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 펼치기 · 접기 ]
- 포크 제한
이 문서의 r8판 및 그 이전에 기여된 부분은 이용허락 없이 포크가 불가능합니다.포크를 위한 이용허락 안내
이 문서의 내용 중 현재 버전 상에서 아래 제시된 아이디의 기여부분에 한정한 모든 내용은 저작자 표시를 하여 CC BY-NC-SA 2.0 (KR or Unported)(으)로도 배포할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포크해 오는 것은 이용허락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편집시 다음 아이디 목록에 편집자가 스스로 본인의 아이디를 기입한다면 위의 이용허락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간주합니다.아이디 목록- disciple153
포크를 위한 이용허락 안내
이 문서의 내용 중 현재 버전 상에서 아래 제시된 아이디의 기여부분에 한정한 모든 내용은 저작자 표시를 하여 CC BY 1.0(으)로도 배포할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포크해 오는 것은 이용허락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편집시 다음 아이디 목록에 편집자가 스스로 본인의 아이디를 기입한다면 위의 이용허락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간주합니다.아이디 목록- disciple153
바로가기
1. 인싸의 소개(?)[1][편집]
아카라이브는 umanle S.R.L.가 운영하는 근첩갤 수용소다. 디시인사이드에서도 욕먹던 갤들이 나가떨어진 곳이라 그런지 축리웹 하위호환/씹덕야짤버전이다.
껍질만 디시인 로리웹이라 보면 편하다.
껍질만 디시인 로리웹이라 보면 편하다.
2. 이용할 수 있는 요소[편집]
게시판 또는 채널, 게시물, 닉네임, 댓글, 이모티콘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ive 엔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2.1. 포인트[편집]
- 획득, 차감
활동한 정도에 따라 쌓인다. 게시물을 작성하는 것만이 아니라 특정 행위에 따라 포인트를 쌓을 수 있게 설정할 수 있어 보인다. 포인트를 소비하여 일부 설정을 바꿀 수 있다.
포인트는 다음의 경우 지정된 가격만큼 소비된다.
포인트는 다음의 경우 지정된 가격만큼 소비된다.
- 게시물 작성 시 얻는 포인트
구분 | 개인 채널 등급의 채널에서 | 일반 등급의 채널에서 |
글 작성 | 30 포인트 | 100 포인트 |
댓글 작성 | 9 포인트 | 30 포인트 |
채널 설정에 따라 글 작성 시 얻는 포인트가 평상시와 달리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일부 이벤트로(유머 채널에 포인트를 주는 이벤트가 있었다. #) 글 작성시 몇 배를 획득할 수 있게 설정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돈세탁세탁 채널 같이 글 작성시 포인트가 차감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세탁 채널에서 올린 글을 삭제시 차감된 포인트를 돌려받는다.)
세탁 채널에 입장하면무의미한 도배글이 작성된 현황을 볼 수 있다. 이는 절대다수의 경우로, 아카라이브에서 시행되고 있는 (후술할) 포인트 게임을 즐기면서 모든 포인트를 올인하여 잃어버릴 때를 대비해놓은 밑천 빼놓기 행위로 된 이유에서이다. 이외 [ADMIN][4] 개발 테스트 채널에서 추천/비추천을 하면 +1포인트한 푼씩 획득할 수 있었으나 언제부터 10포인트씩 차감(...)되었다.[5]
세탁 채널에 입장하면
2.2. 포인트 게임[편집]
제246조(도박, 상습도박)
① 도박을 한 사람은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다만, 일시오락 정도에 불과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② 상습으로 제1항의 죄를 범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대한민국 형법 제2편 각칙 제23장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 중, 제246조
아카라이브에서는 포인트를
아카라이브의 옛이름이 나무라이브였던 역사가 있기 때문인지 이름은 "나무게임", "라이브온도계"이다.
여담으로 이를 반영해서인지 어린아이가
'나무게임', '아카라이브' 두 게임의 공통으로, 투자하여 홀수가 나오느냐 짝수가 나오냐에 포인트를 걸고 알아맞힐 시 투자했던 포인트에서 일정 배율만큼 돌려받을 수 있다. 나무게임의 경우에는 둘로 나눌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홀수, 짝수 외에 "처음에 공이 왼쪽으로 가느냐 오른쪽으로 가느냐",또는 "1~3번 중 한 곳에 떨어지느냐, 4~6번 중 한 곳에 떨어지느냐"를 맞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2.2.1. 나무게임[편집]
삼각형으로 놓인 갈림길의 연속. 갈림길마다 좌로 갈 확률과 우로 갈 확률이 동일하다고 보면서 파스칼의 삼각형을 생각하면 개략적인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1 | =3 | =3 | =1 | |||||||
=1 | =4 | =6 | =4 | =1 | ||||||
=1 | =5 | =10 | =10 | =5 | =1 |
공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는 임을 감안할 때 각 칸 번호별로 공이 떨어질 확률은 다음과 같다.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6번 | |||||
이를 이용해서 어느 번호의 칸에 공이 떨어질지를 알아맞힐 때 획득할 수 있는 포인트 배율은 각 칸에 공이 떨어질 확률의 역수가 적용된다. 그래서 알아맞힐 시 획득하는 배율은 다음과 같다.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6번 | |||||
=32(x) | =6.4(x) | =3.2(x) | =3.2(x) | =6.4(x) | =32(x) |
여기에서 수수료 5% 차감을 하고 남는 정도가 곧 공이 어느 칸으로 가는지를 알아맞힐 시 획득할 수 있는 배율이다.
게임이 시작되면 공이 제일 위에 떨어지고 어느 정도 튀어오르다가 갈림길 위에 서 있다. 그리고 왼쪽 아니면 오른쪽으로 폴짝 뛰면서(!) 내려가고 착지지점 위에 통통 튀다가 머무르는 동작을 계속한다. 그렇게 하여 6칸 중 중 한 곳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론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최대 포인트는 30,400,000 포인트이다. (1백만 투자, 32배, 수수료 5% 차감)그렇다, "32배 츄라이 츄라이"가 아니라 "30.4배 츄라이 츄라이"였다.
