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CC BY-NC-SA 버튼.svg포크 이용허락 안내

[ 펼치기 · 접기 ]
포크를 위한 이용허락 안내

이 문서의 내용 중 현재 버전 상에서 아래 제시된 아이디의 기여부분에 한정한 모든 내용은 저작자 표시를 하여 CC BY-NC-SA 2.0 (KR or unported)(으)로도 배포할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포크해 오는 것은 이용허락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편집시 다음 아이디 목록에 편집자가 스스로 본인의 아이디를 기입한다면 위의 이용허락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아이디 목록
  • disciple153 (r1~r3 기여분을 포함)

1. 개요2. 기능3. 기본요소
3.1. 채널(게시판)3.2. 닉네임, 그라바타(gravatar)3.3. 수정시각
4. 채널(게시판) 기능
4.1. 관리직4.2. 주요, 인기 게시물4.3. 위키4.4. 채널(게시판) 개설하기4.5. 구독 및 채널(게시판) 등급
5. ♤ 채널(게시판) 운영6. 멘션

1. 개요[편집]

Umanle S.R.L.에서 사용하면서 꾸준히 개발하고 있는 커뮤니티 전용 엔진이다. 버전은 현재 Live v2이나 어느 순간 16진수 해시값[1]이 바꿔지는 것으로 업데이트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엔진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기능[편집]

URL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ive 엔진/URL 및 기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표시 : 관리, 운영과 관련한 부분. (본 문서 및 본 문서의 하위문서들 모두에 적용된다.)

3. 기본요소[편집]

3.1. 채널(게시판)[편집]

  • 채널(게시판)
특정된 주제, 그에 따른 게시판 제목, 그에 맞는 글쓰기, 글에 따른 추천 또는 비추천, 댓글 그리고 대댓글(댓글의 댓글), 그리고 작성시각(시각이 오래되면 작성날짜)과 조회수가 있다.
  • 추천 지수
추천 지수는 정수로 표기된다. 기본값은 0이며, "추천"이 추가되면 1이 증가되고 "비추"가 추가되면 1이 감소된다.
채널 내 설정에 따라 추천/비추천 기능이 비활성될 수 있다.

3.2. 닉네임, 그라바타(gravatar)[편집]

이용자가 글이나 댓글을 비롯한 게시물을 작성하면 작성자가 표시된다. 작성자는 "닉네임", (해당 닉네임이) 고정닉을 판별하는 아이콘, 그라바타 순으로 표기된다.
  • 닉네임
먼저 닉네임은 the seed처럼 일반적으로 영문과 숫자의 조합으로만 생성할 수 있도록 제한되는 것과 달리, 아카라이브에서는 한글을 쓸 수 있다. 초성이나 자음 또는 모음만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가끔 관심종자용으로 긴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도 있다. 의미있는 긴 문구가 아니면 관심종자? 언더바(_ 기호)를 쓸 수 있는데 어떻게 해도 최대 16자까지 가능하다.[2]
  • 고정닉 판별
닉네임이 고정닉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아이콘은 해당 닉네임이 고정 닉네임이면 체크 표시, 고정 닉네임이 아니면 사람 한 명을 의미하는 일러스트레이션 표시로 나온다.
아카라이브의 경우 "고정닉 해제 요청" 기능이 있는데, 1,000포인트를 소비하여 시도해볼 수 있다. 요청이 들어간 상대방이 장기간(7일 동안) 무응답(비로그인) 상태가 된다면 닉네임 고정이 해제되어 고정되었던 닉네임을 차지할 수 있는 모양이다. 한 때 이 기능을 두고 "고닉 쟁탈전"이라고 크게 떠들던 적이 있었다.
  • 그라바타 (gravatar)
그라바타는 더시드엔진 위키에서 사용되는 그라바타와 동일한 형식으로 만들어진다. (알파위키에서는 buma 스킨 때문에 본인 ID의 그라바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확인하려면 "내 정보"에서 스킨을 리버티 스킨으로 바꿔 적용하면 본인 ID의 그라바타를 볼 수 있다.) 더시드엔진 위키 내 본인의 ID와 동일한 닉네임으로 계정을 만들면 더시드엔진 위키와 똑같은 그라바타를 볼 수 있다.[3] 나무위키 관리자 각 ID의 gravatar를 확인해볼 수 있다만, 사칭 행위라면 뒷감당은 스스로가 져야 한다. (예 : @관리자[4])

