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0 | ||
---|---|---|
r9 | 1 | [목차] |
r10 | 2 | ||<table align=right><tablebgcolor=white,black><bgcolor=#654321><-2> '''{{{+3 {{{#white 똥씨드위키}}}}}}[br]{{{-1 {{{#white DDong Seed Wiki}}}}}}''' || |
3 | ||<bgcolor=#654321> '''{{{#white 개설 일자}}}''' || 2021년 10월 05일 || | |
r9 | 4 | ||<bgcolor=#654321> '''{{{#white 대표색}}}'''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654321;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
r11 | 5 | {{{#white '''똥색''' {{{-2 (#654321)}}}}}}}}} || |
r9 | 6 | ||<bgcolor=#654321> '''{{{#white 언어}}}''' || 한국어 || |
7 | ||<bgcolor=#654321> '''{{{#white 위키 엔진}}}''' || the seed || | |
8 | ||<bgcolor=#654321> '''{{{#white 라이선스}}}''' || CC BY-SA 4.0 || | |
9 | ||<bgcolor=#654321> '''{{{#white 창립자}}}''' || [[사용자:hswmangi|hswmangi]] || | |
10 | ||<bgcolor=#654321> '''{{{#white 회장}}}''' || [[사용자:hswmangi|hswmangi]] || | |
11 | ||<bgcolor=#654321> '''{{{#white 부회장}}}''' || [[175.117.20.36]] || | |
r17 | 12 | ||<bgcolor=#654321> '''{{{#white 사이트}}}''' || [[https://www.ddongseed.wiki]] || |
r1 (새 문서) | 13 | == 개요 == |
14 | [[사용자:hswmangi|hswmangi]]의 가상의 위키이다. | |
r13 | 15 | ---- |
r15 | 16 | {{{+5 재미있게 생각하세요!}}} |
r3 | 17 | == 의도 == |
r2 | 18 | 여러분의 유머감각을 살리세요! |
19 | ||<bgcolor=#654321> {{{#yellow {{{+4 똥씨드위키}}}}}} ||<bgcolor=#654321> {{{#orange {{{+4 (풉씨드위키)poopseedwiki}}}}}} || | |
r6 | 20 | 다양한 생각도 [* pop-up]떠오르는 똥씨드 위키! |
21 | (Pop-seed wiki) | |
r8 | 22 | === 예시 === |
r18 | 23 | '''{{{+2 똥씨드위키== 똥으로 만들어진 씨앗. 이것을 심으면 똥키위가 생긴다.}}}''' |
r8 | 24 | 우리 망고님들의 댓글 |
25 | ↵hswmango님- 끼악~~~~~~ 넘 더러웡~~ | |
26 | ↵hswmangi님- 꺄~~~~~ 끔찍해요! 전 앞으로 똥씨드 키위 안먹습니다!!! 더시드키위만 먹을거예요!!! | |
27 | ↵rolinmango님- 어머어머, 요즘 세상이 왜이리 똥개같아!!! | |
28 | 저의 추천, 유튜브에서 잡초 브롤 거꾸로,또는 youtube June을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 |
29 | 우리 망고님들 넘넘 고마워요~~~~ | |
r16 | 30 | |
31 | == 마스코트 == | |
32 | 똥똥이 | |
r19 | 33 | ;;아무이유 없다 카더라 |
r20 | 34 | [[분류: 똥씨드위키]] |
35 | 정약용의 업적 | |
36 | 정약용(1762 ~ 1836) | |
37 | 호 : 다산, 여유당 | |
38 | ||
39 | ||
40 | 조선 후기 일부 학자들은 당시의 학문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현실 문제에 적극 관심을 기울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등장한 학문이 실학입니다. 실학자들은 농업과 상공업을 중시하는 학자,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학자 등이 있었고, 각 분야에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 |
41 | 실학자 정약용은 오랜 유배 생활 중에도 다산초당에 살면서 학문 연구에 전념하여 500권이 넘는 저술을 남겼습니다. | |
42 | 나라를 바로잡기 위하여 토지 제도를 바꾸고 인재를 고르게 활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경세유표, 지방의 관리가 지켜야 할 내용을 담은 목민심서 등의 책을 썼습니다. | |
43 | ||
44 | ||
45 | ||
46 | 경세유표 | |
47 | ||
48 | * 국가기구 전반의 개혁 원리를 밝힌 책 | |
49 | ||
50 | * 조선 후기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고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 서경과 주례의 이념을 근간으로 하여 조선 후기 제도에 대한 개혁안을 담고 있습니다. | |
51 | ||
52 | ||
53 | 흠흠신서 | |
54 | ||
55 | * 30권 10책. | |
56 | ||
57 | * 형법 연구서이자 재판 지침서 | |
58 | ||
59 | 목민심서 | |
60 | ||