게임이 시작되면 공이 제일 위에 떨어지고 어느 정도 튀어오르다가 갈림길 위에 서 있다. 그리고 왼쪽 아니면 오른쪽으로 폴짝 뛰면서(!) 내려가고 착지지점 위에 통통 튀다가 머무르는 동작을 계속한다. 그렇게 하여 6칸 중 중 한 곳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론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최대 포인트는 30,400,000 포인트이다. (1백만 투자, 32배, 수수료 5% 차감)
1,000,000 × 32 × 0.95 = 30,400,000 |
2.2.2. 라이브온도계[편집]
특정한 과정을 거쳐 해시(hash) 암호화된 8자리 16진법 값 이 주어지면, 이를 10진법으로 변환한 정수 에 대하여
을 만족하는 0 이상의 최소값 정수인 를 구하는 방정식을 풀게 된다.[6][계산기] modular 계산값이 100이 되면 폭발한다. 100이 되면 끓어서 폭발하고 0이 되면 얼어서 부피팽창으로 폭발하는 물?온도계를 볼 수 있다.
그 다음 에 대하여 (정의역은 0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의 집합으로 두는) 모종의 여섯 함수 , , , , , , 에 대하여 참가자가 선택한 함수에서 의 값이 반영된 함숫값에 기존 투자한 포인트를 곱한 값만큼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는 게임이다. 이론상으로 정확하게 2배, 또는 4배, 또는 8배를 획득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참조 : 해시값 설명#삭제됨 @, 계산식 설명 #)
그 다음 에 대하여 (정의역은 0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의 집합으로 두는) 모종의 여섯 함수 , , , , , , 에 대하여 참가자가 선택한 함수에서 의 값이 반영된 함숫값에 기존 투자한 포인트를 곱한 값만큼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는 게임이다. 이론상으로 정확하게 2배, 또는 4배, 또는 8배를 획득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참조 : 해시값 설명
- 각주 [펼치기·접기]
- [1]
잠깐 이건 인싸의 소개가 아니잖아[2] 원래 3천 포인트였는데, 후술할 이슈 관련으로 문의가 공개적으로 처리되지 않게 되었으면서도 운영자가 어떻게 있는지 확실치 않게 된 상황에서영자 자냐? 파밍 달린다무작정 포인트 벌이를 할 수 없도록 상향한 모양으로 보인다.[3] 이제 유저광고 기능 종료로 인해 그럴 일은 없을 것이다.[4] 새로운 글이 올라오고 나서 며칠 지나면 운영자가 "운영" 설정이 달린 (권한 없음) 글머리로 바꿔놓는다. 나무위키 게시판이라면 (권한 없음)이 나오지 않는 대신 목록이 보이지 않는다.[5] 추천, 비추천도 로그가 남게 되는데비추실명제공개만 되지 않을 뿐이다.[6] 앞의 mod는 모듈러 연산이다. mod 101는 조금 쉽게 말하자면, 101로 나누기를 할 때 나머지가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여담으로 101은 소수이므로, mod 101에서는 1부터 100까지의 각 수는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한다. 이를테면 이 된다.[계산기]- 컴퓨터에서 계산기 프로그램을 연 다음 "프로그래머용" 계산기로 바꾼다.
- 조그맣게 Hexadecimal(16진법), Decimal(10진법), Octonal(8진법), Binary(2진법) 탭을 찾는다.
- Hex를 누른다.(16진법 계산으로 계산방법을 바꾼다.)
- 온도계에서 나오는 hash 값을 계산기에 붙여놓기한다.
- Dec를 누른다.(10진법 계산으로 계산방법을 바꾼다.)
- 키보드에서%키를 누른다. 또는 계산기 창에서Mod단추를 누른다. (modular)
- 101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른다.
- 온도가 나온다.
2.3. 아카콘[편집]
아카라이브(arcalive)와 아이콘(icon)을 합친 신조어. 그림으로 댓글을 달 때 사용하는 아이콘들을 가리킨다. 그림으로만 된 아이콘도 있으며, 움짤이나 영상 같이 움직이는 아이콘도 있다. 대개 채널에서 다루는 주제와 관련된 아이콘들이 등록된다.
이모티콘(emoticon)이라는 의미에서 도메인이 arca.live/e/로 되어있다. 이모티콘은 "emotion + icon"이지만, 아카라이브 안에서 아카콘이라는 이름으로 쓰는 관행에 따라 아카콘으로 서술한다.
아카콘은 1개 세트에 여러 아카콘을 넣는 묶음으로 판매하는데, 이를 구매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1개 묶음은 일반적으로 아카콘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격이 100pt 이다. 개인 설정이 들어있는 메뉴에서 "아카콘"을 누르면 아카콘 상점으로 이동된다.이제 익숙하게 오른쪽 위만 클릭하면 메뉴가 나올 것 같다. (바로가기)
아카콘에 등장하는 요소는 다음 문단을 참고.
아카콘을 등록하려면 2천 포인트가 필요하다.
이모티콘(emoticon)이라는 의미에서 도메인이 arca.live/e/로 되어있다. 이모티콘은 "emotion + icon"이지만, 아카라이브 안에서 아카콘이라는 이름으로 쓰는 관행에 따라 아카콘으로 서술한다.
아카콘은 1개 세트에 여러 아카콘을 넣는 묶음으로 판매하는데, 이를 구매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1개 묶음은 일반적으로 아카콘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격이 100pt 이다. 개인 설정이 들어있는 메뉴에서 "아카콘"을 누르면 아카콘 상점으로 이동된다.
아카콘에 등장하는 요소는 다음 문단을 참고.
아카콘을 등록하려면 2천 포인트가 필요하다.
2.4. 광고[편집]
- 광고하기
광고가 있으면 주소에 지정된 일련번호가 주어지며, 광고로 띄울 그림(GIF도 된다.)과 링크가 정해진다.
