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 포크를 위한 이용허락 안내
이 문서의 내용 중 현재 버전 상에서 아래 제시된 아이디의 기여부분에 한정한 모든 내용은 저작자 표시를 하여 CC BY-NC-SA 2.0 (KR or Unported)(으)로도 배포할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포크해 오는 것은 이용허락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편집시 다음 아이디 목록에 편집자가 스스로 본인의 아이디를 기입한다면 위의 이용허락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간주합니다.아이디 목록- disciple153
1. 개요[편집]
the seed 엔진에 존재하는 URL을 기록하는 문서
도메인 (예 : theseed.io) 뒤에 경로를 입력한다. 대소문자를 정확히 구분하여 입력해야 하며, 한 자라도 잘못 입력하면 404 에러 화면을 열람할 수 있다.
404 에러 없이 접속할 수 있는 경로는 볼드체로 표시.
도메인 (예 : theseed.io) 뒤에 경로를 입력한다. 대소문자를 정확히 구분하여 입력해야 하며, 한 자라도 잘못 입력하면 404 에러 화면을 열람할 수 있다.
404 에러 없이 접속할 수 있는 경로는 볼드체로 표시.
2. 목록[편집]
2.1. 네비게이션 바[편집]
- /RecentChanges : 최근 변경
- ?logtype : 문서를 변경했음을 알려주는 로그들 가운데 특정한 종류에 해당되는 로그를 최신순으로 몇 개 까지만 보여준다. "전체"를 제외하면
사용자 문서
의 변경 로그까지 확인할 수 있다.- =all : 전체
[기본값]
- =create : 문서 생성 (새 문서)
- =delete : 문서 삭제
- =move : 문서 이동
- =revert : 문서 되돌리기
- /RecentDiscuss : 최근 토론
- /NeededPages : 작성이 필요한 문서
- /OrphanedPages : 고립된 문서
- /OrphanedCategories : 고립된 분류
- /UncategorizedPages :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 /OldPages :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 /ShortestPages : 내용이 짧은 문서
- /LongestPages : 내용이 긴 문서
- /BlockHistory : 차단 내역
- /Upload : 파일 올리기
- /License : 라이선스. admin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 방문하게 되면 업데이트 적용시각을 볼 수 있다.
- /random : 임의 문서로 이동
- /RandomPage : 무작위
뽑기로 나온 문서 목록 보기. 새로고침 할 때마다 다시 무작위로 나온다.- ?namespace=네임스페이스 :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 중 하나를 입력하고 해당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문서들 가운데서 목록을
뽑아볼 수 있다. 기본값은문서
네임스페이스이다.시스템
네임스페이스 같이 존재하는 문서 수가 적은 네임스페이스일수록 똑같은 이름의 문서가 중복하여 나올 확률이 높다.
- /Search : 문서 검색
- ? : target, q, namespace 순서대로 정렬된다. 주소에 이들 순서를 바꿔 입력해도 들어갈 수 있다.
- target= : 검색 목표 설정
- target=title_content : 제목/내용
- target=title : 제목
- target=content : 내용
- target=raw : 원문
- q=검색어 : 검색어 내용 검색. "query"의 머릿글자로 보인다.
- namespace=네임스페이스 :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 중 해당 네임스페이스 안에서 검색
2.2. 계정[편집]
- /member
개인 계정에 관한 설정- 계정 접속
- /member/mypage : 내 정보. 이름 보기 및 변경, 이메일 보기 및 변경, 비밀번호 변경, 받은 권한, 사용할 스킨 설정, API Token 발급받기 등이 가능하다.
- /member/change_password : 비밀번호 변경
- /member/change_email : 이메일 변경
- /member/activate_otp : OTP 활성화. 먼저 휴대 전화에 Google Authenticator 앱을 설치해야 한다.
- /member/login : 로그인
- ?redirect=%2Fw%2F문서명 : 해당 문서명 문서를 열람하다가 로그인 창을 열 경우 입력되며, 로그인 성공시 해당 문서명 문서로 이동.
%2F
는 기호/
를 변환한 인코딩(URL encording) 16진수(hex)값이다. - ?redirect=path URL: 문서를 열람하는 도중만이 아니다. 비로그인 상태에서 로그인 시도를 하고자 로그인 창으로 이동할 경우 이전에 방문한 페이지의 URL값이 리다이렉트로 저장된다.%2Fedit%2F문서명
- /member/logout : 로그아웃
- /member/signup_verify : (모바일) 인증
모바일 인증용.