61 | * 48권 16책의 필사본 | |
62 | ||
63 | *수령 업무 지침서(수령으로서 지켜야 할 원칙과 규범들을 다룬 책) | |
64 | ||
65 | ||
66 | 목민심서 -> | |
67 | ||
68 | ||
69 | ||
70 | 1777년(정조 1) | |
71 | ||
72 | 이익의 유고에 깊은 감명을 받고 그의 학문을 따름 | |
73 | ||
74 | 1789년(정조 13) | |
75 | ||
76 | 과거에 급제하여 초계문신에 발탁 | |
77 | □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으로 이장하려 할 때 한강을 건너는 배다리를 설계함 | |
78 | ||
79 | 1792년(정조 16) | |
80 | ||
81 | □ 정조의 명으로 거중기를 설계하여 수원 화성 축조에 기여. 거중기는 공사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습니다 | |
82 | ||
83 | 정약용은 백성을 위한 정치뿐만 아니라 과학기술과 건축에도 관심이 많았습니다. 관직에 있을 때 우리나라와 중국의 성을 연구하여 수원 화성을 설계하였고, 거중기를 고안하여 수원화성을 건설하는 데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을 절약하였습니다. | |
84 | ||
85 | ||
86 | 화성성역의궤 거중기 -> | |
87 | ||
88 | ||
89 | ||
90 | ||
91 | 거중기 복원 모형(수원 화성 박물관) | |
92 | 도르래의 원리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장치 | |
93 | ||
94 | ||
95 | ||
96 | ||
97 | 1794년(정조 18) | |
98 | ||
99 | 홍문관 교리에 제수되고 경기도 암행어사를 역임 | |
100 | ||
101 | 1797년(정조 21) | |
102 | ||
103 | □ 마과회통 저술 | |
104 | 마과회통: 홍역(마진) 치료에 관한 의학서 | |
105 | ||
106 | ||
107 | 마과회통 -> | |
108 | ||
109 | ||
110 | ||
111 | ||
112 | ||
113 | 정약용의 | |
114 | ||
115 | 토지 개혁론인 | |
116 | ||
117 | 여전론과 정전론 | |
118 | ||
119 | 조선 후기에는 토지가 일부 계층에게 편중되면서 경작지를 소유하지 못하는 농민들이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정약용은 토지 소유를 재편하여 농민들이 토지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공동적으로 경작하여 그 수확량을 노동량에 따라 분배하는 여전론(1799)을 제시하였습니다. 아울러 정약용은 여전제보다 실현 가능한 개혁 방안으로 정전론(1817)을 제기하기도 하였습니다. * 정전론 : 개별 경작과 조세 납부용 공동경작을 절충한 제도 | |
120 | ||
121 | ||
122 | ||
123 | 1800(정조 24) 정조 승하 | |
124 | ||
125 | 1801(순조 2) | |
126 | ||
127 | 천주교 탄압사건인 신유박해로 형 정약종 등 주변 인물 죽음을 당함 | |
128 | 정약용은 강진으로 유배되어 유배생활(~1818) 시작. 이때 나이 40세 | |
129 | ||
130 | ||
131 | 다산초당(출처 - 경기문화재단) | |
132 | 다산초당은 정약용 학문의 산실이었으며 | |
133 | 이곳에서 '목민심서'·'경세유표' 등 | |
134 | 수많은 책들을 저술하였습니다. | |
135 | ||
136 | ||
137 | ||
138 | 1808(순조 8) | |
139 | ||
140 | □ 역학의 저술에 매진하여 주역 사전을 지음 | |
141 | ||
142 | ||
143 | 1811(순조 11) | |
144 | ||
145 | □ 아방강역고(우리나라 역대 강역에 관한 역사지리서) 저술 | |
146 | ||
147 | 1812(순조 12) | |
148 | ||
149 | □ <민보의>를 쓰다 | |
150 | ||
151 | 민보의 : 조선 후기 병서로 홍경래의 난을 겪으면서 외적의 침입에 대비 백성의 힘으로 보를 구축하여 대비하는 내용을 밝힌 책 | |
152 | ||
153 | 민보의(출처 - e 뮤지엄) | |
154 | ||
155 | ||
156 | 1813(순조 13) | |
157 | ||
158 | □ ‘논어고금주(논어의 주석)’ 저술 | |
159 | ||
160 | 1818(순조 18) | |
161 | ||
162 | 유배생활 19년 만인 | |
163 | 57세의 나이에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인 마현으로 돌아 옴 | |
164 | ||
165 | 1822(순조 22) | |
166 | ||
167 | □ 스스로 자신의 묘지명 〔자찬묘지명〕 지음 | |
168 | ||
169 | ||
170 | 1834(순조 34) | |
171 | ||
172 | '상서고훈(서경 해설서)' 저술 | |
173 | ||
174 | ||
175 | 1836(헌종 2) | |
176 | ||
177 | 75세를 일기로 별세 | |
178 | ||
179 | ||
180 | 정약용(1762 ~ 1836) 여전론, 정전론, 향촌 단위 방위 체제와 민본적 왕도 정치를 주장하였다. | |
181 | 또한, 영농 기술 개발 등 과학 기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 |
182 | ||
183 | ||
184 | #다산정약용 | |
185 | #정약용업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