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the seed 엔진에서 있는 권한 중 하나로 로그인 기록 조회를 할 수 있는 권한이다. 나무위키의 사측 관리자, 알파위키의 검사관 등등이 이 권한을 가지고 있다.
파일:login_hisory_2.png
특정 사용자의 로그인 기록을 조회한 화면[1]
이 권한이 있으면 로그인 기록 조회 페이지[2]에 접근할 수 있으며 해당 페이지에서 특정 사용자의 계정명을 입력하여 해당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UA[3], 계정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4], 로그인한 IP[5] 등을 조회할 수 있지만, 이 권한으로 누군가의 로그인 기록 조회를 시도한 경우 차단 내역에 기록이 남는다.[6]

더시드위키에서는 한때 이 권한을 모든 사용자에게 자유롭게 부여해 주었으나 악용의 위험성이 매우 커서 현재는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진 사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부여해주고 있다.

2. 활용[편집]

접속 IP와 기기를 모두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다중 계정 검사를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라 대부분의 the seed 엔진 사용 위키에서는 이 권한을 사용하여 다중 계정 검사를 진행한다.

대표적으로 알파위키에서는 다중 계정 검사를 수행할 검사관을 별도로 선출하며 검사관은 이 권한으로 검사 대상자의 로그인 기록을 조회하여 다중 계정 검사에 활용한다. 단, 권한 남용으로 개인정보 유출 시 법적인 책임을 물린다.

나무위키의 경우는 다중계정 검사를 할 때 엔진 상의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운영사인 umanle S.R.L.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별도의 툴을 활용한다. #

3. 여담[편집]

이 권한으로 조회한 User Agent에서는 접속한 기기의 하드웨어 및 브라우저, 운영체제 등의 소프트웨어 종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서 다중 계정 검사에서 동일인 여부를 판별하는데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단, 이 때 사용 기기의 정확한 모델명의 상세정보[7]나, 최종 업데이트가 반영된 정확한 운영체제[8]환경인지는 알려주지 않기에, UA의 유사성만으로 동일인을 완벽히 단정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참고로 이 UA는 보안 프로그램 등으로 변조하거나 아예 숨겨버릴 수 있긴한데, UA 정보가 아예 없거나 일반적인 브라우저 환경의 UA가 아닌 경우 사용자 유형과 관계없이 엔진에서 봇(perm:bot)으로 간주한다. 더시드위키에서는 봇 상태여도 딱히 제약은 없지만 나무위키의 경우 봇으로 간주될 경우 사용자 문서의 읽기 이름공간 ACL이 거부(perm:bot - 거부)로 되어 있어서 접근이 아예 차단된다. 물론 UA를 변조한 것이 아니어도 API 등으로 외부 엑세스를 하는 경우 당연히 정상적인 브라우저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봇으로 간주된다.

4. 관련 문서[편집]

  • hideip - 본 권한을 차단하는 카운터 권한으로 해당 권한을 보유한 사용자는 로그인 기록 조회가 막힌다.
[1] 위 화면에서 해당 사용자의 일부 접속 IP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루프백 IP인 127.0.0.1로 표시되는 이유는 hideip 권한으로 인해 접속 IP가 비공개 처리된 경우이다.[2] login_history 권한이 있으면 위키 상단바의 특수기능 메뉴에 이 페이지로 접근 가능한 버튼이 추가된다. 참고로 권한이 없으면 URL로 직접 접근해도 권한 부족 오류창이 뜨면서 기술적으로 접근이 차단된다.[3] User Agent(사용자 에이전트).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해당 웹사이트에 자신이 접속하는 환경 정보를 알리는 일종의 신원 확인 코드이다. PC로 접속했을 때와 모바일로 접속했을 때 같은 웹사이트임에도 다른 서브도메인으로 리다이렉트되는 이가 바로 이 UA의 차이에 따른 적응형 디자인이 적용된 부분이다.[4] 가입 및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이메일 주소이며 내 정보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내 정보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 기록은 따로 남지 않고 현재 등록된 이메일 주소만 표시된다.[5] 로그인했을 때의 아이피와 로그인한 시점이 조회된다.[6] 예시:
Colorless 사용자가 Colorless 사용자의 로그인 기록 조회
2025-04-22 11:49:50
[7] 삼성 모델인지, 애플 모델인지 등은 알 수 있으나, 삼성 모델 중 정확히 어떤 모델(ex.갤럭시 s25 울트라 등)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8] IOS 18.0.1 public beta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