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wiki style=""
}}}
wiki 구문 테스트.
나무위키 문법 도움말을 참고할 수 있다.

몇몇 테스트는 RAW(원문) 참조.
텍스트 등 양식(style)을 설정하고 출력할 범위를 지정하는 구문(문법).
기본적으로 개행을 하면 깨지는 문제가 있어 속에 나무마크 구문(문법)을 이용한 출력을 내기 곤란한 구문[1]집어넣어줄 수 있다.

2. 빈 공간[편집]

그냥 {{{#!wiki 만 넣어도 동작된다. 별도 설정한 양식이 없는 구문인데, 기본값(default)에 따른 출력으로 나오는 모양이다.

무난하게 출력된다.

3. style[편집]

style="" 그리고 콜론(:)[2], 스페이스바[3], 세미콜론(;)[4] 등 기호를 잘 입력해야 한다.
style에 아무 것도 입력하지 않아도 (default) 출력할 수 있다.

RAW 등으로만 볼 수 있는 설정이 있다.
종류 이름 또는 설정값을 잘못 입력할 경우 없는 설정값(깨진 설정값)으로 인식하여 출력된다.
가령 display:none을 입력해야 하는데, nope나 no 등으로 잘못 입력하면 입력하지 않은 것으로 읽어서 출력된다.
다시 말해서 정의되는 양식이름을 입력하고 양식에 따라 정의되는 설정값을 입력 양식에 맞게 입력해야 컴퓨터가 읽을 수 있으면서 편집자가 설정하고 싶은 양식으로 나오게 된다.

같은 양식이름에 정의되는 설정값을 적어놓은 단락이 2개 이상 있으면 컴퓨터가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읽게 되면서 마지막으로 적어놓은 설정으로 나오게 된다. 가령 display:inline; display:none; display:inline;으로 적어놓으면 display:none; 을 읽어도 마지막(그 오른쪽)의 display;inline;이 적용된다.
(inline, inline, none을 입력하면 none을 읽게 되어 해당 문구는 나오지 않는다.)

style="" 안에 매개변수를 집어넣고 저장한 문서를 include로 호출할 때 매개변수에 값을 주면서 호출하게 되면 style 안에 입력된 단락 가운데 특정 단락이 깨져서 그 특정 단락에 대한 양식이 설정되지 않게 되었다. 이런 트릭을 넣고 생성된 틀이 많이 있었다.
[1] 예 : [ ] 기호가 들어가는 주석[2] 양식이름:설정값 으로 동작되는 모양[3] 설정해야 하는 변수를 구분[4] 설정할 양식을 각각으로 구분하는 표시(명령 구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