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5 vs r26
1
'''윤석열지지 디시 2중대알파 위키 윤석열 지지 일베 국짐 개같멸망 윤짜장 탄핵의 그날까jsk1124 사 만'''
1
[include(틀:알림 상자, title=포크를 위한 이용허락 안내, content=이 문서의 내용 중 지금 열어서 보는 버전 상에서 아래 제시된 아이디의 기여부분에 한정한 모든 내용은 저작자표시를 하여 CC BY‐NC-SA 2.0 KR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포크해 오는 것은 이용허락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편집시 다음 아이디 목록에 편집자가 스스로 본인의 아이디를 기입한다면 위의 이용혀락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2
[include(틀:알림 상자, title=아이디 목록, content=disciple153 )]
3
[목차]
4
== 개요 ==
5
{{{+2 The Real Number System}}}
6
실수에 대하여 어떤 성질을 만족하는 체계이다. --"Real"이라는 단어를 보고 "레알 넘버"니까 참된 숫자라고-- 혹여 다르게 생각할 수 있겠으나, 기준이 되는 [math(0)]과 [math(1)]을 기점으로 [[덧셈]]과 [[곱셈]] 연산에 대한 성질 등 여러 성질을 만족하면서 현실에서 대소를 비교할 수 있는 숫자들의 체계를 가리킨다.
7
여기에는 사칙연산만 안다면 직관적으로도 알 수 있는 성질들이 많기도 하며, 또한 별도 증명이 없이 시작하는 공리(Axiom)들로 도배되어 있다.
8
이를 기점으로 여러 정리들이 이루어진다. 이를테면 음수에 음수를 곱하면 양수가 됨을 증명(...)하는 것.
9
10
공리, 정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논리(수학)|이 문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집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집합(수학)|이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11
12
== 기본적인 실수의 성질 ==
13
다음은 실수에 대한 성질을 공리들을 다루는 것으로 시작한다.
14
(논리체계를 시작으로 하여 [math(1 \in \mathbb{C})], [math(1 \neq 0)]을 공리로 둔 다음 여러 논리체계의 정리를 거쳐 [math(1 \in \mathbb{R})]이 성립함을 [[http://us.metamath.org/mpeuni/1re.html|증명한 곳]](...)도 있다. 여기서 [math(\mathbb{C})]는 모든 [[복소수]]들을 모아놓은 집합이다. 복소수체계를 공리로 두고 시작하는 방법이든 실수체계를 공리로 두고 시작하는 방법이든 둘 중 하나는 공리로 둘 수 밖에 없다. 단, [[허수]]에 대하여 [math(i \in \mathbb{C})]는 둘 중 어느 방법으로 하든 [[http://us.metamath.org/mpeuni/ax-icn.html|공리]]로 둔다.)
15
16
또한 집합론에서 두 원소를 두고 "관계"(relation)를 정의하면서 "연산"을 정의하고 시작한다. 이는 (단순 모든 실수의 집합만이 아닌 일반적인 집합에 대한 개념을 다루는 까닭에) 내용이 방대하므로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배우지 않는다.) [[집합(수학)|집합]] 문서의 서술로 남겨두고 여기에는 생략한다.
17
18
다음은 덧셈과 곱셈 연산에 대한 성질이다.
19
||모든 실수를 모아놓은 집합 [math(\mathbb{R})]과 임의의 실수 [math(a)], [math(b)], [math(c)]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20
{{{+1 I.}}} [[덧셈]] 연산 "[math(+)]"에 대한 성질
21
'''Axiom 1.1.''' [anchor(Axiom 1.1)][math(a+b \in \mathbb{R})] : 덧셈 연산'''에 대하여 닫혀 있다'''.[*닫힘 즉 [math(\mathbb{R})]의 그 어느 두 원소를 가져와서 해당 연산을 해도 [math(\mathbb{R})]의 원소가 아닌 원소로 되 않는다.]
22
'''Axiom 1.2.''' [anchor(Axiom 1.2)][math({\color{red}a}+{\color{orange}b}={\color{orange}b}+{\color{red}a})] : 덧셈 연산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23
'''Axiom 1.3.''' [anchor(Axiom 1.3)][math({\color{blue}(}a+b{\color{blue})}+c=a+{\color{blue}(}b+c{\color{blue})})] : 덧셈 연산에 대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괄호를 풀어서 [math(=a+b+c)]이라는 식까추가 서술하는 곳있다.
