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좌표|36|15|N|128|45|E|display=title}}
{{대한민국 도 정보
|이름 = 경상북도
|한자 = 慶尙北道
|휘장 = Emblem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vg
|도기 = Flag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vg
|지도 = South Korea-North Gyeongsang.svg
|면적 = 19,031.42
|세대 = 1,227,548
|세대년도 = 2019
|인구 = 2,635,563
|인구년도 = 2021<ref name="pop">{{웹 인용 |제목=2021년 3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인구밀도 = 144.24
|시 = 10
|군 = 13
|도지사 = 이철우 (국민의힘)
|도청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홈페이지 = http://www.gb.go.kr/
|도목 = 느티나무
|도화 = 백일홍
|도조 = 왜가리
|도어 = 홍감펭
}}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으로 전라북도·충청북도, 남쪽으로 대구광역시를 둘러싸며 울산광역시·경상남도와 접하고, 북쪽은 강원도와 경계를 이룬다. 행정구역은 10시 13군이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중 관할 면적이 가장 넓다. 경상북도청 소재지는 안동시 풍천면이다.
고대 서울이었던 경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 유적과 유물이 남아있으며, 신라와 고려시대에 축조된 산성과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있다. 경상북도는 신라시대의 화랑도가 탄생한 곳이자, 고려시대 거란 침입 당시 초조대장경을 보관하던 호국 정신의 중심지였으며, 몽고 침입 당시에는 팔공산을 중심으로 군사적 요충지의 역할을 맡았다. 조선시대에는 선비 문화가 발달한 곳이자 유학의 본고장으로서 43개의 향교를 비롯하여 수많은 유림(儒林)을 양성하였고, 퇴계 이황, 남명 조식, 여헌 장현광, 서애 류성룡, 학봉 김성일 등의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며 영남학파를 형성하였다.
경상북도청 소재지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이며, 도 내 최대도시는 포항시다. 포항시에 환동해지역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대한민국 도 정보
|이름 = 경상북도
|한자 = 慶尙北道
|휘장 = Emblem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vg
|도기 = Flag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vg
|지도 = South Korea-North Gyeongsang.svg
|면적 = 19,031.42
|세대 = 1,227,548
|세대년도 = 2019
|인구 = 2,635,563
|인구년도 = 2021<ref name="pop">{{웹 인용 |제목=2021년 3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인구밀도 = 144.24
|시 = 10
|군 = 13
|도지사 = 이철우 (국민의힘)
|도청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홈페이지 = http://www.gb.go.kr/
|도목 = 느티나무
|도화 = 백일홍
|도조 = 왜가리
|도어 = 홍감펭
}}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으로 전라북도·충청북도, 남쪽으로 대구광역시를 둘러싸며 울산광역시·경상남도와 접하고, 북쪽은 강원도와 경계를 이룬다. 행정구역은 10시 13군이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중 관할 면적이 가장 넓다. 경상북도청 소재지는 안동시 풍천면이다.
고대 서울이었던 경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 유적과 유물이 남아있으며, 신라와 고려시대에 축조된 산성과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있다. 경상북도는 신라시대의 화랑도가 탄생한 곳이자, 고려시대 거란 침입 당시 초조대장경을 보관하던 호국 정신의 중심지였으며, 몽고 침입 당시에는 팔공산을 중심으로 군사적 요충지의 역할을 맡았다. 조선시대에는 선비 문화가 발달한 곳이자 유학의 본고장으로서 43개의 향교를 비롯하여 수많은 유림(儒林)을 양성하였고, 퇴계 이황, 남명 조식, 여헌 장현광, 서애 류성룡, 학봉 김성일 등의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며 영남학파를 형성하였다.
경상북도청 소재지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이며, 도 내 최대도시는 포항시다. 포항시에 환동해지역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1. 역사[편집]
{{본문|경상북도의 역사}}
{{참고|경상도|설명=1896년 이전의 역사는}}
{{참고|경상북도 (일제 강점기)|설명=일제 강점기의 역사는}}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23부제, 23부제 실시.