주제는 비교적 자유롭다. 이 때문인지 아카콘보다 더 강한 유행과 효과(?)를 낼 수 있고, 때로는 상황을 농담조처럼 꾸민 내용을 싣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A가 나타나 자기가 임신했다는 말을 건네고, 이어 B가 나타나 마찬가지로 자기가 임신했다고 말을 건네는 상황에서 A를 믿느냐 B를 믿느냐" 하는 내용을 실은 광고가 게시되었는데, 이를 변형하여 로봇(컴퓨터 계집애)과 남자(검은 양복)까지 임신(잠재적 폭주 요소)에 끌어들이는(...) 내용을 싣는 용자들이 있었다고 한다. 무슨 마약 하길래 댁은 이런 생각을 하셨수?
여담으로 개인 광고들이 자주 실리다보니 아카라이브에는 스폰서나 구글 애드센스가 나오는 경우가 드물다. 이 때문에 나무위키에 달리는 구글 애드센스는 아카라이브 운용비에 쓰이는 것이 아니냐는 농담이 있다고 한다.
주제는 비교적 자유롭다. 이 때문인지 아카콘보다 더 강한 유행과 효과(?)를 낼 수 있고, 때로는 상황을 농담조처럼 꾸민 내용을 싣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A가 나타나 자기가 임신했다는 말을 건네고, 이어 B가 나타나 마찬가지로 자기가 임신했다고 말을 건네는 상황에서 A를 믿느냐 B를 믿느냐" 하는 내용을 실은 광고가 게시되었는데, 이를 변형하여 로봇
여담으로 개인 광고들이 자주 실리다보니 아카라이브에는 스폰서나 구글 애드센스가 나오는 경우가 드물다. 이 때문에 나무위키에 달리는 구글 애드센스는 아카라이브 운용비에 쓰이는 것이 아니냐는 농담이 있다고 한다.
- 나무위키, 나무뉴스와의 연결
나무위키와 나무뉴스, 아카라이브(구 나무라이브)는 둘 다 Umanle S.R.L.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서로 간에 연결되어 있다.[8]
먼저 나무위키의 경우를 보자면, 아카라이브는 사실상 나무위키 클라우드플레어와 연동된다. 이는 아카라이브에서 일시적으로 접속 오류가 발생할시 나무위키와 클라우드플레어 사이 오류가 나온다는 메세지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카라이브 주요 채널들에는 각 다루는 주제들이 있을 터인데, 나무위키에서 이와 관련된 문서를 열람하면 광고가 구글 애드센스 대신에 해당되는 아카라이브 채널에 대한 광고가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나무뉴스의 경우, 아카라이브에서 상단 메뉴 바로 아래에 나무뉴스에 실린 기사 제목이 1줄씩 보여지고 있는 것부터 이미 아카라이브에서 나무뉴스로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무뉴스에서 아카라이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단 메뉴에 "아카라이브" 단추가 있다.[mobile-blind1]
먼저 나무위키의 경우를 보자면, 아카라이브는 사실상 나무위키 클라우드플레어와 연동된다. 이는 아카라이브에서 일시적으로 접속 오류가 발생할시 나무위키와 클라우드플레어 사이 오류가 나온다는 메세지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카라이브 주요 채널들에는 각 다루는 주제들이 있을 터인데, 나무위키에서 이와 관련된 문서를 열람하면 광고가 구글 애드센스 대신에 해당되는 아카라이브 채널에 대한 광고가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나무뉴스의 경우, 아카라이브에서 상단 메뉴 바로 아래에 나무뉴스에 실린 기사 제목이 1줄씩 보여지고 있는 것부터 이미 아카라이브에서 나무뉴스로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무뉴스에서 아카라이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단 메뉴에 "아카라이브" 단추가 있다.[mobile-blind1]
[8] 셋의 공통점으로 사람 사이에 정보가 오갈 수 있다.[mobile-blind1] 모바일 형식으로 열람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추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PC 형식으로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게 설정해놓자.
3. 이용[편집]
3.1. 대문 및 메뉴[편집]
- 2022년 기준 메뉴 보기 [펼치기·접기]
- 대문
- 메뉴 구성 (커뮤니티 게시판)
- 페이지 상단 구성
왼쪽 : 아카라이브 로고, 구독채널, 주요채널, 채널검색
오른쪽 : 뉴스(나무뉴스)[mobile-blind], 위키(나무뉴스)[mobile-blind], 검색,종근당알림, 사용자 설정- 페이지 측면 구성[mobile-blind] : 어느 페이지에 머물러 있느냐에 따라 나오는 창이 조금 다르다.
- 오른쪽 위 : 실시간 검색어 (나무위키 제공)
- 오른쪽 아래 : 나무뉴스 주요 (나무뉴스)
- 오른쪽 위 : 없음
- 오른쪽 아래 : 나무뉴스 주요 (나무뉴스)
- 오른쪽 위 : 유머 채널 게시글(위쪽), 이 채널의 개념글 (아래쪽)
- 오른쪽 아래 : 나무뉴스 주요 (나무뉴스)
- 페이지 하단 구성
- 사이드바 : 본문보기(게시물 열람 시), 댓글 보기(게시물 열람 시), 표시설정, 위로, 아래로
- 정보
- Live v2 엔진 버전 (수시로 업데이트 되니까 업데이트 내역을 찾아볼 수 있다.), 컨텍트, 이용약관[13]
- 우만레, 파라과이 아순시온
- 동시접속자 수
- 메뉴 구성 (채널 위키)
[mobile-blind] 10.1 10.2 10.3 모바일로 열람할 시 보이지 않게 된다. 페이지 상단 뉴스, 위키는 사용자 설정 탭에서 볼 수 있다.[13] 나무위키보다는 구성이 조금 더 자세하다.
