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분류
더불어민주당 | ||
슬로건 새로운 마음으로 국민에게 더 가까이 | ||
정당 정보 | ||
영문명 | Democratic Party of Korea | |
약칭 | 민주당, 더민주 | |
창당 | 2014년 3월 26일 | |
이전 당명 | 새정치민주연합 | |
출신 대통령 | 19대 대통령 문재인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 |
당가 | 더더더송 | |
이념 | ||
중앙당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8길 7 (여의도동, 장덕빌딩) | |
당직자 | ||
대표 | ||
원내대표 | ||
최고위원 | 정청래, 고민정, 박찬대, 서영교, 장경태, 서은숙, 송갑석 | |
정책위의장 | 김민석 | |
사무총장 | 조정식 | |
의석수 | ||
국회의원 | 168석 / (56.19%) | |
광역자치단체장 | 5석 / 17석 (29.41%) | |
기초자치단체장 | 63석 / 226석 (27.87%) | |
광역의회의원 | 321석 / 872석 (36.92%) | |
기초의회의원 | 1,384석 / 2,988석 (46.31%) |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2014년 3월 26일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합당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이 창당되었고, 2015년 12월 28일 문재인 당시 대표의 주도로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여 현재의 당명에 이르게 되었다.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선에서 당선된 문재인 후보 가 대통령에 취임하며 집권 여당이 되었으나, 2022년 3월 9일 제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패하면서 5년 만에 국민의힘에 정권을 넘겨줬다. 이어서 2022년 6월 1일에는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 이후 비대위 전원이 사퇴하는 등 혼란을 빚었으며, 6월 10일에는 우상호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다시 꾸렸다.
2022년 8월 28일 제5차 전당대회를 통하여 당대표에 이재명 의원을 선출하고, 최고위원에 득표 순서대로 정청래, 고민정, 박찬대, 서영교, 장경태 의원을 선출, 신임 지도부를 꾸리며 비대위 체제를 마쳤다. 당 대표 지명직 최고위원으로는 부산광역시당위원장 서은숙, 변호사 임선숙을 임명했다.
2023년 3월 24일 지명직 최고위원인 임선숙 변호사가 탕평의 의미로 사의를 표했다. 임선숙 변호사 후임으로는 같은 호남 몫으로 송갑석 의원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선에서 당선된 문재인 후보 가 대통령에 취임하며 집권 여당이 되었으나, 2022년 3월 9일 제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패하면서 5년 만에 국민의힘에 정권을 넘겨줬다. 이어서 2022년 6월 1일에는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 이후 비대위 전원이 사퇴하는 등 혼란을 빚었으며, 6월 10일에는 우상호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다시 꾸렸다.
2022년 8월 28일 제5차 전당대회를 통하여 당대표에 이재명 의원을 선출하고, 최고위원에 득표 순서대로 정청래, 고민정, 박찬대, 서영교, 장경태 의원을 선출, 신임 지도부를 꾸리며 비대위 체제를 마쳤다. 당 대표 지명직 최고위원으로는 부산광역시당위원장 서은숙, 변호사 임선숙을 임명했다.
2023년 3월 24일 지명직 최고위원인 임선숙 변호사가 탕평의 의미로 사의를 표했다. 임선숙 변호사 후임으로는 같은 호남 몫으로 송갑석 의원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3. 성향[편집]
성향에 대해서는 빅 텐트 정당이기에 상당히 넓은 편이며 자유주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내부 주류 분파로는 사회자유주의, 사회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가 있다.
역사적으로 당내 주류이던 친문재인계와 친노무현계 중심으로 중도개혁주의를 따랐던 동교동계 등의 출신 또한 있으며, 범-친문으로 분류되지만 이낙연계나 정세균계 같이 전반적인 친문보다 경제적 자유주의나 자유보수주의에 가까운 온건한 자유주의 성향의 계파도 존재한다.
주류가 된 당내 진보파인 이재명계나 민주화 운동 세력 출신인 민평련들은 전체적으로 볼 때는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경제 분야에 한정해서는 진보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많이 온건한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반면, 박영선 같이 기독교 민주주의적 성향을 보이거나 김진표, 홍의락처럼 온건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김부겸과 김영춘, 양승조, 장정민, 권영세, 박재호, 그리고 진영 등 보수정당 개혁파 출신 자유보수주의나 김회재 등 사회보수주의 성향이 있는 인사도 존재한다. 일부 언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자체가 전반적으로 사회문화 분야에 대하여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보기도 한다. 중앙대학교 교수인 김누리는 더불어민주당의 사회 정책이 독일의 중도우파 정당인 기민당보다 보수적이라고 평가했다.