3.3. 수정시각[편집]

게시된 글을 열람하고 있다면 기본적으로 글의 작성시각을 볼 수 있다. 수정된 글이라면 수정시각까지 볼 수 있는데,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각을 볼 수 있다. 글의 내용을 바꾸지 않았어도 말머리를 바꾸고 저장하는 작업도 수정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수정된 작업이 글쓴이 본인 아닌 다른 이용자가 한 작업이라면 글에서 수정시각을 터치했을 때 수정한 이용자의 닉네임이 표기된다. 본인이 스스로 수정한 글이라면 표기가 되지 않는다. 수정한 이용자가 표시되는 기능으로 본인이 올려놓고 수정하지 않은 글임에도 수정되었다면 누가 권한으로 장난질했는지 따질 수도 있고, 누가 문의 처리를 하고 말머리를 옮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운영자(*ㅎㅎ) 계정으로 작성된 아카라이브 전체 규정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전체 규정을 다른 계정의 운영자가 필요할 때마다 수정하여 업데이트하고 있다. 문의 게시판에는 당연하게 운영자가 수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채널의 공지사항의 경우 글 수정 권한이 있는 이용자가 수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git commit id로 추정된다.[2] 다만 사이트 운영자에 의해 닉네임이 강제로 바르고건전한소환사12345678로 변경되면 17자가 된다.[3] 단, 나무위키 게시판의 그라바타는 위키와 생성방식이 달라서 같은 ID이어도 다르게 나온다.[4] 나무위키에서 wikiadmin1 으로 계정명이 변경되었으나 운영자가 사칭 방지용으로 생성한 다음 점유하고 있는 계정으로 보인다. 운영자가 계정 정리를 하고도 살아남아 있는 것으로 보면 더욱 그럴싸하다.

4. 채널(게시판) 기능[편집]

4.1. 관리직[편집]


채널(게시판)을 관리하는 관리직으로 매니저와 부매니저가 있다. 해당 관리직은 권한이 있는 채널(게시판) 안에서만 유효하다. 또한 해당 채널 안에 게시물이나 댓글 작성으로 닉네임이 표시될 경우, 닉네임 옆의 아이콘이 글이나 댓글을 게시한 사람이 매니저인 경우 주황 배경, 부매니저인 경우 파랑 배경으로 변한다.

아카라이브의 경우 방송국과 채널에서 착안하였는지 매니저를 "국장"으로 부매니저를 "부국장"으로 부른다. 관리직 구성이 디시인사이드와 흡사하면서도 디시인사이드 안에서 쓰이는 색깔이 비슷해서인지 종종 디시인사이드에서 불리는 관용적 표현에 따라 '국장'을 "주딱(지)", '부국장'을 "파딱(지)"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외 권한이 있는 이용자를 두고 "완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시판 용자의 준말인 "게이"라는 표현을 붙여서 "주딱게이" 등으로 호출하기도 한다. 주딱게이랑 논쟁해서 이기면 어느 순간 파래진다고 한다. 어어, 쟤는 왜 파래지냐? 주딱한테 호감 사서 징집당했다 카더라

4.2. 주요, 인기 게시물[편집]

채널 설정에 따라 어느만큼 추천 지수가 된 게시물은 자동으로 "인기글"이 된다. '인기글'의 다른 이름으로는 "개념글"(준말로 "념글")이 된다. 인기글이 되고도 추천을 더 받아서 어느만큼 추천 지수가 쌓이게 되면 사이트 전체에 걸친 베스트글이 되어 베스트글을 모은 게시판 목록에 자동으로 등재가 된다.