3.2. 채널 검색[편집]
아카라이브의 채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카라이브/채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과거에는 아카라이브가 열린 창의 윗단에서 "채널검색"을 찾아 누르면 채널검색 창으로 이동되었고 직접 찾고자 하는 채널의 이름을 검색창에서 입력하여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개인채널의 경우, 검색창에 문구를 입력할 때 들어갈 수 있었다. 검색어에 검색어 입력 도중
또한 개인채널의 경우, 검색창에 문구를 입력할 때 들어갈 수 있었다. 검색어에 검색어 입력 도중
찾는 채널이 없나요? 개인 채널 보기 |
문구가 나오는데, "개인 채널 보기"를 누르면 해당 주소로 이동되어 개인 채널 목록을 볼 수 있었다. 디시인사이드로 보자면 마이너 갤러리에 해당되는 채널들이 되겠다. 후방주의할 사항으로는, 이동시 반겨주는 첫 목록부터 개요에서 설명하는 내용 그대로(...)라고 의심되는 이름들이니 잘 걸러야 했었다.
어느 순간 터질 것 같은 모종의 운동들로 인해 서서히 공개되는 채널 목록이 제한되기 시작하더니 현재는 채널 검색에서 채널 리스트로 변경되었다. "주요 채널"에서 나오는 목록 아래쪽에 "더 보기"를 눌러야지 채널 리스트를 볼 수 있고, 그마저도 몇 개까지만 보여준다.
앞의 개인 채널 보기 주소는 있으나[14] 현재로서는 기능이 일반적으로 비활성화 되어있다. 다만, 검색창에 적당한
개인채널 역시 구독하기가 가능하다.
3.3. 서술 관련[편집]
3.3.1. 아카콘에 등장하는 요소[편집]
1. 아카콘에 등장하는 요소
주로 창작물. 이를테면 게임을 포함한 창작물마다 인물은 달라도 하나쯤은 있는 여자아이 캐릭터들이 있다. 트레이싱으로 어떤 캐릭터끼리 그림체가 하나같이 동일해 보이는 것은 유행에 따른 결과일 것이다.
- 페페 더 프로그 - 개구리
2. 몸동작
되도록이면 원본을 먼저 서술할 것.
- "일본의 [택시 자동문]이 칠레 첫상륙 이것이 메이드 인 재팬이다!" 관련 - 해당 영상에서 칠레 남자가 감탄하여 이마에 손을 대는 장면을 편집한 여러 아이콘들이 만들어졌다.
이마만 반복적으로 때리는 아이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 몸동작을 본뜬 여자 캐릭터 아이콘까지 있다. - 그런 건 없다 게이야 - 대충 동작은 시전자가 눈웃음을 하는 등 웃은 후 덩실덩실 춤을 추는데 순간 한 줄기 강렬한 빛을 내더니 주먹질을 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대사는 그런 거 없다 라는 말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 거 없다, 게이야.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 안 돌아온다 게이야. ㅋㅋㅋㅋ"는 식의 대사인데, 판의 종류에 따라 마지막에 1박 2일 프로그램에서 강호동이 주로 발언했던 "나만 아니면 돼애애애"라는 대사가 붙기도 한다.
[14] show= 뒤에 다른 값을 입력하면 오류 문구가 나온다.
3.3.2. 내용, 드립[편집]
- 성적요소
파라과이 법체계에 기준하여 운영되는 사이트이다보니 성적 요소가 화보에 쓰일 소재거리로 인가될 수 있는 선이 한국 법체계보다는 넓은 듯 하다. 이 때문인지 싸우지 말고 하라는 성관계 드립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일부 성적 요소는 "내가 고자라니" 같이 유머 소재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간혹 관심종자들의 애용 소재(...)로 쓰인다.대강 "선생님의 변태 성욕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같은 아카콘이 달린다. 또한 성향들이 각양각색(...)이라 성적 요소를 주제로 한 채널들이 의외로 많다.
- 아카콘
우스갯소리에 도배가 남발되는지 노무현, 아돌프 히틀러 등의 아카콘 사용에 제약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어떤 용자는 우회(?)해서 제한된 대상 인물을 연상케 하는 몸동작이나 표정을 베낀 아카콘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특히 노무현이 무언가를 징그럽게 싫어하듯이 놀라는 몸동작이 있는데, 스탈린,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물론이고 창작물의 캐릭터까지 같은 몸동작으로 만든 아카콘이 있다고 한다. 이제 카카오톡의 "무지"캐릭터까지도 있다고 한다.
일부 아카콘들은 가만히 있으면 못 배겨서 현란한 아카콘이 있는데, 눈 건강에 주의.
일부 아카콘들은 가만히 있으면 못 배겨서 현란한 아카콘이 있는데, 눈 건강에 주의.
- 느그나라, 우리나라 드립
3.4. 기타[편집]
- 리다이렉트
- 🙏 봇을 아십니까?
로그인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색결과를 너무 빠른 시간 안에 많이 훑다보면 사이트가 크롤링으로 인식하는지 비정상적인 접속이라고 알리면서 캡챠를 요청한다. 물론, 계정 설정에서 계정 비활성화 같은 민감한 부분으로 접근할 때에도 사이트가 캡챠를 요구한다.
- 사람인지 확인하는 중입니다.
디도스 공격을 자주 받는 탓인지, 로그인이 되어있어도 접속중인 네트워크가 다르게 변경되고 다른 페이지를 방문하면 잠시 몇 초 동안의 대기시간을 거친 다음 사람인지 확인하는 체크란에 체크해달라며 요청한다.
- 이름에 대하여
나무라이브 이름의 어감이 젠카이노 러브라이브 같지만 러브라이브와는 관련이 없다.
- [관련 미스터리]
- 그리고 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에 namu_ 닉네임을 사용하듯이 namu처럼 보이는 이용자가 namu_ 닉네임으로 러브라이브 채널에 활동한 적이 있었다. 이 이용자가 작성한 글 중 하나를 보면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물론 이런 구도의 추측이라면 옛날에 청동도 아카라이브에 가입했었다는 설도 세울 수는 있다.나무위키 아카라이브 문서에 namu관련 설이 서술되어 있었다가 삭제되었다. 해당 아카라이브 이용자가 진짜 namu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구독자 수가 갑작스레 줄어들었다는 반응이 있었다. 이유는 운영자가 활동이 없는 계정을 정리하는 작업으로 구독자 수가 조정된 것이라고 한다. # 운영자가 namu같이 별도 문의 창구로 문의를 받으면서 눈에 띄지 않게 운영하는 모양이다.