금태섭으로 대표되는 경제, 문화적 자유주의를 모두 옹호하는 고전적 자유주의 분파 박용진으로 대표되는 민주노동당 등 진보정당 출신 진보주의를 지지하는 분파 또한 존재하나 모두 소수이다.
경제적 자유주의는 당내 진보파인 이재명계에서도 부분적으로 나타날 만큼 당 전반에 걸처 나타나고 있으며 20대 대선 전후에 더욱 강화되었다. 이재명 후보도 20대 대선 기간동안 본인을 "시장주의자" 라고 표현하였으며 정세균, 박용진 등 당내 일부 구성원들은 법인세 인하를 주장하기도 했다. 정당의 강령에서도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당내 주류이던 친문재인계와 친노무현계 중심으로 중도개혁주의를 따랐던 동교동계 등의 출신 또한 있으며, 범-친문으로 분류되지만 이낙연계나 정세균계 같이 전반적인 친문보다 경제적 자유주의나 자유보수주의에 가까운 온건한 자유주의 성향의 계파도 존재한다.
주류가 된 당내 진보파인 이재명계나 민주화 운동 세력 출신인 민평련들은 전체적으로 볼 때는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경제 분야에 한정해서는 진보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많이 온건한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반면, 박영선 같이 기독교 민주주의적 성향을 보이거나 김진표, 홍의락처럼 온건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김부겸과 김영춘, 양승조, 장정민, 권영세, 박재호, 그리고 진영 등 보수정당 개혁파 출신 자유보수주의나 김회재 등 사회보수주의 성향이 있는 인사도 존재한다. 일부 언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자체가 전반적으로 사회문화 분야에 대하여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보기도 한다. 중앙대학교 교수인 김누리는 더불어민주당의 사회 정책이 독일의 중도우파 정당인 기민당보다 보수적이라고 평가했다.
금태섭으로 대표되는 경제, 문화적 자유주의를 모두 옹호하는 고전적 자유주의 분파 박용진으로 대표되는 민주노동당 등 진보정당 출신 진보주의를 지지하는 분파 또한 존재하나 모두 소수이다.
경제적 자유주의는 당내 진보파인 이재명계에서도 부분적으로 나타날 만큼 당 전반에 걸처 나타나고 있으며 20대 대선 전후에 더욱 강화되었다. 이재명 후보도 20대 대선 기간동안 본인을 "시장주의자" 라고 표현하였으며 정세균, 박용진 등 당내 일부 구성원들은 법인세 인하를 주장하기도 했다. 정당의 강령에서도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4. 역대 대표[편집]
더불어민주당 역대 당대표 | |||
대수 | 이름 | 임기 | |
1 | 김한길 안철수 | 2014년 3월 26일 ~ 2014년 7월 31일 | |
임시 | 박영선 문희상 | 2014년 9월 17일 ~ 2015년 2월 8일 | |
2 | 2015년 2월 8일 ~ 2016년 1월 27일 | ||
임시 | 김종인 | 2016년 1월 27일 ~ 2016년 8월 27일 | |
3 | 추미애 | 2016년 8월 27일 ~ 2018년 8월 25일 | |
4 | 이해찬 | 2018년 8월 25일 ~ 2020년 8월 29일 | |
5 | 이낙연 | 2020년 8월 29일 ~ 2021년 3월 9일 | |
임시 | 김태년 도종환 윤호중 | 2021년 3월 9일 ~ 2021년 4월 8일 2021년 4월 8일 ~ 2021년 4월 16일 2021년 4월 16일 ~ 2021년 5월 2일 | |
6 | 송영길 | 2021년 5월 2일 ~ 2022년 3월 10일 | |
임시 | 윤호중 박지현 박홍근 우상호 | 2022년 3월 10일 ~ 2022년 6월 2일 2022년 3월 13일 ~ 2022년 6월 2일 2022년 6월 2일 ~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10일 ~ 2022년 8월 28일 | |
7 | 2022년 8월 28일 ~ 현직 |
5. 본 문서 정보[편집]
- 본 문서에 작성된 일부 내용들은 아래의 자료들로 참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