수 있음, pagecount를 넣어서 이 문서 개수가 몇 개를 돌파했음을 알릴 수 있음, 대문 기념일 틀을 기념일 되기 한참 전에 미리 만들어놓고 if를 걸어놓을 수 있음, 나무위키 공지 틀(고정 주석 문법)에 if를 걸어놓을 수 있음.
- 틀의 매개변수명에 관하여
- 펼치기, 접기
- 안내 : 테스트 필요.
- 매개변수에 입력하면 텍스트가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 wiki style 구문 전부를 if 구문으로 변환한다. 가령#!wiki style="display:inline; display:@구버전 매개변수명@=none"이 있으면#!if @구버전 매개변수명@!=null으로 바꾼다.
- 신버전과 나란히 입력한다.
예 : {{{#!if (구버전 매개변수명!=null)^(신버전 매개변수명!=null)
@구버전 매개변수명@@신버전 매개변수명@}}}
- 신버전 매개변수명을 입력해도 틀이 동작된다.
- elseif
있으면 조금 편리하겠지만, 이렇게 적으면 되지 않을까?
{{{#!if (조건문1)
(출력할 내용1)}}}}
{{{#!if (!(조건문1))&&(조건문2)}}}
(출력할 내용2)}}}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
(출력할 내용3)}}}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조건문4)}}}
(출력할 내용4)}}}
.....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 ... ||(조건문)))&&(조건문)
(출력할 내용)}}}
그리고 else를 만들고 싶다면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 ... ||(조건문)))
(출력할 내용)}}}
{{{#!if (조건문1)
(출력할 내용1)}}}}
{{{#!if (!(조건문1))&&(조건문2)}}}
(출력할 내용2)}}}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
(출력할 내용3)}}}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조건문4)}}}
(출력할 내용4)}}}
.....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 ... ||(조건문)))&&(조건문)
(출력할 내용)}}}
그리고 else를 만들고 싶다면
{{{#!if (!((조건문1)||(조건문2)||(조건문3)|| ... ||(조건문)))
(출력할 내용)}}}
- 발전 가능성
if 가 나왔으니 while, for 등 루프 연산, 그리고 더 나아가서 변수값 재지정, break, continue 등 구문이 나올 수 있어 보인다. 그렇게 나오게 되면 문서는 하나의 스크립트가 될 수 있다. 루프(loop) 연산이 나오게 되면 include 과부하 요청 같이 무한히 지속되는 연산 요청을 내지 않도록 시스템에서 의도적으로 루프를 몇 번까지만 반복할 수 있도록 제한을 걸어둘 것으로 보인다.
16. 결론[편집]
{{{#!if (논리식) (논리식이 true이면 출력할 내용)}}} |
조건문에 지원되는 기능 : true, false, null, this 등등 |
추정되는 문법 |
If구문은 고장난 구문(문법)은 아니지만, 잠수함 패치로 인해 변수를 연결할 수 있는 입력방법을 찾아야 한다. 조건부에 텍스트값, 정수 숫자값, 실수 숫자값, 논리값(true 또는 false)은 지원되는 입력으로 보인다. 연산할 값의 종류와 연산하여 나오는 값의 종류에 알맞은 기호만 쓴다면 원하는 설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이용할 수 있다.
[1] 다만 아카라이브 채널위키에는 구현되어 있지 않아서 #!if까지 문구로 나온다.[2] 지수가 아니라 프로그래밍 전용 연산[3]
사실 이지만 이 식에서는 오른쪽 수는 0 이상의 정수 가운데서 식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값을 생각한다.
물론 다음도 출력된다.
if 18%7=32%7
출력 (18%7=32%7)
여기서 %를 적어놓지 않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예 : 5**2=11 로만 적어놓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4] 단, 기호가 들어가지 않을 것[5] 오일러 등식[6] 계산값 자체를 출력하는 방법이 아직까지는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두 수의 사칙연산을 계산하여 나오는 값을 자리 단위로 끊어 출력해주는 틀이다.[7] 서버 시간과 시간대가 달라도 1일 전~1일 후 사이에는 기념일에 맞게 된다.[8] 평상시 환영 문구. "○○위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물론 다음도 출력된다.
if 18%7=32%7
출력 (18%7=32%7)
여기서 %를 적어놓지 않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예 : 5**2=11 로만 적어놓으면 출력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