*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라 부르게 되고 경상북도의 수부(首府)는 대구부에 두었다.<ref>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ref>
* 1914년 3월 1일 아래 표와 같이 부·군을 통폐합하였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5%;"
|-
! width="100" | 부·군 !! 위치 !! 관할 구역
|-
| style="text-align:center;" | 대구부
| style="text-align:center;" | 대구
| 대구부 대구면(신천동, 신암동, 남산동 일부, 신동 일부를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달성군
| style="text-align:center;" | 대구
| 현풍군 일원<br />대구부 동중면, 동하면, 해동촌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해북촌면,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상수남면, 하수남면, 상수서면, 하수서면, 서중면, 원서면, 성서면, 하동면, 하남면, 하서면, 하북면, 감물천면, 조엄면, 인흥면, 화현내면, 월배면, 옥포면, 법화면, 성평곡면, 대구면 중 대구부에 속하지 않는 지역
|-
| style="text-align:center;" | 경산군
| style="text-align:center;" | 경산
| 경산군 일원<br />자인군 일원<br />하양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영천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천
| 영천군 일원<br />신녕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경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경주
| 경주군 일원<br />장기군 내남면, 양남면
|-
| style="text-align:center;" | 영일군
| style="text-align:center;" | 포항
| 연일군 일원<br />흥해군 일원<br />청하군 일원<br />장기군(내남면, 양남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영덕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덕
| 영덕군 일원<br />영해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영양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양
| 영양군 일원<br />진보군 동면, 북면
|-
| style="text-align:center;" | 청송군
| style="text-align:center;" | 청송
| 청송군 일원<br />진보군(동면, 북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안동군
| style="text-align:center;" | 안동
| 안동군 일원<br />예안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의성군
| style="text-align:center;" | 의성
| 의성군 일원<br />비안군(현서면을 제외) 일원<br />용궁군 신하면
|-
| style="text-align:center;" | 군위군
| style="text-align:center;" | 군위
| 의흥군 일원<br />군위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칠곡군
| style="text-align:center;" | 왜관
| 칠곡군 일원<br />인동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김천군
| style="text-align:center;" | 김천
| 김산군 일원<br />지례군 일원<br />개령군 일원<br />성주군 신곡면
|-
| style="text-align:center;" | 상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상주
| 상주군(공서면 웅북리를 제외) 일원<br />함창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예천군
| style="text-align:center;" | 예천
| 용궁군(신하면, 서면을 제외) 일원<br />예천군 일원<br />비안군 현서면
|-
| style="text-align:center;" | 영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천
| 풍기군 일원<br />영천군 일원<br />순흥군(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봉화군
| style="text-align:center;" | 내성
| 봉화군 일원<br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
|-
| style="text-align:center;" | 문경군
| style="text-align:center;" | 문경
| 문경군 일원<br />용궁군 서면
|-
| style="text-align:center;" | 성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성주
| 성주군(신곡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고령군
| style="text-align:center;" | 고령
| 고령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청도군
| style="text-align:center;" | 청도
| 청도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선산군
| style="text-align:center;" | 선산
| 선산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울도군
| style="text-align:center;" | 울도
| 경상남도 울도군 일원
|}
* 1915년 울도군을 울릉도로 개칭하였다.
* 1949년 8월 14일 영일군 포항읍, 김천군 김천읍이 각각 포항부, 김천부로 승격되었고, 김천군을 금릉군으로 개칭하였다.
* 1949년 8월 15일 대구부를 대구시로, 포항부를 포항시로, 김천부를 김천시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개칭하였다.
* 1955년 9월 1일 경주군 경주읍, 내동면이 경주시로 승격되었고, 경주읍, 내동면을 제외한 나머지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 1962년 12월 12일 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 1978년 2월 15일 선산군 구미읍이 구미시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칠곡군 인동면을 구미시로 편입하였다.
* 1980년 4월 1일 영주군 영주읍이 영주시로 승격되었다. 영주읍을 제외한 나머지 영주군은 영풍군으로 개칭되었다.
*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고, 영천군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고산면과 칠곡군 칠곡읍과 달성군 공산면, 성서읍, 월배읍이 대구직할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 1983년 2월 15일 칠곡군 북삼면 오태동이 구미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 1986년 1월 1일 상주군 상주읍이 상주시로, 문경군 점촌읍이 점촌시로 승격되었다.
* 1988년 경상북도의 모든 군에 있는 동을 리로 일괄 개칭하였다.
* 1989년 1월 1일 경산군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월성군을 경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김천시와 금릉군이, 경주시와 경주군이, 안동시와 안동군이, 구미시와 선산군이, 영주시와 영풍군이, 영천시와 영천군이, 상주시와 상주군이, 점촌시와 문경군이(문경시),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로 개편되었다.
* 1995년 3월 1일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다.
* 2008년 6월 8일 경상북도청 이전 예정지가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로 결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 '안동.예천' 결정(종합) |url = 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080608200015009&cp=yonhap |출판사 = 연합뉴스 |날짜 = 2008-06-08}}</ref>
* 2016년 2월 22일 대구광역시 산격동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의 경상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huffingtonpost.kr/2016/02/15/story_n_9234492.html|title=도로망 구축 10조 원, 경북도청 신청사 지역의 위용(사진)|publisher=Huffington Post|date=2016-02-15|accessdate=2016-02-23}}</ref>
{{참고|경상도|설명=1896년 이전의 역사는}}
{{참고|경상북도 (일제 강점기)|설명=일제 강점기의 역사는}}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23부제, 23부제 실시.