24
'''Axiom 1.4.''' [anchor(Axiom 1.4)][math({\color{red}0} \in \mathbb{R})]이 존재하여
25
[math(a+{\color{red}0}={\color{red}0}+a=a)] [math(a)]에 대한 항등식을 만족한다.
26
: 덧셈 연산'''에 대한 [math(a)]의 항등원'''인 [math({\color{red}0})]존재한다.
27
'''Axiom 1.5.''' [anchor(Axiom 1.5)][math({\color{green}-a} \in \mathbb{R})]이 존재하면서
28
[math(a+{\color{green}(-a)}={\color{green}(-a)}+a={\color{red}0})]인 [math(a)]에 대한 항등식을 만족한다.
29
: 덧셈 연산'''에 대한 [math(a)]의 역원'''인 [math({\color{green}-a})]이 존재한다.
30
31
{{{+1 II.}}} [[곱셈]] 연산 "[math(•)]"에 대한 성질
32
'''Axiom 1.6.''' [anchor(Axiom 1.6)][math(a•b \in \mathbb{R})] : 곱셈 연산'''에 대하여 닫혀 있다'''.[*닫힘]
33
'''Axiom 1.7.''' [anchor(Axiom 1.7)][math({\color{red}a}•{\color{orange}b}={\color{orange}b}•{\color{red}a})] : 곱셈 연산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34
'''Axiom 1.8.''' [anchor(Axiom 1.8)][math({\color{blue}(}a•b{\color{blue})}•c=a•{\color{blue}(}b•c{\color{blue})})] : 곱셈 연산에 대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괄호를 풀어서 [math(=a•b•c)]이라는 식까지 추가 서술하는 곳이 있다.
35
'''Axiom 1.9.''' [anchor(Axiom 1.9)][math({\color{red}1} \in \mathbb{R})]이 존재하여
36
[math(a•{\color{red}1}={\color{red}1}•a=a)]인 [math(a)]에 대한 항등식을 만족한다.
37
: 곱셈 연산'''에 대한 [math(a)]의 항등원'''인 [math({\color{red}1})]이 존재한다.
38
'''Axiom 1.10.''' [anchor(Axiom 1.10)]"[math(0)]이 아닌" [math(a)]에 대하여, [math({\color{green}{\dfrac{1}{a}}} \in \mathbb{R})]이 존재하면서
39
[math(a•{\color{green}{\dfrac{1}{a}}}={\color{green}{\dfrac{1}{a}}}•a={\color{red}1})]인 [math(a)]에 대한 항등식을 만족한다.
40
: 곱셈 연산'''에 대한 [math(a)]의 역원'''인 [math({\color{green}{\dfrac{1}{a}}})]이 존재한다.
41
42
{{{+1 III.}}} 덧셈 연산과 곱셈 연산에 대한 성질 (분배법칙)
43
'''Axiom 1.11.''' [anchor(Axiom 1.11)][math({\color{red}a}{\color{green}•}{\color{blue}(}{\color{orange}b}{\color{blue}+}{\color{gold}c}{\color{blue})}={\color{red}a}{\color{green}•}{\color{orange}b}{\color{blue}+}{\color{red}a}{\color{green}•}{\color{gold}c})]
44
'''Axiom 1.12.''' [anchor(Axiom 1.12)][math({\color{blue}(}{\color{red}a}{\color{blue}+}{\color{orange}b}{\color{blue})}{\color{green}•}{\color{gold}c}={\color{red}a}{\color{green}•}{\color{gold}c}{\color{blue}+}{\color{orange}b}{\color{green}•}{\color{gold}c})]
45
||
46
47
다음은 대소비교에 대한 성질이다.
48
||{{{+1 IV.}}} 대소비교
49
'''Axiom 1.13.''' [anchor(Axiom 1.13)][anchor(Axiom_1.13)]임의의 실수 [math(a)], [math(b)] 에 대하여 다음 셋 하나는 반드시 만족한다.
50
i. [math(a>b)]
51
i. [math(a=b)]
52
i. [math(a<b)]
53
* 참고
54
i. [math(a\geq b)] : [math(a>b)] '''또는''' [math(a=b)] 임을 뜻한다. ('''g'''reater than or '''eq'''ual to)
55
i. [math(a\leq b)] : [math(a<b)] '''또는''' [math(a=b)] 임을 뜻한다. ('''l'''ess than or '''eq'''ual to)
56
i. [math(a\neq b)] : [math(a=b)]이 아님을 뜻한다. ('''n'''ot '''eq'''ual to) 소를 비교해야 하는 계산에서는
57
[math(a<b)] 또는 [math(a>b)]가 된다.