4. 이슈[편집]
4.1. 저작권 관련 공지[편집]
안녕하세요, 아카라이브 관리자님.
...(중략)...
저희 방송은 치지직 플랫폼을 통해 정식으로 송출되고 있으며, 다른 플랫폼이나 게시판에서 콘텐츠가 무단으로 공유되거나 재배포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아래의 조치를 요청드립니다.
위 언급된 게시물의 즉각적인 삭제.
저희 콘텐츠와 관련된 추가적인 무단 공유를 방지하기 위한 운영 정책의 강화.
해당 채널의 경우 방송 컨텐츠의 저작권자에 대한 일절의 동의 없이 영상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중략)...
명백히 방송 컨텐츠의 공유 허락을 받은 경우에만 공유가 가능하도록 이에 대한 시정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무단으로 게시물을 업로드한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 또한 요청합니다.
감사합니다.채널 관리 공지 게시판에 올라온 공개 요청 내용 중
채널 제한 사항
(중략) 자료가 아카라이브가 아닌 외부 사이트를 통해 공유되고 있다하더라도, 저작권 위반 자료 공유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채널 금지
전체 규정이 개정된 이후, 운영자가 "저작물 공유 목적의 채널에 관한 운영 정책 변경 안내"라는 전체 공지(#, 당일 당시 @) 를 올려 5월 7일까지 곧 시정 유예기간으로 1개월을 고지했다.[16] 그런데 많은 이용자들이 최근 법적인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를 알지 못하는데다가 공지가 갑작스러우면서도 문체가 위압적이라 댓글이 불타오르듯이 쌓였으며, 어떤 이용자는 공지를 올린 운영자와 키보드 배틀까지 벌였다. 운영자의 태도 때문에 이용자들이 욕설을 퍼붓기도 했으나, 다르게 보자면 운영자가 깡통계를 통해서까지 넌지시 알려주는 누칼협 인질 내용이 모종의 단서일지도 모른다.
정책이 시행되면 채널 관리 공지게시판에 스트리밍 영상을 무단으로 배포, 공유한 게시물을 삭제하는 조치는 당연히 이루어지겠지만 이용자들 가운데서는 "그것으로 끝이 날까?" 하는 주장도 나왔다. "스트리밍 무단 배포 및 공유"를 지목한다면 스트리밍을 업로드한 부분으로 한정되겠지만 "저작권 위반 자료 공유"라고 지목하게 되면 '스트리밍 무단 배포 및 공유'를 포함하면서도 비영리 목적인지 영리 목적인지를 불문하고 범위가 거의 모든 주요 채널이라 볼 수 있을 만큼 지나치게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출처를 밝힌다 하더라도 묵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이상 저작권을 주장하여 삭제 요청만 하면 지워지게 되는 상황으로 된다면 그동안 게시되어 있던 글은 매우 많아서 상황이 더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시점에서 해당 공지에 달렸던 1천 개 이상의 댓글이 모두 사라졌다. 그런데 (아무리 작성자가 못 참겠다 하더라도) 공지사항 전체 게시물에 달렸던 댓글들과 댓글 작성 권한이 사라졌다. 그리고 "문의 게시판"이 비활성화되었고 네비게이션 바의 주요 채널의 하위 항목 가운데 있었던 '문의 게시판' 항목도 사라졌다. 이것은 곧 운영자와 이용자 사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봉쇄된 것이고, 운영자의 태도에 있는 문제를 포함하여 운영자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 이유가 되었다.
운영자가 비활성화된 '문의 게시판'에 [완료]로 말머리를 돌렸던 문의글들의 모든 댓글[17]을 일괄적으로 삭제하였다. 그리고 '문의 게시판'을 넘어 다른 채널에 작성된 내용까지 운영자가 자기만이 아니라 다른 운영자가 작성한 댓글을 삭제하고서는, 기존에 확인할 수 있는 운영자 목록의 프로필을 보고자 /u/@계정명 주소를 들어갔을 때 삭제되었거나 없는 계정[18]이라는 오류 메세지를 보게 되어 "운영자가빤스런하는게 아닌가"하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다 '문의 게시판'에 목록을 볼 수 있는 권한이 제한되어 어떤 문의글이 올라왔었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19]
정책이 시행되면 채널 관리 공지게시판에 스트리밍 영상을 무단으로 배포, 공유한 게시물을 삭제하는 조치는 당연히 이루어지겠지만 이용자들 가운데서는 "그것으로 끝이 날까?" 하는 주장도 나왔다. "스트리밍 무단 배포 및 공유"를 지목한다면 스트리밍을 업로드한 부분으로 한정되겠지만 "저작권 위반 자료 공유"라고 지목하게 되면 '스트리밍 무단 배포 및 공유'를 포함하면서도 비영리 목적인지 영리 목적인지를 불문하고 범위가 거의 모든 주요 채널이라 볼 수 있을 만큼 지나치게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출처를 밝힌다 하더라도 묵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이상 저작권을 주장하여 삭제 요청만 하면 지워지게 되는 상황으로 된다면 그동안 게시되어 있던 글은 매우 많아서 상황이 더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시점에서 해당 공지에 달렸던 1천 개 이상의 댓글이 모두 사라졌다. 그런데 (아무리 작성자가 못 참겠다 하더라도) 공지사항 전체 게시물에 달렸던 댓글들과 댓글 작성 권한이 사라졌다. 그리고 "문의 게시판"이 비활성화되었고 네비게이션 바의 주요 채널의 하위 항목 가운데 있었던 '문의 게시판' 항목도 사라졌다. 이것은 곧 운영자와 이용자 사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봉쇄된 것이고, 운영자의 태도에 있는 문제를 포함하여 운영자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 이유가 되었다.