*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라 부르게 되고 경상북도의 수부(首府)는 대구부에 두었다.<ref>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ref>
* 1914년 3월 1일 아래 표와 같이 부·군을 통폐합하였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5%;"
|-
! width="100" | 부·군 !! 위치 !! 관할 구역
|-
| style="text-align:center;" | 대구부
| style="text-align:center;" | 대구
| 대구부 대구면(신천동, 신암동, 남산동 일부, 신동 일부를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달성군
| style="text-align:center;" | 대구
| 현풍군 일원<br />대구부 동중면, 동하면, 해동촌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해북촌면,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상수남면, 하수남면, 상수서면, 하수서면, 서중면, 원서면, 성서면, 하동면, 하남면, 하서면, 하북면, 감물천면, 조엄면, 인흥면, 화현내면, 월배면, 옥포면, 법화면, 성평곡면, 대구면 중 대구부에 속하지 않는 지역
|-
| style="text-align:center;" | 경산군
| style="text-align:center;" | 경산
| 경산군 일원<br />자인군 일원<br />하양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영천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천
| 영천군 일원<br />신녕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경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경주
| 경주군 일원<br />장기군 내남면, 양남면
|-
| style="text-align:center;" | 영일군
| style="text-align:center;" | 포항
| 연일군 일원<br />흥해군 일원<br />청하군 일원<br />장기군(내남면, 양남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영덕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덕
| 영덕군 일원<br />영해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영양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양
| 영양군 일원<br />진보군 동면, 북면
|-
| style="text-align:center;" | 청송군
| style="text-align:center;" | 청송
| 청송군 일원<br />진보군(동면, 북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안동군
| style="text-align:center;" | 안동
| 안동군 일원<br />예안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의성군
| style="text-align:center;" | 의성
| 의성군 일원<br />비안군(현서면을 제외) 일원<br />용궁군 신하면
|-
| style="text-align:center;" | 군위군
| style="text-align:center;" | 군위
| 의흥군 일원<br />군위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칠곡군
| style="text-align:center;" | 왜관
| 칠곡군 일원<br />인동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김천군
| style="text-align:center;" | 김천
| 김산군 일원<br />지례군 일원<br />개령군 일원<br />성주군 신곡면
|-
| style="text-align:center;" | 상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상주
| 상주군(공서면 웅북리를 제외) 일원<br />함창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예천군
| style="text-align:center;" | 예천
| 용궁군(신하면, 서면을 제외) 일원<br />예천군 일원<br />비안군 현서면
|-
| style="text-align:center;" | 영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영천
| 풍기군 일원<br />영천군 일원<br />순흥군(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봉화군
| style="text-align:center;" | 내성
| 봉화군 일원<br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
|-
| style="text-align:center;" | 문경군
| style="text-align:center;" | 문경
| 문경군 일원<br />용궁군 서면
|-
| style="text-align:center;" | 성주군
| style="text-align:center;" | 성주
| 성주군(신곡면을 제외)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고령군
| style="text-align:center;" | 고령
| 고령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청도군
| style="text-align:center;" | 청도
| 청도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선산군
| style="text-align:center;" | 선산
| 선산군 일원
|-
| style="text-align:center;" | 울도군
| style="text-align:center;" | 울도
| 경상남도 울도군 일원
|}
* 1915년 울도군을 울릉도로 개칭하였다.
* 1949년 8월 14일 영일군 포항읍, 김천군 김천읍이 각각 포항부, 김천부로 승격되었고, 김천군을 금릉군으로 개칭하였다.
* 1949년 8월 15일 대구부를 대구시로, 포항부를 포항시로, 김천부를 김천시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개칭하였다.
* 1955년 9월 1일 경주군 경주읍, 내동면이 경주시로 승격되었고, 경주읍, 내동면을 제외한 나머지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 1962년 12월 12일 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 1978년 2월 15일 선산군 구미읍이 구미시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칠곡군 인동면을 구미시로 편입하였다.
* 1980년 4월 1일 영주군 영주읍이 영주시로 승격되었다. 영주읍을 제외한 나머지 영주군은 영풍군으로 개칭되었다.
*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고, 영천군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고산면과 칠곡군 칠곡읍과 달성군 공산면, 성서읍, 월배읍이 대구직할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 1983년 2월 15일 칠곡군 북삼면 오태동이 구미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 1986년 1월 1일 상주군 상주읍이 상주시로, 문경군 점촌읍이 점촌시로 승격되었다.