아카라이브에서 베스트글(들을 모아놓은 게시판)을 "베스트 라이브"라 부르는데, '베스트 라이브'의 준말로 "베라"라고 부르기도 하며, '베라'에서 역두문자어를 만들어내어 "스킨빈스 (31)"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개념글은 그 당시 추천지수가 달성된 순간부터 목록에 등재되므로 개념글이 되고 비추 폭격을 받으면 추천지수가 마이너스인 념글이 된다. 베스트글이 되고 나서 여러 이용자들에게서 비추 폭격을 받아 마이너스인 베스트글이 나올 수는 있다.[5]

4.3. 위키[편집]

the seed와 비교하여 지원되는 문법이 다른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ive 엔진/the seed와 다른 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채널(게시판)별로 위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사이트 운영자가 요청이나 문의를 검토하고 위키를 열어주거나 닫을 수 있다.

Live v2 엔진에 탑재돠어 있는 기능으로 보인다. 위키로 들어가서 창의 아래쪽을 살펴보면 "the seed" 문구보다는 해당 엔진과 버전이 나타난다. 엔진의 버전은 위키 편집 시스템, 그리고 게시판 이용자의 ID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엮기 위함인지 나무위키 게시판에 사용되는 Live v2의 버전과 다르다.

Umanle S.R.L.에는 the seed 라이선스가 있어서 아카라이브에 the seed의 구성을 연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작 테스트해보면 the seed에서는 동작되지만 아카라이브에서는 동작되지 않는 구문 배열이 존재하고 또 the seed에는 지원이 종료된 구문[6]이 아카라이브에서는 지원이 되어 동작되는 상황을 미루어 보면 the seed는 나무위키까지만 라이선스가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아카라이브에서 따로 구버전 복돌이 엔진을 연구하고 있거나 imitated seed처럼 나무마크 구문으로 작성할 수 있게 설계하고 있을 수 있다. 구문(문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 참고.

구성은 나무위키senkawa 스킨과 비슷하며 입력 구문도 일반적인 the seed의 것과 같은 공통점이 있으나 몇 차이점이 있다.
  1. 스킨의 차이점
    • 글자는 buma 스킨처럼 나무위키보다 크기가 더 큰 글자를 쓴다.
    • 문단 번호, 인용문 등에 쓰인 색상이 나무위키와 다르게 채색도가 다소 떨어진다. 초창기 칼라 텔레비전
    • 문서 편집기에 쓰이는 글꼴은 the seed 엔진 위키에서 비슷비슷하게 쓰이는 고딕체 느낌의
      Gulim(굴림)
      이다.
      그런데 영문 및 기호에 쓰이는 글꼴이 the seed 엔진 위키와는 다르게
      Gulim
      이 아니라 컴퓨터 코딩에 어울리는
      Consolas
      글꼴이다.[mobile]
    • [토론] 탭과 편집 요청이 없다. 그러나 게시물에서 댓글을 여러 개 달아서 이야기할 수 있으니 위키 안에서 토론 탭을 붙이거나 편집 요청을 만들 필요가 없어보인다.
    • [역사] 탭에서 나타나는 저작자는 아카라이브의 계정과 연동되어 닉네임, 채널 관리직 표시에 따라 표시난다. 그라바타는 나오지 않는다.

  1. CCL의 차이점
    • CCL은 CC BY-SA 4.0을 쓰므로 나무위키, 알파위키와 호환되지 않는다.
      [편집 시 안내 문구는 다음과 같다.]
      문서 편집시 편집기에 다음 문구가 출력되며 왼쪽에 동의를 확인하기위한 체크란이 나온다.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이용시 위 문구 아래에 다음 문구가 더 출력된다. (아이피를 이용할 시, 저작자 표기를 위함.)
      [로그인하지 않고] 문서를 [편집]하면 문서의 편집 역사에 [가려지지 않은 전체 IP주소] (xxx.xxx.xxx.xxx)가 기록되며 이에 [동의합니다].

      만약 더시드위키 같이 CCL이 호환되는 곳이면 아카라이브 물리 채널의 위키의 내용을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가져오기를 할 수 있다.
    • 다만 기여자가 위키에 저작권을 주장하기에 앞서 생각해 볼 부분은 있다. 채널위키 아래쪽에는 나무위키와 같이 (CCL은 달라도)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라고 적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카라이브는 위키보다는 커뮤니티 특징이랑 연동되기 때문에 위키 사용자 문서에서 아카라이브 계정의 동일인이라고 연결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기여자 본인의 아카라이브 계정을 사용자 문서에서 링크한다면 사실상 위키에서 개인정보[8]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웬만하면 문서에서 기여자 본인이 위키에서 기여한 부분(기여분)을 아카라이브로 가져오기도 어렵고 아카라이브에서 기여한 부분을 위키로 가져가기도 어려우므로, 하게 된다면 각오(?)를 해야 한다. 어디에서는 쉽게 하지 않겠냐 해도 한 번 연결했다면 외부개입[9] 의혹에 휘말리지 않아야 한다.

