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7 vs r18 | ||
---|---|---|
... | ... | |
9 | 9 | == 엡실론‐델타법 == |
10 | 10 | 고등학교 과정을 넘어가면 다음과 같이 엄밀하게 배운다. 기호가 조금 복잡할 수 있겠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집합과 명제(멱집합), 부등호, 절댓값, 함숫값 개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정의(Definition)이므로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기호를 풀어 쓰면 다음과 같다. |
11 | 11 | |
12 | [math(x \to 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 |
12 | [math(x \to 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 |
13 | ||
14 | 들어가기 앞서 [math(f\left(x\right))]의 정의역에 대하여 [math(x=a)]가 __극한점(limit point)__[* 실수 전체 집합 [math(\mathbb{R})]에서의 "보통위상(Usual Topology)" 곧 "[math(\mathbb{R})]에서 열린 구간(이를테면 [math(\left\{x|a<x<b, \ a,b \in \mathbb{R}\right\})])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합집합(무한 개의 합집합이여도 된다.), 또는 이들의 유한 개의 교집합__으로 구성된 [math(\mathbb{R})]의 부분집합을 원소__로 가지는 집합 [math(\mathcal{T})](이 집합은 당연히 [math(\mathcal{P}(\mathbb{R}))]의 부분집합이다.)을 갖춘 위상"에서는 집적점(accumunation point)을 극한점(limit point)으로 부른다.]이라는 전제가 깔려있어야 한다. | |
15 | 흔히 지수함수처럼 "실수 전체의 집합"이나 로그함수 같이 "0보다 큰 실수의 집합" 등 간단한 제한을 둔 함수를 많이 다루는 경우라면 정의역의 모든 점 및 경계에 해당되는 지점들(로그함수의 경우에는 진수가 0으로 되는 [math(x)]의 지점)이 극한점으로 될 수 있으나, 간혹 정의역이 복잡하게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정의역이 유리수들만으로 제한된 함수가 있다.) | |
16 | 그러한 경우에는 극한을 계산하고자 하는 [math(x)]의 지점이 극한점이 됨을 증명해야 한다. | |
17 | ||
18 | [math(f\left(x\right))]의 정의역(집합)을 [math(D)]라 할 때 [math(x=a)]가 극한점임을 보이려면 (꼭 [math(a \in D)]일 필요는 없다.) | |
19 | ||임의의 양수 [math(c)]에 대하여 | |
20 | [math(\left(\left\{x|a-c<x<a+c\right\} \backslash \left\{ a \right\} \right) \cap D \neq \emptyset)]|| | |
21 | 임을 보여야한다. | |
22 | ------ | |
23 | [math(x=a)]가 극한점이라는 전제 하에 함수의 극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13 | 24 | ||[math(x)]에 대한 함수 [math(f\left(x\right))]와 [math(a)]에 대하여 |
14 | 25 | 아무 [math(\epsilon > 0)] 인 [math(\epsilon)]을 잡더라도 ("오차"라는 뜻의 error를 생각해보자.) |
15 | 26 | 상수 [math(L)]에 대하여 다음 명제 곧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