* 1988년 경상북도의 모든 군에 있는 동을 리로 일괄 개칭하였다.
* 1989년 1월 1일 경산군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월성군을 경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김천시와 금릉군이, 경주시와 경주군이, 안동시와 안동군이, 구미시와 선산군이, 영주시와 영풍군이, 영천시와 영천군이, 상주시와 상주군이, 점촌시와 문경군이(문경시),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로 개편되었다.
* 1995년 3월 1일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다.
* 2008년 6월 8일 경상북도청 이전 예정지가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로 결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 '안동.예천' 결정(종합) |url = 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080608200015009&cp=yonhap |출판사 = 연합뉴스 |날짜 = 2008-06-08}}</ref>
* 2016년 2월 22일 대구광역시 산격동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의 경상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huffingtonpost.kr/2016/02/15/story_n_9234492.html|title=도로망 구축 10조 원, 경북도청 신청사 지역의 위용(사진)|publisher=Huffington Post|date=2016-02-15|accessdate=2016-02-23}}</ref>
2. 자연[편집]
2.1. 위치[편집]
2.1.1. 동부 지역[편집]
2.1.2. 중서부 지역[편집]
2.1.3. 남부 지역[편집]
2.1.4. 북부 지역[편집]
2.2. 지질[편집]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경상계 지질구로 한반도에서도 가장 중생대 지층이 넓게 발달되어 있는 지역이며, 이들 지층은 주로 중생대 쥐라기의 극심한 지각변동 후에 형성된 퇴적암층으로 대체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한편 낙동강 하류에는 그 이후에 분출 형성된 화산암층이 곳곳에 분포하여 비교적 장년기적 지세를 나타낸다.
경북의 북부지방인 문경에서 울진에 이르는 일대에는 무연탄과 석회암을 부존(賦存)하고 있는 고생계가 있어 지하자원뿐만 아니라 석회동굴 등의 관광적인 면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영일만 부근에는 한반도에서는 흔하지 않은 삼기층이 분포하여 갈탄을 생산하며 한때 유징(油徵)을 보인 일까지 있다.
동해의 고도인 울릉도와 독도는 제주도와 함께 제3기와 제4기에 용암분출을 한 화산섬이며, 주위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여 절경을 이루고 울릉도의 나리분지는 화구에 해당된다.
경북의 북부지방인 문경에서 울진에 이르는 일대에는 무연탄과 석회암을 부존(賦存)하고 있는 고생계가 있어 지하자원뿐만 아니라 석회동굴 등의 관광적인 면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영일만 부근에는 한반도에서는 흔하지 않은 삼기층이 분포하여 갈탄을 생산하며 한때 유징(油徵)을 보인 일까지 있다.
동해의 고도인 울릉도와 독도는 제주도와 함께 제3기와 제4기에 용암분출을 한 화산섬이며, 주위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여 절경을 이루고 울릉도의 나리분지는 화구에 해당된다.
2.3. 지형[편집]
강원도에서 남하한 태백산맥은 이 지방에 들어서면서 그 지세가 차차 약화되어 낮은 산지로 바뀌어 형산강 지구대 부근에 이르러서는 산발적인 구릉지로 변한다. 한편, 태백산 부근에서 분기된 소백산맥은 소백산(1,421m)·연화봉(1,394m)·도솔봉(1,314m)·문수봉(1,162m)·백화산(1,064m)·속리산(1,057m)·민주지산(1,242m)·가야산(1,430m) 등의 명산과, 죽령(689m)·조령(새재, 642m)·이화령(548m)·추풍령(548m) 등의 큰 재를 만들면서 호남 및 호서지방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산지가 주로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만장년기 지형으로 침식에 저항이 강하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맥을 이룬다.