더시드위키, 알파위키, 위브위키에서 해당 주소로 들어가면 404 에러 화면은 나오지 않지만이 기능이 활성화되있지 않습니다.
라는 오류 문구를 볼 수 있다. - /member/withdraw : 계정 삭제
더시드위키[1]에서 해당 주소로 들어가면 404 에러 화면은 나오지 않지만계정 삭제가 비활성화돼 있습니다.
라는 오류 문구를 볼 수 있다.
- 개인 문서 설정
- /member/star/문서명 : 문서명 문서 별찜하기. 별찜을 한 문서라면
already_starred_document
라는 오류 문구를 볼 수 있다. - /member/unstar/문서명 : 문서명 문서 별찜 해제하기. 별찜을 하지 않은 문서라면
already_unstarred_document
라는 오류 문구를 볼 수 있다. - /member/starred_documents : 내 문서함
- /contribution
기여 목록 조회. 들어가려면 고유 UUID를 찾아 입력하고 들어가야 한다. 계정 변경 기능이 있기 이전 시절/contribution/author/계정명/document등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다.- /contribution/UUID/document : 문서 기여 목록
- ?from=Contributuion Index 번호 : 해당 기여 index 번호 이하의 기여 목록 보기. 기여 목록의 [다음] 단추를 누르면 자동으로 붙게 된다. 문서 기여에 index가 이미 붙어 있으니, 생성한 문서마다 이미 index가 붙어있을 것이다.
- ?from=Contributuion Index 번호 : 해당 기여 index 번호 이상의 기여 목록 보기. 기여 목록의 [이전] 단추를 누르면 자동으로 붙게 된다.
- /contribution/UUID/discuss : 토론 기여 목록
- /contribution/UUID/edit_request : 편집요청 기여 목록
- /contribution/ip/IP주소 : IP 이용자의 기여 목록. 특정 UUID의 문서 기여 목록 URL으로 리다이렉트된다.
2.3. 권한[편집]
- /admin
특정 권한에 관한 설정. 권한이 없는 경우권한이 부족합니다
라는 오류 문구를 볼 수 있다.- /admin/grant : grant 권한 필요, 권한 부여 설정
- /admin/login_history : login_history 권한 필요, 사용자 로그인 기록 검색
- /admin/config : config 권한 필요, 위키 설정 변경
- /admin/batch_revert : batch_revert 권한 필요, 사용자의 기여를 일괄 되돌리기.
- /aclgroup : ACL 그룹과 그 안에 들어가 있는 명단을 열람할 수 있다. 일부 ACL는 숨겨져 있어 특정 권한이 있어야 볼 수 있다.
2.4. 문서[편집]
문서 리비전을 나타내는 UUID를 정확히 입력해야 한다. UUID를 잘못 입력하면
해당 리비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라는 오류 문구를 볼 수 있다. 과거 ?rev=리비전번호
, 과거 ?oldrev=리비전번호
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모양이다.- 읽기와 쓰기
- /w/문서명 : 문서명 문서 읽기
- 입력한다면 다음 순서대로 입력해야 한다.
- 다음 목록 중 하나 이상.
- ?uuid=UUID : 이전 UUID에 해당되는 리비전 내용 보기. 물론 해당 리비전이 mark_troll_revision이나 hide_revision 권한으로 숨겨졌으면 볼 수 없다.
- ?from=넘겨준 문서 : 리다이렉트(넘겨주기)한 출발지 문서 이름.
※ ?uuid=UUID&from=넘겨준 문서 주소 또는 ?from=넘겨준 문서&uuid=UUID 를 입력해도 들어갈 수 있다.문서의 특정 리비전으로 리다이렉트를 만드는 이용자가 있을 리는 없다.
- #주소명 : 지정된 이름의 주소로 시점이 이동된다.
- #s-문단번호 : 문서 안에서 해당하는 번호의 문단으로 시점이 이동된다.
s
은 section의 앞글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 #이름 : 입력한 이름과 일치하는 이동지점이 문서 안에 만들어져 있으면 그 곳으로 시점이 이동된다. 기본적으로 문단이름이 있으며, 앵커([anchor(이름)]) 구문(문법)으로 적당한 이름을 넣어 시점을 이동할 수 있는 지점을 만들 수 있다.