운영자가 비활성화된 '문의 게시판'에 [완료]로 말머리를 돌렸던 문의글들의 모든 댓글[17]을 일괄적으로 삭제하였다. 그리고 '문의 게시판'을 넘어 다른 채널에 작성된 내용까지 운영자가 자기만이 아니라 다른 운영자가 작성한 댓글을 삭제하고서는, 기존에 확인할 수 있는 운영자 목록의 프로필을 보고자 /u/@계정명 주소를 들어갔을 때 삭제되었거나 없는 계정[18]이라는 오류 메세지를 보게 되어 "운영자가
조치 대상 예시: 심야식당 채널, 해적단 채널 그 외 유사한 상업 작품을 공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채널전체 공지 수정으로 추가된 내용.
뒤늦게 전체 공지에 내용이 추가됨으로써 수정되었다. 조금이나마 구체적이게 조치대상을 지목했지만, 그 이전까지 운영자의 태도에 대하여 좋지 않게 보는 이용자들이 이런 저런 주장을 내놓았다.
문의 게시판이 비활성화된 대신 "문의하기" 탭이 "채널 문의 게시판"과 주요 채널 사이에 생겼다. support@arca.live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보내게 되며, 웹 페이지 아래 Contáctenos와 같은 기능이다.[20] 그러나 결과적으로 문의 게시판이 비활성화됨으로써 그 동안 문의 게시판 내용을 링크하고 있던 문서들이 문의 게시판 내용을 더 이상 참고할 수 없게 된 문제가 발생했다. (예 : 나무위키)
문의 게시판이 비활성화된 대신 "문의하기" 탭이 "채널 문의 게시판"과 주요 채널 사이에 생겼다. support@arca.live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보내게 되며, 웹 페이지 아래 Contáctenos와 같은 기능이다.[20] 그러나 결과적으로 문의 게시판이 비활성화됨으로써 그 동안 문의 게시판 내용을 링크하고 있던 문서들이 문의 게시판 내용을 더 이상 참고할 수 없게 된 문제가 발생했다. (예 : 나무위키)
4.2. 유저 광고집행 기능 종료[편집]
그러다 집행되고 있던 광고(유저광고)들이 중단되었음을 호소하는 이용자들이 많이 생겨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게 모르게 Live 엔진의 버전 해시값은 꾸준히 바뀌고 있어 엔진은 업데이트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광고집행이 처음에는 광고를 게시하려고 시도하면 "전산 전환 작업으로 서비스가 일시 중지 중"이라고 나와서 광고를 걸 수 없다가(#예시) 페이지 자체가 not found exception 오류가 나오게 업데이트되어 광고를 걸 수 없게 된 상황[21]이 되었다. 광고부터 시작하여 지금 돌아가고 있는 나무게임과 라이브온도계까지 중단될지 아니면 언제 운영자가 공식적으로 모습을 드러낼지는 미지수였다.
그러다 "유저 광고 서비스 종료 안내 및 공지" 공지사항이 다시 올라왔다.(#, 게시 당시 @[22]) 그런데, 문체가 당시 아카라이브에 상주하면서 뭐가 어떻게 된 건지 궁금해서 미칠 지경인 이용자 눈에는 무엇으로 보였을까? 그리고 AI를 돌려서 공지를 만들었다고 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또한 게시된지 몇 시간 안에 공지사항이 수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채널과 관련된 비용(?)이 대폭 상향되었다. 개설 비용이 기존 3,000 포인트에서 30,000 포인트로, 일반 채널 전환 조건이 기존 구독자 수 100명에서 1,000명으로 바뀌었다. 또한 활동하지 않는 계정들이 정리되면서 많은 채널들의 구독자 수에 쌓였던 거품이 가라앉았다. 광고를 걸 수 없게 되었으니 (대놓고 좌표를 찍지 않는 이상) 개인 채널이 일반 채널로 전환할 수 있는 진입장벽은 더욱 높아진 셈이다.
유저 광고가 없으니까 "¡Hola!"만 나온다.심심하면 새로 고침해서 일반 회색 Hola 카드, 고급 연보라색 Hola 카드[23] 뽑기를 할 수 있다. 가끔씩 낮은 확률로 레어카드 "로스트 소드(Lost Sword)", "붕괴 스타레일", "에픽세븐" 게임 스폰서 광고, 그리고 4월 중 한국에 출시될 예정인 "앵커패닉" 게임 스폰서 광고, "승리의 여신:니케" 광고가 나온다.
낮은 확률로 스폰서 광고는 계속 나오는 모양이다.
그러다 "유저 광고 서비스 종료 안내 및 공지" 공지사항이 다시 올라왔다.(#, 게시 당시 @[22]) 그런데, 문체가 당시 아카라이브에 상주하면서 뭐가 어떻게 된 건지 궁금해서 미칠 지경인 이용자 눈에는 무엇으로 보였을까? 그리고 AI를 돌려서 공지를 만들었다고 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또한 게시된지 몇 시간 안에 공지사항이 수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채널과 관련된 비용(?)이 대폭 상향되었다. 개설 비용이 기존 3,000 포인트에서 30,000 포인트로, 일반 채널 전환 조건이 기존 구독자 수 100명에서 1,000명으로 바뀌었다. 또한 활동하지 않는 계정들이 정리되면서 많은 채널들의 구독자 수에 쌓였던 거품이 가라앉았다. 광고를 걸 수 없게 되었으니 (대놓고 좌표를 찍지 않는 이상) 개인 채널이 일반 채널로 전환할 수 있는 진입장벽은 더욱 높아진 셈이다.
유저 광고가 없으니까 "¡Hola!"만 나온다.
낮은 확률로 스폰서 광고는 계속 나오는 모양이다.