이 밖에도 전술한 낙동강 하류 일대의 중생대 말기에 분출한 화산암의 팔공산(1,192m)·운문산(1,200m) 등은 침식기간이 짧아 험준한 산세를 나타내고 있다. 낙동강은 본도의 대부분을 유역화하고 있으며 안동·영주·예천·상주·선산 등의 많은 침식분지를 만들고 내성천·반변천·감천·대가천·금호강 등의 많은 지류를 모아 경상남도으로 흘러 들어간다. 형산강은 경주분지와 안강평야를 거쳐 지구대 속을 흘러 영일만으로 유입한다. 한편 굽이 흐르는 낙동강 상류의 하곡 저지와 북·서·동북의 산록면에는 간헐적인 충적지와 작은 구릉이 기복한 침식평야가 분포한다. 해안선은 장기곶을 제외하고는 매우 단조한 편이며 일부에 해안단구(海岸段丘) 곳곳에 사빈해안이 발달하여 임해 휴양지로서도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밖에도 전술한 낙동강 하류 일대의 중생대 말기에 분출한 화산암의 팔공산(1,192m)·운문산(1,200m) 등은 침식기간이 짧아 험준한 산세를 나타내고 있다. 낙동강은 본도의 대부분을 유역화하고 있으며 안동·영주·예천·상주·선산 등의 많은 침식분지를 만들고 내성천·반변천·감천·대가천·금호강 등의 많은 지류를 모아 경상남도으로 흘러 들어간다. 형산강은 경주분지와 안강평야를 거쳐 지구대 속을 흘러 영일만으로 유입한다. 한편 굽이 흐르는 낙동강 상류의 하곡 저지와 북·서·동북의 산록면에는 간헐적인 충적지와 작은 구릉이 기복한 침식평야가 분포한다. 해안선은 장기곶을 제외하고는 매우 단조한 편이며 일부에 해안단구(海岸段丘) 곳곳에 사빈해안이 발달하여 임해 휴양지로서도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2.4. 기후[편집]
경상북도의 대부분 대한민국 남부 내륙형의 기후로서 여름에는 상당히 덥고, 겨울에는 온난하다. 동해안 지방은 해류와 산맥의 영향으로 내륙보다 따뜻하다. 연평균 기온은 11~13도, 1월 평균 기온은 동해안 지방이 0.6~0.8도이고, 영천 등 남부지방은 -1.6~-2.2도, 영주·문경·청송 등 북부 내륙지방은 -4.0~-4.2 로 가장 춥다. 8월 평균 기온은 24.9~26.9도로 남부 내륙은 높고 동해안 지방은 낮은 편이다. 연 강수량은 900~1,100mm로 영천·청송·길안 등 내륙지방이 비가 가장 적고, 영주·경산·청도·고령 등은 1,000~1,100mm이다. 울릉도는 반도부와는 달리 해양성 기후로서 온난 다습하여 연강수량이 1,700mm에 달하며 대한민국 최다우 지역의 하나를 이룬다. 특히 겨울철에 강설량이 많아 눈의 피해가 크며, 가옥구조도 특이하다. 이 섬에는 동백꽃을 비롯하여 해양성 기후의 지표식물인 너도밤나무가 자란다.
3. 행정 구역[편집]
{{본문|경상북도의 행정 구역}}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로 독립 승격되어, 현재 경상북도에는 10개의 시와 13개의 군이 있다. 달성군의 경우 1995년 3월 1일 부로 대구광역시에 이관되었다. 인구는 2,715,085명이고 남녀 성비는 현재 0.99로 여자가 약간 더 많다. 도내 시군별 남녀 성비는 울릉군 (1.11)이 가장 높고, 칠곡군 (1.06), 성주군 (1.04), 고령군 (1.04), 구미시 (1.04), 포항시 (1.03), 경산시 (1.02), 군위군 (1.01), 영천시 (1.01), 경주시 (1.00), 봉화군 (1.00), 영주시 (0.99), 김천시 (0.99), 안동시 (0.98), 예천군 (0.98), 청송군 (0.98), 영양군 (0.97), 문경시 (0.97), 상주시 (0.97), 울진군 (0.97), 의성군 (0.96), 청도군 (0.95), 영덕군 (0.9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파일:Gyeongb-map.png
{|class="wikitable sortable"
|+행정구역 면적 및 인구 통계 (2020기준)<ref name="Gyeongbuk%20area">(2007년) [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A11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5%E4%C1%F6%20%B9%D7%20%B1%E2%C8%C4%20%3E%20%C7%E0%C1%A4%B1%B8%BF%AA 통계작성 기관별 > 경상북도 > 경상북도기본통계 > 토지 및 기후 > 행정구역 > 행정구역] {{웨이백|url=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A11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5%E4%C1%F6%20%B9%D7%20%B1%E2%C8%C4%20%3E%20%C7%E0%C1%A4%B1%B8%BF%AA |date=20200511103131 }} 경상북도청</ref><ref name="Gyeongbuk%20population">(2007년) [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022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0%CE%B1%B8%20%3E%20%BD%C3%B1%BA%BA%B0%20%BC%BC%B4%EB%20%B9%D7%20%C0%CE%B1%B8 통계작성 기관별 > 경상북도 > 경상북도기본통계 > 인구 >... > 시군별 세대 및 인구(주민등록) ] 경상북도청</ref>
!이름 !! 한자 !! 면적 !! 인구 (명) !! 세대
|-
|style="background: #f9f9c9;" | 포항시 || 浦項市 || 1,128 || 503,649 || 218,011
|-
|style="background: #f9f9c9;" | 경주시 || 慶州市 || 1,324 || 253,415 || 116,978
|-