  1. ACL 그룹의 차이점.
    • 이름공간에 상관없이 해당 채널(게시판) 위키 전체에 관하여 허용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더시드엔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perm:admin(관리자), perm:grant가 아닌 login[10], assisstant[11], admin[12], superadmin[13] 등의 권한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채널 관리직과 관계가 있는 이용자들 가운데, 현직만 편집할 수 있도록 설정히거나 전직 또는 어느 정도 공헌이 있거나 인가된 이용자가 편집할 수 있게 하는 등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주소는 도메인(arca.live 또는 newliweb.com)에 위키 머릿글자인 "w", 그리고 채널 (또는 게시판) 주소값(슬러그) 순으로 입력한 다음 문서이름을 입력하면 들어갈 수 있다. 대문현관에 해당되는 문서명 기본값은 FrontPage이다.
https://도메인/w/주소값(슬러그)/문서명
주소에 문서명을 입력하지 않고 슬러그까지만 입력하고 들어가면 해당 채널위키의 대문 문서로 이동된다.[14]

나무위키 게시판에도 주소를 입력할 수는 있지만 들어가면 오류문구가 나온다. 이미 위키가 있는데 위키의 게시판 안에 위키를 굳이 만들 일이 없다.

4.4. 채널(게시판) 개설하기[편집]

로그인되어 있다면, 네비게이션 바 오른쪽 끝에 나와있는 본인의 ID를 누르면 고를 수 있는 항목이 나온다. 여기에서 "채널 만들기"를 누르면 개인적으로 채널을 개설할 수 있다. 또는 https://arca.live/u/create_private_board 주소를 입력하고 직접 들어갈 수 있다.[15]

나무위키 게시판에는 같은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게시판 생성이라는 주소로는 들어갈 수 있지만,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누가 해 본 후기 있으면 썰을 풀게 된다?

4.5. 구독 및 채널(게시판) 등급[편집]

채널(게시판)별로 구독이나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알림의 경우 채널에 설정된 말머리별로 알림이 전체글이 올라올 경우에 오게 할지 개념글이 올라올 경우에 오게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처음 채널(게시판)을 생성하게 되면 등급(레벨)이 "개인 채널(개인 게시판)" 등급이 된다. 여기에서 일정 수 이상으로 구독자 수를 만족하면 자동적으로 "공개 채널(공개 게시판)" 등급이 된다.자동 인증된 사용자 물론 문제가 되는 채널은 운영자가 강제로 "개인 채널(개인 게시판)" 등급으로 내릴 수 있다.사측 관리자는 자동 인증된 사용자의 자동 인증을 해제할 수 있다.#[16] '개인 채널(개인 게시판)' 등급으로 내린 채널 목록을 어디 보자면...
이 채널 목록들은 너무나도 위험합니다!
부디 이 문서를 읽고 꼭 살아서 돌아오소서!
[17]

기준 구독자 수는 운영자가 사이트 설정을 변경하면서 변경할 수 있다. 아카라이브의 경우 기존에는 구독자 100명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공개 채널로 바뀌었었으나, 저작권 관련으로 한번 뜨겁게 되고 나서는 운영자가 이용자 몰래 은밀하게 위대하게[18] 구독자 1,000명 이상이 되어야 자동으로 공개 채널이 되도록 상향되었다. 동일 엔진으로 개설된 뉴리웹의 경우 한 예시를 보자면 공개 게시판이 될 기준이 50명[19]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구독자 수를 모을 수 있는 "⚡ 채널 부스트" 기능은 언제 추가될지 미지수이다.