58
단, 복소수체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대소비교가 불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허수]] 참조.||
59
60
기타 : 13.에서 i.부터 iii.까지 설명의 대상이 되는 부등식들을 호출하려면 각각 {{{math}}}라는 입력 구문 구간(마크업)[* 둘 중 하나로 가능하다.(주석에 개행을 넣을 수 있다.) {{{#!wiki
61
||<width=50.00%> 예 1 ||<width=50.00%> 예시 2 ||
62
||\{\{\{\#\!wiki[br]\<math\> \\geq \<\/math\>\}\}\}||\[math\(\\geq\)\]||}}}]을 전제하여 {{{\geq}}}, {{{\leq}}}, {{{\neq}}} 구문을 입력해야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입력 속도를 높이기 해 단축 사용하는 것처럼 축약어로 입력 구문을 정의하는 방식을 많이 채택한다. 칸에 볼드체한 표시는 문구에서 축약된 머릿글자를 의미한다.)
63
64
[각주]
65
== 여러 실수의 성질 증명 ==
66
보기에도 연해 것을 증명해야 하는지 생각할 수 있지만, 참인지 거짓인지 명확하지 못하는 전제를 두고 증명을 하는 일은 미가 없다. 반례가 것이 전혀 없는지도 불확실하기 때문. (이는 다른 정리나 명제를 증명할 때에도 동일하다.) 래서 참이라고 여기는 것을 시작으로 여러 가 성질을 증명하는 것이다.
67
68
임의의 실수 [math(a)], [math(b)], [math(c)]에 대하여 몇 가지 증명을 해본다. (앞에서 언급된 [math(a)], [math(b)], [math(c)]는 문자를 빌려 표현한 것이며 여기서 언급하는 [math(a)], [math(b)], [math(c)]와 독립이다.)
69
70
곱셈 기호에서 [math(\times)]와 [math(•)]를 병행하여 사용함을 밝힌다.
71
72
=== 0과 1을 이용한 정리 ===
73
먼저 [math(0 \in \mathbb{R})]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74
'''Lemma 1.1.'''[anchor(Lemma 1.1)) 실수 [math(0)]과 [math({\color{blue}0})]의 덧셈은 실수이다. ([[#Axiom 1.1|Axiom 1.1]]. 덧셈연산의 닫힘)
75
따라서 [math(0{\color{blue}+0} \in \mathbb{R})]이 성립한다.
76
'''Lemma 1.2.'''[anchor(Lemma 1.2)] 실수 [math({\color{blue}0})]은 덧셈연산에 대한 실수 [math(0)]의 항등원이다. ([[#Axiom 1.4|Axiom 1.4]] 덧셈에 대한 항등원. 알기 쉽도록 색을 파랗게 칠한다.)
77
따라서 [math(0{\color{blue}+0}=0)]이 성립한다.
78
'''Lemma 1.3.'''[anchor(Lemma 1.3)] 실수 [math(1)]에 대한 덧셈연산의 역원이 존재하며 다음이 성립한다. ([[#Axiom 1.5|Axiom 1.5]]. 덧셈에 대한 역원)
79
||[math({\color{green}-1} \in \mathbb{R})]이고 [math(1{\color{green}+(-1)}=0)] 이다.||
80
81
=== {{{-2 [math(a \times 0 =0\ \text{이다. 곧 })]}}}실수에 0을 곱하면 0이 된다. ===
82
||'''Theorem 1.4''' [anchor(Theorem 1.4)]
83
[math(a \times 0 =0)]||
84
(이 증명에 용되는 [math(a)], [math(b)]는 다른 증명과 독립이다.)
85
{{{+1 '''1.'''}}} [math(a)]와 [math(0)]은 각각 실수이므로 이 둘의 곱인 [math(a \times 0)]은 실수이다. ([[#Axiom 1.6|Axiom 1.6]]. 곱셈연산의 닫힘)
86
87
{{{+1 '''2.'''}}} '''1.'''에서 [math(a \times 0)]에 대하여 다음 둘을 족한다.