|style="background: #f9f9c9;" | 김천시 || 金泉市 || 1,009 || 140,197 || 64,499
|-
|style="background: #f9f9c9;" | 안동시 || 安東市 || 1,521 || 158,984 || 74,104
|-
|style="background: #f9f9c9;" | 구미시 || 龜尾市 || 616 || 417,679 || 174,438
|-
|style="background: #f9f9c9;" | 영주시 || 榮州市 || 669 || 104,336 || 48,517
|-
|style="background: #f9f9c9;" | 영천시 || 永川市 || 920 || 101,417 ||50,688
|-
|style="background: #f9f9c9;" | 상주시 || 尙州市 || 1,255 || 99,093 || 47,893
|-
|style="background: #f9f9c9;" | 문경시 || 聞慶市 || 911 || 71,325 || 35,003
|-
|style="background: #f9f9c9;" | 경산시 || 慶山市 || 412 || 261,438 || 114,141
|-
|군위군 || 軍威郡 || 614 || 23,655 || 12,797
|-
|의성군 || 義城郡 || 1,176 || 52,154 || 27,769
|-
|청송군 || 靑松郡 || 843 || 25,251 || 13,722
|-
|영양군 || 英陽郡 || 815 || 16,280 || 8,793
|-
|영덕군 || 盈德郡 || 741 || 36,875 || 19,730
|-
|청도군 || 淸道郡 || 697 || 42,608 || 22,210
|-
|고령군 || 高靈郡 || 384 || 32,067 || 16,029
|-
|성주군 || 星州郡 || 616 || 43,655 || 22,643
|-
|칠곡군 || 漆谷郡 || 451 || 115,809 || 51,764
|-
|예천군 || 醴泉郡 || 661 || 54,871 || 26,231
|-
|봉화군 || 奉化郡 || 1,201 || 31,714 || 16,396
|-
|울진군 || 蔚珍郡 || 989 || 48,873 || 24,910
|-
|울릉군 || 鬱陵郡 || 73 || 9,355 || 5,243
|-
! 경상북도 !! 慶尙北道 !! 19,026.06 !! 2,645,240 !! 1,212,509
|}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로 독립 승격되어, 현재 경상북도에는 10개의 시와 13개의 군이 있다. 달성군의 경우 1995년 3월 1일 부로 대구광역시에 이관되었다. 인구는 2,715,085명이고 남녀 성비는 현재 0.99로 여자가 약간 더 많다. 도내 시군별 남녀 성비는 울릉군 (1.11)이 가장 높고, 칠곡군 (1.06), 성주군 (1.04), 고령군 (1.04), 구미시 (1.04), 포항시 (1.03), 경산시 (1.02), 군위군 (1.01), 영천시 (1.01), 경주시 (1.00), 봉화군 (1.00), 영주시 (0.99), 김천시 (0.99), 안동시 (0.98), 예천군 (0.98), 청송군 (0.98), 영양군 (0.97), 문경시 (0.97), 상주시 (0.97), 울진군 (0.97), 의성군 (0.96), 청도군 (0.95), 영덕군 (0.9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파일:Gyeongb-map.png
{|class="wikitable sortable"
|+행정구역 면적 및 인구 통계 (2020기준)<ref name="Gyeongbuk%20area">(2007년) [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A11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5%E4%C1%F6%20%B9%D7%20%B1%E2%C8%C4%20%3E%20%C7%E0%C1%A4%B1%B8%BF%AA 통계작성 기관별 > 경상북도 > 경상북도기본통계 > 토지 및 기후 > 행정구역 > 행정구역] {{웨이백|url=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A11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5%E4%C1%F6%20%B9%D7%20%B1%E2%C8%C4%20%3E%20%C7%E0%C1%A4%B1%B8%BF%AA |date=20200511103131 }} 경상북도청</ref><ref name="Gyeongbuk%20population">(2007년) [http://stat.gb.go.kr/nsiiu/view/stat.do?task=viewStatTbl&act=new&tblid=DT_A00222&orgid=216&path=%C5%EB%B0%E8%C0%DB%BC%BA%20%B1%E2%B0%FC%BA%B0%20%3E%20%B0%E6%BB%F3%BA%CF%B5%B5%20%3E%20%B0%E6%BB%F3%BA%CF%B5%B5%B1%E2%BA%BB%C5%EB%B0%E8%20%3E%20%C0%CE%B1%B8%20%3E%20%BD%C3%B1%BA%BA%B0%20%BC%BC%B4%EB%20%B9%D7%20%C0%CE%B1%B8 통계작성 기관별 > 경상북도 > 경상북도기본통계 > 인구 >... > 시군별 세대 및 인구(주민등록) ] 경상북도청</ref>
!이름 !! 한자 !! 면적 !! 인구 (명) !! 세대
|-
|style="background: #f9f9c9;" | 포항시 || 浦項市 || 1,128 || 503,649 || 218,011
|-
|style="background: #f9f9c9;" | 경주시 || 慶州市 || 1,324 || 253,415 || 116,978
|-
|style="background: #f9f9c9;" | 김천시 || 金泉市 || 1,009 || 140,197 || 64,499
|-