[5] 이미 베스트 라이브에서 추천컷에서 -1을 입력하고 탐색하면 추천지수가 마이너스가 된 게시물을 볼 수 있다.[6] 예 : Base64 구문[mobile] 지금 보고 있는 이 문서를 휴대전화로 열람하게 된다면, 전화기에 굴림, consolas 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휴대전화에서 설정한 글꼴으로 굴림, consolas 글꼴을 대신하여 나올 수 있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카라이브에서는 consolas 글꼴이 나올 수 있다.[8] 사용자 문서 규정 위반 사항. 나무위키 이용약관(Términos de uso)에도 걸리는 모양.[9] 화력지원 포함[10] 예 : 아카라이브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채널의 위키[11] 예 : 아카라이브 사회 채널의 위키[12] 예 : 아카라이브 블루 아카이브 채널의 위키에 admin이 적용되었었다. 현재는 assisstant로 바뀌었다.[13] 전권 권한이 있는 관리직으로 추정[14] 원래는 "문서:(공백)" 문서로 이동하는 주소이다.[15] 비로그인 상태에서 해당 주소로 들어가면 400 Bad Request 오류창을 볼 수 있다.[16] grant가 아니라면 다른 방법으로 auto_verified_member를 제거할 수 있는 모양이다.[17] 백괴사전 패러디[18] 은근슬쩍[19] 애초부터 방문하는 사람 수가 적은 상황에서 50명은 너무 높았다. 물론 딱 한 게시판은 공개 개시판 1호가 되기 직전이었었지만.

5. ♤ 채널(게시판) 운영[편집]

본인이 개설한 채널이 아닌 채널에서는 운영할 권한을 부여받아야 관리할 수있다. 어어 얘 왜 파래지냐? 나무위키의 경우 받은 admin 권한이 있으면 나무위키 게시판의 Live 엔진에 연동되어 게시판 글, 댓글을 관리할 수 있는 모양이다.
  • 글 선택
권한이 있으면 일괄적으로 처리하고자 글 옆에 체크 표시할 수 있는 칸이 생긴다.

6. 멘션[편집]

@Nickname

고정닉인 경우
@Nickname#12345678[20]

고정닉이 아닌 경우
@기호를 이용하여 부르고 싶은 이용자를 막고라[21] 투기장으로 호출한다. 운영 목적으로 쓰이든 친목질이 되든 호출된 이용자에게는 멘션 알림이 나온다.

댓글 1개에 최대 5인까지 호출할 수 있다. 아무래도 무지성으로 많은 닉네임들을 수집하고 댓글 한 번에 묻지마 멘션 테러를 한 사람이 있었던 모양이다.

채널 문의 게시판에서는 채널별로 매니저들 목록에서 매니저를 불러 절대다수 Why I Blocked 문의할 때 멘션 기능을 쓴다.
사이트가 긴급한 상황이 아닌 이상, 사이트 운영진을 멘션하는 행위는 차단되실 수 있습니다.[22]

운영자도 넓은 의미의 이용자들 가운데 하나이므로 이론상 운영자를 멘션할 수는 있다. 이론상. 할 수는 있기는 하다.

특정 조건에서 운영 전용((권한 없음))으로 설정된 글에서 누군가가 멘션해도 멘션한 본인에게 멘션 알림이 온다.
[20] 시즌 1억 번째부터 생성된 닉네임이라면 9자리 숫자가 될 수는 있다. 아카라이브가 계속 살아있기만 한다면
바르고건전한소환사123456789
라는 18자리 닉네임이 나올 수도?
[21] 한 쪽이 끝날 때까지 계속 싸우는 방식. 막고라 채널에서는 박제(상대의 문제를 공개적으로 전시)하거나 막고라 또는 콜로세움 싸움판을 만들고도 역관광 당할 수 있었다. 운영자가 해당 채널을 강제로 닫아놓은 이후 이 막고라 채널과 비슷한 취지로 채널별로 전용 탭을 만들거나 전용 위성채널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22] 나무위키 게시판의 경우라 보자면 게시판에서 "@namu", @wikiadmin1" 등으로 멘션하는 행위. (단, namu의 경우는 렌더링 오류 등 엔진 자체에서 업데이트하다가 문제가 생긴 경우.)


아카라이브(r150 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CCL BY 조항에 따라 아카라이브 문서의 이전 역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