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ed 엔진의 권한 |
1. 개요[편집]
the seed의 권한 중 하나로, 시스템에서 관리자로 인식되게 하는 권한이다. 다만, 이 권한이 있다고 사용자 유형 자체가 변하지는 않는다.
2. 기능[편집]
시스템 상에서 관리자로 인식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몇 가지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런 특성으로 인해 admin 권한은 단일 권한으로는 특수 권한인 config를 제외하고는 가장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권한이다. 이 권한으로 활성화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관리자 ACL 규칙에 해당
이 권한이 있으면 ACL 규칙 중 '관리자(perm:admin)'의 영향을 받게 된다. 예시로 문서 ACL 규칙에서 편집 권한이 perm:admin - 허용[1]이라고 되어 있으면 이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편집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더시드엔진 사용 위키에서는 이런 식으로 관리자만 편집을 허용하는 ACL 규칙을 최고 단계 문서 보호 조치로 규정하고 있으며 관리자에게 최상위 편집권을 부여하는지라 관리자는 대부분의 문서 ACL 제한을 무시하고 자유롭게 편집이 가능하다.
- 엔진 업데이트 시간 열람 가능
이 권한이 있으면 라이선스 페이지에서 정확한 엔진 업데이트 시간을 볼 수 있다. admin 권한을 보유한 상태로 라이선스 페이지에 접속하면 최상단의 엔진 버전 바로 아래에 마지막으로 엔진이 업데이트된 날짜와 시간이 추가로 표시된다.
- 사용자 문서에 특수 권한 틀 표시이 권한이 있으면 사용자 문서 최상단에 특수 권한이 있다는 전용 틀이 표시된다. 이 틀은 사용자 문서 내용에 포함되지 않으며,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거나 터치를 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하면 테두리의 색이 변하는 기믹이 적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로 비슷하게 만든 가짜 틀과 쉽게 구분된다. 다만, 따로 표시 여부는 선택할 수 없고 이 권한이 있으면 무조건 표시된다.
- 사용자 차단 관련 메뉴 활성화
이 권한이 있으면 사용자 차단과 관련된 기능들이 활성화되어 관련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우선 리비전, 최근 변경 등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계정명 상호작용 메뉴와 사용자 문서 상호작용 드롭다운 메뉴에 UUID 복사[4], 차단 내역 조회[5],차단[6]버튼이 추가적으로 나온다. 또한, 이 권한이 있어야 위키 상단바 특수 기능 메뉴에 ACLGroup 페이지로 가는 버튼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aclgroup 권한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려면 이 권한도 반드시 필요하며, 반대로 admin 권한 역시 aclgroup 권한이 있어야 모든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등 여러모로 해당 권한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 삭제된 사용자의 기여 내역 조회 가능
최근 the seed 엔진에 추가된 계정 삭제 기능을 이용해서 (삭제된 사용자)로 변경된 사용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사용자의 계정명 상호작용 메뉴와 사용자 문서에서 기여 내역으로 가는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해당 사용자의 계정 삭제 이전 기여 내역 페이지로 접근할 수 없게 된다.[7] 이 권한이 있으면 이러한 제약이 무시되어 삭제된 사용자도 상호작용 메뉴에서 UUID 복사와 기여 내역 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하다.
[1] ACL 탭에서는 "관리자"라고 표시된다.[주의] 2.1 2.2 만약 나무위키에 이 사진을 저장해 자기 사용자 문서에 올리면 규정 위반으로 차단 당할 수 있다.[4] 말그대로 해당 사용자의 UUID를 긁어서 기기 클립보드에 복사 한다. 기능 사용 시 웹페이지 하단에 작은 알림창으로 UUID 복사 성공 여부가 표시된다.[5] 차단 내역 페이지에서 해당 사용자를 검색한 페이지로 이동한다. 참고로 계정명 상호작용 메뉴에서 차단 내역 조회를 클릭한 경우 IP/계정 여부에 따라 검색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데, IP 사용자의 경우 IP를 그대로 검색한 결과가 뜨고 계정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의 UUID를 검색한 결과가 뜬다. 다만, 버그인지 의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사용자 문서 드롭다운 메뉴에 있는 차단 내역 조회 버튼은 계정명 상호작용 메뉴의 버튼과 동작이 약간 다른데, 계정명 상호작용 메뉴의 차단 내역 조회 버튼은 IP와 계정 사용자 여부에 따라 검색 결과가 다르게 나오지만, 사용자 문서의 차단 내역 조회 버튼은 IP와 계정 사용자 구분 없이 무조건 UUID 기반의 검색결과가 나온다. 이 경우 IP 사용자는 차단 내역이 정상적으로 검색이 안되는 문제가 있는지라 IP주소를 직접 다시 입력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점 주의.[6] 말그대로 해당 사용자를 차단하는 작업을 위한 기능으로 빠른 ACLGroup 창을 호출한다. 빠른 ACLGroup에서는 ACLGroup 페이지에 접근하지 않고도 바로 특정 사용자를 aclgroup에 추가할 수 있어서 긴급 차단 등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단, aclgroup 권한이 없는 경우 빠른 ACLGroup 창에서 추가를 시도해도 권한 부족 오류가 뜨면서 정상 작동이 안되며 aclgroup 제거는 빠른 ACLGroup에서 못하고 ACLGroup 페이지에서 직접 찾아서 제거해야 한다.[7] 참고로 삭제된 사용자는 API 상에서도 admin 권한이 없으면 백엔드 단에서부터 UUID 자체를 반환해주지 않아서 우회적인 접근도 막힌다. 다만, 기여 내역 페이지로 접근하는 방법이 막히는 것일 뿐 접근 자체가 기술적으로 차단되는건 아니라 admin 권한이 없어도 계정 삭제 이전의 UUID를 알고 있을 경우 직접 URL을 입력해서 접근하는 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