|style="background: #f9f9c9;" | 안동시 || 安東市 || 1,521 || 158,984 || 74,104
|-
|style="background: #f9f9c9;" | 구미시 || 龜尾市 || 616 || 417,679 || 174,438
|-
|style="background: #f9f9c9;" | 영주시 || 榮州市 || 669 || 104,336 || 48,517
|-
|style="background: #f9f9c9;" | 영천시 || 永川市 || 920 || 101,417 ||50,688
|-
|style="background: #f9f9c9;" | 상주시 || 尙州市 || 1,255 || 99,093 || 47,893
|-
|style="background: #f9f9c9;" | 문경시 || 聞慶市 || 911 || 71,325 || 35,003
|-
|style="background: #f9f9c9;" | 경산시 || 慶山市 || 412 || 261,438 || 114,141
|-
|군위군 || 軍威郡 || 614 || 23,655 || 12,797
|-
|의성군 || 義城郡 || 1,176 || 52,154 || 27,769
|-
|청송군 || 靑松郡 || 843 || 25,251 || 13,722
|-
|영양군 || 英陽郡 || 815 || 16,280 || 8,793
|-
|영덕군 || 盈德郡 || 741 || 36,875 || 19,730
|-
|청도군 || 淸道郡 || 697 || 42,608 || 22,210
|-
|고령군 || 高靈郡 || 384 || 32,067 || 16,029
|-
|성주군 || 星州郡 || 616 || 43,655 || 22,643
|-
|칠곡군 || 漆谷郡 || 451 || 115,809 || 51,764
|-
|예천군 || 醴泉郡 || 661 || 54,871 || 26,231
|-
|봉화군 || 奉化郡 || 1,201 || 31,714 || 16,396
|-
|울진군 || 蔚珍郡 || 989 || 48,873 || 24,910
|-
|울릉군 || 鬱陵郡 || 73 || 9,355 || 5,243
|-
! 경상북도 !! 慶尙北道 !! 19,026.06 !! 2,645,240 !! 1,212,509
|}
3.1. 경상북도지사[편집]
{{본문|경상북도지사}}
3.2. 일제 치하 경북[편집]
3.3. 독도[편집]
3.4. 없어진 행정구역[편집]
4. 인구[편집]
4.1. 연도별 인구[편집]
경상북도(에 해당하는 지역, 대구시/달성군 및 대구광역시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ref>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ref><ref>[http://27.101.213.4/index.jsp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ref>
{| class="wikitable"
|-
!연도||총인구||인구그래프||비고
|-
{| class="wikitable"
|-
!연도||총인구||인구그래프||비고
|-
|2,293,285명 | {{새막대|청|229.3}} | 2,471,059명 | {{새막대|청|247.1}} | 2,506,092명 | {{새막대|청|250.6}} | 2,444,295명 | {{새막대|청|244.4}} | 2,661,094명 | {{새막대|청|266.1}} | 3,220,342명 | {{새막대|청|322.0}} | 3,360,859명 | {{새막대|청|336.1}} | 3,847,290명 | {{새막대|청|384.7}} | 4,389,703명 | {{새막대|청|439.0}} | 4,558,186명 | {{새막대|청|455.8}} | 4,855,185명 | {{새막대|청|485.5}} | 4,950,310명 | {{새막대|청|495.0}} | 3,014,712명 | {{새막대|청|301.5}} | 2,861,894명 | {{새막대|청|286.2}} | 2,673,325명 | {{새막대|청|267.3}} | 2,715,835명 | {{새막대|청|271.6}} | 2,594,900명 | {{새막대|청|259.5}} | 2,679,640명 | {{새막대|청|268.0}} | 2,672,528명 | {{새막대|청|267.3}} |
|-
|2,668,403명 | {{새막대|청|266.8}} |
|-
|2,688,586명 | {{새막대|청|268.9}} |
|-
|2,697,104명 | {{새막대|청|269.7}} |
|-
|2,698,263명 | {{새막대|청|269.8}} |
|-
|2,698,306명 | {{새막대|청|269.8}} |
|-
|2,699,275명 | {{새막대|청|269.9}} |
|-
|2,701,160명 | {{새막대|청|270.1}} |
|-
|2,698,803명 | {{새막대|청|269.9}} |
|-
|2,688,747명 | {{새막대|청|268.9}} |
|-
|2,674,005명 | {{새막대|청|267.4}} |
|-
|2,662,508명 | {{새막대|적|266.3}} |
|-
|}
|}
4.2. 연령별 인구[편집]
{| class="wikitable"
|-
!구분||인구<br/>(2010년)||인구<br/>(2013년)||증감치
|- align=center
!유년인구<br/>(0~14세)
|393,326명 || 360,699명 || 감소<br/>(32,627명)
|- align=center
!경제활동인구<br/>(15~64세)
|1,877,736명 || 1,886,324명 || 증가<br/>(8.588명)
|- align=center
!노년인구<br/>(65세 이상)
|418,858명 || 452,417명 || 증가<br/>(33,359명)
|}
|-
!구분||인구<br/>(2010년)||인구<br/>(2013년)||증감치
|- align=center
!유년인구<br/>(0~14세)
|393,326명 || 360,699명 || 감소<br/>(32,627명)