4.3. 숙제[편집]
주의
이 문단에는 사건사고에 대하여 독자연구 내지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단에는 사건사고에 대하여 독자연구 내지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이트를 운영하는 비용을 충당하고자 광고수익을 마련해야 했다면 이슈가 있었고 이용자가 줄어들더라도 덜 줄어들도록 태도를 잡았어야 했다. 머무르는 이용자가 많이 있어야 광고를 많이 볼 횟수가 늘어나고 또한 걸 수 있는 스폰서 광고 가짓수가 많아지므로 그렇게 낸 광고수익은 운영 비용으로 쓸 수 있었다.
유저광고를 종료시키는 조치는 전통처럼 유저 광고를 걸고 보고 즐기면서 더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었던 이유들 중 하나를 없애버린 성급한 조치였다. 스폰서 광고로 광고를 게시할 칸을 모두 채우고자 유저광고를 밀어버리기보다는 이용자가 유저광고를 걸 수 있는 가로 길쭉한 공간은 존치하되 스폰서 광고가 나올 빈도수를 사정상 조금 높일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을 하거나 측면 배너에는 스폰서광고가 게시된다는 등 설명을 했었어야 했다.
namu는 그래도 위키에 나타나서 편집이라도 했지만, 아카 운영자 가운데서 공지글만 있지 예전처럼 채널에 나타나서 글을 올리거나 댓글을 다는 운영자는 없어졌다. 다만 나무위키 게시판에 먼저 업로드된 공지글이 *ㅈㅅ 계정으로 아카라이브 공지사항 공지글에도 같이 올라갔으니까[24] 아카라이브 운영자를 알고 있거나 겸임하고 있는 위키 사측 관리자가 있을 가능성은 있다.
유저광고를 종료시키는 조치는 전통처럼 유저 광고를 걸고 보고 즐기면서 더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었던 이유들 중 하나를 없애버린 성급한 조치였다. 스폰서 광고로 광고를 게시할 칸을 모두 채우고자 유저광고를 밀어버리기보다는 이용자가 유저광고를 걸 수 있는 가로 길쭉한 공간은 존치하되 스폰서 광고가 나올 빈도수를 사정상 조금 높일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을 하거나 측면 배너에는 스폰서광고가 게시된다는 등 설명을 했었어야 했다.
namu는 그래도 위키에 나타나서 편집이라도 했지만, 아카 운영자 가운데서 공지글만 있지 예전처럼 채널에 나타나서 글을 올리거나 댓글을 다는 운영자는 없어졌다. 다만 나무위키 게시판에 먼저 업로드된 공지글이 *ㅈㅅ 계정으로 아카라이브 공지사항 공지글에도 같이 올라갔으니까[24] 아카라이브 운영자를 알고 있거나 겸임하고 있는 위키 사측 관리자가 있을 가능성은 있다.
5. 업데이트[편집]
주의
이 문단에는 독자연구 내지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단에는 독자연구 내지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기재방법
- 서술된 모든 업데이트 내역은 추측 또는 추론입니다. 실제와 다를 수 있음을 미리 알립니다.
- 직접 실험해본 결과를 기재하거나 아카라이브 문의 게시판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 편의상 나무위키 게시판 업데이트 내역도 기재합니다.
5.1. 2022년[편집]
대강 하루마다 한두 번 꼴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 2022-02-06 : Live v2 버전이 f6d69f1f 으로 유지되고 있다.
- [2022년 1월 내역]
- 2022-01-30 : Live v2 버전이 f6d69f1f 으로 변경되었다.
- 2022-01-29 : Live v2 버전이 823464f2 으로 변경되었다.
- 2022-01-28 : Live v2 버전이 e65957e9, 40a56214 순으로 변경되었다.
- 마찬가지로 아카콘 기능을 업데이트한 것으로 보인다.
- 2022-01-27 : Live v2 버전이 58f356e9 으로 변경되었다.
- 아카콘 기능을 업데이트한 것으로 보인다.
- 2022-01-26 : Live v2 버전이 f96fb53a, 74a9f865 순으로 변경되었다.
- 다음 문의로 보건대 이번 업데이트로 신고 시스템을
뭔가 잘못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 2022-01-25 : Live v2 버전이 df52158d 으로 변경되었다.
- (추정) 모바일로 열람할 시의 상단 메뉴의 구성이 변경되었다. "위키(나무위키)"가 드러나게 변경되었고, "뉴스(나무뉴스)"는 그대로 사용자 메뉴로 옮겨진다. 이런 문의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위키, 검색, 알람, 사용자 메뉴 순으로 구성이 변경되었다.
- (추정)댓글 작성시 작성 시간대가 GMT+0으로 변경되는 버그가 해결되었다.
- 2022-01-24 : Live v2 버전이 d9acd13e, b51964f7 순으로 변경되었다.
- (d9acd13e) 게시판 아래쪽에 "시간으로 바로가기"가 생성되었다. "년도, 월, 일, 오전/오후, 시, 분"을 입력후 "시간으로 바로가기" 단추를 누르면 게시판 페이지가 해당하는 글 작성 시간대가 있는 곳로 이동 된다. GMT+0 시간대 기준으로 보인다.
- (b51964f7) 버그에 따른 시스템 변경으로 추정된다. (만일 이 버그라고 했을 때 해당 버그가 나올 가능성이라면 "페이지를 방문해서 열람해야 관련 알람이 지워지는 구조"로 알람 체계가 짜여져있는 상태에서, 누군가가 게시글을 작성하여 어떤 언급(mention)이 있게 되었는데 상대방이 확인하기 전에 게시물이 모종의 이유로 삭제되는 경우이다.
벨튀)
- 2022-01-23 : 아카라이브의 Live v2 버전이 b2f4aa10, 4d51e64f 순으로 변경되었다. 나무위키 게시판의 Live v2 버전이 527a5dda 으로 변경되었다.
- 2022-01-22 : Live v2 버전이 52f90d65 으로 변경되었다.
- (52f90d65) 모바일로 열람할 시의 상단 메뉴의 구성이 변경되었다. 모바일로 열람할 시 "뉴스(나무뉴스)", "위키(나무위키)"가 사용자 메뉴로 옮겨진다. (라이브 온도계 및 아카콘 아래, 로그아웃 위로 끼여 들어가 있다.) PC로 열람하는 경우에는 변함없이 "뉴스", "위키"가 상단 메뉴의 오른쪽으로 나와있다. (다음 문의의 답변을 보면 운영진 가운데 Live 엔진 개발자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2022-01-21 : Live v2 버전이 662ef3be, e4b470f6, b67a1efe 순으로 변경되었다.