88
i. [math((a \times 0) {\color{blue}+0}=a \times 0)] ([[#Axiom 1.4|Axiom 1.4]]. 덧셈에 대한 [math(a \times 0)]의 항등원 [math({\color{blue}0})])
89
i. [math((a \times 0) {\color{green}+(-(a \times 0))}=0)] ([[#Axiom 1.5|Axiom 1.5]]. 덧셈에 대한 [math(a \times 0)]의 역원 [math({\color{green}-(a \times 0)})])
90
91
{{{+1 '''3.'''}}} 앞의 '''[[#Lemma 1.1|Lemma 1.1]]'''을 이용하여 '''2.'''의 '''ii.'''을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92
|| [math(a \times {\color{blue}0} +(-(a \times 0))=0)]||
93
곧 위 식에서 파랗게 칠한 [math(0)]을 이용한다.
94
|| [math(a \times {\color{blue}(0+0)} +(-(a \times 0))=0)]||
95
96
{{{+1 '''4'''}}} '''3.'''에서 [math(a \times (0+0))]에 대하여 ([math(a)]와 [math(0)]은 각각 실수이므로) 다음을 만족한다. ([[#Axiom 1.11|Axiom 1.11]]. 분배법칙)])
97
||[math(a \times (0+0)=a\times 0 + a\times 0)]||
98
따라서 다음을 만족한다. (파랗게 칠한 부분)
99
||[math({\color{blue}a \times (0+0)}+(-(a \times 0))={\color{blue}(a \times 0 + a \times 0)}+(-(a \times 0))=0)]||
100
101
{{{+1 '''5.'''}}} '''4.'''의 식에서 [math({\color{blue}(a \times 0 + a \times 0)}+(-(a \times 0))=0)]의 (파랗게 칠한 부분의) 괄호를 옮기면 다음과 같이 된다. ([[#Axiom 1.3|Axiom 1.3]]. 덧셈에 대한 결합법칙)
102
||[math(a \times 0 + {\color{red}(}a \times 0 +(-(a \times 0)){\color{red})}=0)]||
103
104
{{{+1 '''6.'''}}} '''5.'''에서 '''2.'''의 '''ii.'''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Axiom 1.5|Axiom 1.5]]. 덧셈에 대한 [math(a \times 0)]의 역원 [math({\color{green}-(a \times 0)})])
105
||[math(a \times 0 + ({\color{green}a \times 0 +(-(a \times 0))})= a \times 0 + ({\color{green}0}) = 0)]||
106
107
{{{+1 '''7.'''}}} '''6.'''에서 '''2.'''의 '''i.'''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Axiom 1.4|Axiom 1.4]]. 덧셈에 대한 [math(a \times 0)]의 항등원 [math({\color{blue}0})])
108
||[math( a \times 0 + {\color{blue}0} = a \times 0 = 0)]||
109
110
따라서 [math(a \times 0 =0)]이 성립한다.
111
112
=== {{{-2 [math((-a) \times (-b) = a \times b \ \text{이다. 곧 })]}}} 두 실수의 곱은 각 실수의 덧셈에 대한 역원 둘의 곱과 같다. ===
113
(앞의 증명에 사용된 [math(a)], [math(b)]와 이 증명에 사용되는 [math(a)], [math(b)]는 독립이다.)
114
115
{{{+1 '''1.'''}}} [math(0)]은 덧셈연산에 대한 [math(a)]의 항등원이면서 덧셈연산에 대한 [math(b))]의 항등원이다. ([[#Axiom 1.4|Axiom 1.4]] 덧셈연산에 대한 항등원)
116
117
{{{+1 '''2.'''}}} 또한 [math(a)]에 대하여 [math(-a))]가 존재하고 [math(a+(-a)=0)]을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math(b)]에 대하여 덧셈연산의 역원인 [math(-b)]가 존재하고 [math(b+(-b)=0)]이다. ([[#Axiom 1.5|Axiom 1.5]]. 덧셈연산에 대한 항등원 및 역원)
118
119
{{{+1 '''3.'''}}} [math(a)]와 [math(b))], [math(-a)], [math(-b)]는 각각 실수이므로 [math(a \times b)]은 실수이며 [math((-a) \times (-b))]은 실수이다. ([[#Axiom 1.6|Axiom 1.6]]. 곱셈연산의 닫힘)
120
121
{{{+1 '''4.'''}}} 실수에 [math(0)]을 곱하면 [math(0)]이 되므로 [math({\color{blue}0} \times b = 0)]이다. ([[#Theorem 1.4|Theorem 1.4]])
122
123
{{{+1 '''5.'''}}} '''2.'''에서 실수 [math(a)]에 대하여 [math(a+(-a)={\color{blue}0})]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124
||[math({\color{blue}0} \times b = (a +(-a)) \times b = 0)]||
125
126
[[분류:수학]][[분류:더새드위키 수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