- /edit/문서명 : 문서명 문서 편집
- ?section=문단 Index? 번호 : 문서에서 특정 문단 안의 내용을 편집. 편집시 몇 단계 문단인지와 관계 없이 저장되어 있는 내용 가운데 해당되는 문단의 문단 구문(문법)부터 다음 문단 구문(문법)이 나오기 전의 모든 내용을 편집기에 불러온다. 특이하게 문단번호(#s-1.2.3.4.5)가 URL 주소로 나오지 않고 컴퓨터가 문단 구문(문법)을 (몇 단계 문단인지와 상관없이) 읽는 순서에 따른 번호가 URL 주소로 나온다.
개요문단이 있기 전에 아무 문단에도 들어가지 않는 모든 앞의 내용은 ?section=0을 입력하고 들어가면 불러올 수 있고 편집할 수 있다.
- /revert/문서명?uuid=UUID : 문서명 문서를 지정된 UUID에 해당하는 리비전으로 되돌리기.
- /move/문서명 : 문서명 문서 이동하기.
- /new_edit_request/문서명 : 문서명 문서 편집 요청 만들기. 문서 편집 요청 권한이 있으면 문서를 직접 편집할 수 있어도 이 주소를 찾아가서 만들 수 있다. 편집 요청 권한과 편집 권한 둘 다 만족한다면 본인이 편집 요청을 생성하고 본인이 Accept할 수 있으며, 조금씩 편집할 내용을 저장해뒀다가 변경할 내용을 한 번에 모아서 저장할 수 있다. 편집이 잦은 문서에서는 뜻밖의 타 이용자의 편집과 본인이 생성한 편집 요청이 충돌하여 오류[3] 문구를 볼 가능성이 높으므로 편집 권한이 있다면 편집 요청보다는 편집을 이용하자.
- 문서 역사
- /history/문서명 : 문서명 문서 편집 역사 보기.
- ?from=리비전번호 : 해당 리비전번호 이하의 문서 편집 내역 바로가기. 리비전 번호 바로가기 창에서 번호를 입력하고 들어가보면 이 주소가 입력된다.
- ?until=리비전번호 : 해당 리비전번호 이상의 문서 편집 내역 바로가기.
※from=리비전번호1&until=리비전번호2같이 둘 다 입력하고 들어가면 (from
을 무시하고)until
을 적용하는 모양이다.
- /diff/문서명?uuid=UUID : 문서명 문서의 지정된 UUID에 해당하는 리비전의 변경된 내용 비교하기.
- &olduuid=UUID2 : 지정된 UUID2에 해당되는 리비전과 변경된 내용 비교하기. 당연히 비교 대상에 숨겨진 리비전이 있으면 비교를 할 수 없지만, 숨겨지지 않은 리비전끼리는 두 리비전 사이에 숨겨진 리비전이 있다고 하더라도 내용이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비교할 수 있다.
- #document : 문서 ACL 탭 선택시. 문서 편집 ACL을 보게 된다.
- #document.edit : 문서 편집 ACL
- #document.move : 문서 이동 ACL
- #document.delete : 문서 삭제 ACL
- #document.creare_thread : 문서 토론 생성 ACL
- #document.write_thread_comment : 문서 토론 댓글 ACL
- #document.edit_request : 문서 편집 요청 ACL
- #document.acl : 문서 ACL 조정 ACL
- #document.read : 문서 읽기 ACL. 들어갈 수는 있지만 조정되지 않는다.
- #namespace : 이름공간 ACL 탭 선택시. 이름공간 읽기 ACL을 보게 된다.
- #namespace.read : 이름공간 읽기 ACL
- #namespace.edit : 이름공간 편집 ACL
- #namespace.move : 이름공간 이동 ACL
- #namespace.delete : 이름공간 삭제 ACL
- #namespace.creare_thread : 이름공간 토론 생성 ACL
- #namespace.write_thread_comment : 이름공간 토론 댓글 ACL
- #namespace.edit_request : 이름공간 편집 요청 ACL
- #namespace.acl : 이름공간 ACL 조정 A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