- (b67a1efe) 상단 메뉴의 구성이 변경되었다. "뉴스", "위키" 단추가 오른쪽으로 옮겨지고 (모바일 보기에 보이지 않을 수 있음), 상단 오른쪽에서 "검색(돋보기 아이콘)"이 추가되었다.
- 2022-01-20 : Live v2 버전이 8bcb04d3 으로 변경되었다.
- 댓글을 달 때 순간적으로 창이 노랗게 반짝이듯이 되었다가 서서히 원래 색으로 돌아오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 2022-01-19 : Live v2 버전이 179adb9a 으로 변경되었다.
- 모바일 기준으로 광고가 차지하는 공간(세로길이)이 구글 애드센스와 비슷하게 되었다.
- 2022-01-18 : Live v2 버전이 6afb8cfd, 67134905, 3ba014c4 순으로 변경되었다.
- 사용자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달아놓은 최근 댓글 중 아카콘을 달아놓은 댓글의 경우, 어떤 아카콘을 달아놓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아카콘" 옆에 조그마한 아카콘이 달린다.
- 게시물에 댓글을 달 때 창이 갱신되었었으나, 이제는 게시물에 올라온 댓글들이 별도로 갱신되면서 댓글 입력창이 변한다. 새로 댓글을 달 때 댓글창에 색깔 있는 테두리가 생기는 효과가 사라지는 대신, 댓글이 달릴 공간이 갈라지면서 댓글 창이 생기는 동작으로 댓글이 달린다. 다만, 작성 시각은 GMT+0 시간대(KST는 GMT+9이다.)에 맞춰 기록되고 새로고침하기 전까지는 설정된 시간대로 댓글 작성 시각이 바뀌지 않는 점은 자잘한 버그로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 2022-01-17 : Live v2 버전이 f9daba0f 으로 변경되었다.
- 2022-01-16 : Live v2 버전이 a6311189 으로 변경되었다.
- 2022-01-13 : Live v2 버전이 573fb29f, f62dcec9, e2eb353c 순으로 변경되었다.
댓글 작성시 본인이 작성하거나 수정한 댓글, 알람이 있게 만든 이용자의 댓글에는 1회 한정으로 해당 댓글 창 주변에 굵은 테두리가 생긴다.(모바일 기준) 처음에는 노란색이었는데, 파랑으로 변경되었다
- 2022-01-12 : 채널 관리직 중 "국장"의 상징색이 빨강에서 주황으로 변경되었고 "부국장"의 상징색이 평범한 파랑에서 진한 파랑으로 변경되었다. 사측에서 미리 들여놓은 도메인이자 아카라이브로 리다이렉트되는 아카인사이드 도메인(https://arcainside.com)을 보자면, 아카라이브에서 일부 구성은 디시인사이드처럼 꾸밀 기획이 있는 모양인듯 하다.
어어, 딱지 점마들 색깔이 왜 변하노?
- 2022-01-11 이전 : 모바일 한정으로 화면 이동이 딸린 리모콘이 창 오른쪽 아래에 있다. 기존에는 색깔만 흑색 계열이지 모양이 위키와 흡사했었으나, 현재는 동그란 흑색 배경에 일러스트레이션이 있는 모양으로 변경되었다.
[15] 파라과이의 표준시가 GMT-3이므로 대한민국 표준시인 GMT+9로 표시되는 4월 9일 수정시각에서 12시간을 빼면 4월 8일이 되는 까닭에 수정일이 대한민국과 다르게 나온다.[16] 위 순서대로 동일한 운영자 *ㅁㅁ계정이 작성 또는 수정하고 마지막으로 이 공지를 띄웠다. 게시글로 들어가서 수정시각을 터치하면 게시물을 수정한 계정 이름이 나온다.[17] 적어도 1년 반~2년 분량[18] 오히려 나무위키 게시판 같이 타인의 프로필(오 없는 고닉이네요 개꿀 고정닉을 설정하려고 하면 존재하는 고정닉??! 이므로 1000포인트를 쓰고 고정닉 해제 요청을 할지 묻는 창이 나온다. 또한 회원가입시 고정닉 ㅇㅇ으로 닉네임을 설정하고 가입하려고 하면 이미 이 닉네임을 쓰고 있는 사용자가 있다는 오류 창이 나온다.[19] 다만 본인이 작성한 문의 게시판 글은 제목이 무엇인지 떠올릴 수 있다면 찾아서 볼 수 있다.[20] 나무위키의 경우 웹 페이지 아래 Contáctenos를 누르게 되면 mailto:support@namu.wiki 문서(...)로 들어가지는 현상이 있지만 support@namu.wiki 이메일은 권리침해 도움말에서 언급되는 이메일과 같고 아카라이브에서 보내는 이메일의 아이디가 동일하다.[21] 아주 드물게 sponsered 광고는 나온다. 애드센스를 받거나 외주 광고를 받는 용도로 쓰일 수도 있다.[22] 저작권 관련 공지를 수정한 계정과 같은 계정인 별 1개짜리 계정(
https://board.namu.wiki/u/@계정명
)을 열람할 권한이 부족할 때와 같은 Not Found 오류 메세지일 수도 있다. 반고정닉(유동닉)이 아닌 "ㅇㅇ"은 명백히 운영자 소유였는데 ㅇㅇ의 프로필을 보려고 하면 404 에러 메세지가 나오지만 ㅇㅇ으로 *
)으로 되어있다.[23] 그런데 자세히 보면 아카라이브에서 나오는 셀프(...) 스폰서 광고이다.[24] 글의 내용만 보자면 "나무위키 이용자"를 "아카라이브 이용자"로 바꿨고, 후속조치로 채널 하나를 폐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