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분류
1. 개요[편집]
2. 열린집합과 위상[편집]
2.1. 실수체계의 위상[편집]
2.1.1. 내점[편집]
의 부분집합 가 있다고 하자. 이 때 의 원소(한 지점)인 에 대하여 적당한 양수 가 있어 를 만족한다면, 는 의 내점(interior point)이라 부른다.
2.1.2. 열린집합[편집]
- 열린집합의 정의
열린집합(Open Set)의 부분집합 가 있고 의 모든 원소(지점)이 의 내점이 된다면, 는 열린집합(open set)이라 부른다.
열린집합의 흔히(?) 잘 아는 예시로는 열린구간이 있다.
열린구간은 집합으로서 실수 , 에 대하여 으로 표기한다.
이 집합의 임의의 원소(지점)인 를 가져온다고 하면 가 되는데 양수 를 다음으로 둔다고 하자.
곧 은 minimum을 뜻하는데, { } 괄호 안의 2개 이상의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고르는 연산이다. |
이렇게 되면 를 만족하게 되고, 곧 집합 의 모든 점이 내점임을 보이는 것이다.
당연하게 보이겠지만 역시 열린집합이다.
공집합()은 열린집합이 아니다.
당연하게 보이겠지만 역시 열린집합이다.
공집합()은 열린집합이 아니다.
- 열린집합의 성질
여러 개의 들의 합집합은 열린집합이다. 무한 개의 합집합이어도 된다. 곧 두 열린집합의 교집합 (내지 유한 개의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라면 열린집합이다.
먼저 1.의 집합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2]의 의미를 안다면 이와 비슷하게 합집합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보면 그 어느 원소(지점)인 를 잡으면, 반드시 어떤 가 있어 한 열린집합인 의 내점이 되면서 적당한 양수 가 있어 가 된다. 합집합의 특성상 1.의 집합은 을 부분집합으로 가진다. 이에 따라 당연히 을 부분집합으로 가진다.
2.2. 위상공간[편집]
열린집합의 성질을 퍼가요~♡따와서 일정 규칙을 만족하도록 한다.
[1] 색인(index)에 따른 번호를 의미하고자 index의 앞글자인 i를 가져온다. i 하면 허수 단위 를 떠올릴 수 있겠지만, 무작정 이렇게 알기보다는 어느 수식을 읽는다 해도 먼저 각 알파벳을 포함한 기호들이 무슨 의미로 쓰이는지를 파악하면서 읽는 것이 좋다.[2] 흔히 기준으로 밑첨자에는 을 적어놓고 윗첨자에는 을 적어놓고 오른쪽에는 에 대한 함수 같은 식을 적어놓은 식을 읽고는, 가 1인 경우의 값부터 2인 경우의 값, ... , 인 경우의 값까지를 모두 합한 값으로 읽는데, 계산할 변수들과 해당 조건의 나열만 (집합처럼) 명확히 알 수 있게 적어놓는 방식으로 조건에 따라 변수를 대입한 각 경우의 값들의 합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