|- align=center
!경제활동인구<br/>(15~64세)
|1,877,736명 || 1,886,324명 || 증가<br/>(8.588명)
|- align=center
!노년인구<br/>(65세 이상)
|418,858명 || 452,417명 || 증가<br/>(33,359명)
|}
5. 교통[편집]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교통이 가장 편리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경부선, 중앙선, 동해선, 대구선, 영동선, 경북선 등의 철도가 경상북도를 지나며 경상북도의 남부에 있는 대구광역시와 포항시(포항역), 경주시(신경주역), 김천시(김천(구미)역) 통한 KTX로 이용도 편리하다.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가 통과한다.
대구광역시의 대구국제공항과 포항시의 포항공항을 통해 항공편도 이용할 수 있다. 포항, 안동은 도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속하고 영주, 김천, 경주, 영천은 철도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 불렸던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등의 내륙 지역은 고속도로가 없었고 도로 사정이 나빴다. 그래서 이곳에서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이후 2016년 12월 26일에 상주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접근성이 편리해졌다.
울릉군은 정기 여객선을 통해 포항시 및 강원도 삼척시 등과 연결된다.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가 통과한다.
대구광역시의 대구국제공항과 포항시의 포항공항을 통해 항공편도 이용할 수 있다. 포항, 안동은 도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속하고 영주, 김천, 경주, 영천은 철도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 불렸던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등의 내륙 지역은 고속도로가 없었고 도로 사정이 나빴다. 그래서 이곳에서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이후 2016년 12월 26일에 상주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접근성이 편리해졌다.
울릉군은 정기 여객선을 통해 포항시 및 강원도 삼척시 등과 연결된다.
6. 스포츠[편집]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style="border-bottom:solid 2px
|- bgcolor="#efefef"
|리그명 || 팀명 || 창단연도 || 홈 경기장
|-
|rowspan="2"|K리그1 || 포항 스틸러스 || 1973년 || 포항스틸야드
|-
|김천 상무 FC || 1984년 || 김천종합운동장
|-
|K3리그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 1945년 || 경주시민운동장
|-
|V-리그 (여)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1970년 || 김천실내체육관
|}
|- style="border-bottom:solid 2px
|- bgcolor="#efefef"
|리그명 || 팀명 || 창단연도 || 홈 경기장
|-
|rowspan="2"|K리그1 || 포항 스틸러스 || 1973년 || 포항스틸야드
|-
|김천 상무 FC || 1984년 || 김천종합운동장
|-
|K3리그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 1945년 || 경주시민운동장
|-
|V-리그 (여)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1970년 || 김천실내체육관
|}
7. 문화[편집]
7.1. 음식[편집]
* 울진, 영덕 대게
울진, 영덕의 대게는 경북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갑각은 나비 13~15 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 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 포항 구룡포 과메기
과메기는 한국 요리 중 하나로, 청어 또는 꽁치를 겨울동안 반건조 시킨 음식이다. 특히 경상북도 지방에서 많이 먹었으며, 그중에서도 청어나 꽁치가 많이 잡히는 포항, 울진, 영덕 등의 지방에서 과메기를 많이 먹었다. 이 중 포항의 구룡포가 가장 유명하다. 대체로 고추장(혹은 초장)에 찍어먹거나 쌈과 함께 싸먹기도 한다.
본래 청어를 이용해 만들었으나 그 수가 줄자 1960년대부터 꽁치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근래에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나 일본 홋카이도 근해에서 잡힌 꽁치를 많이 이용한다.[4] 포항시에서는 매년 향토음식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과메기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 안동찜닭
안동찜닭은 닭과 채소를 이용한 찜류의 요리로서, 경상북도 안동에서 기원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찜닭은 고온에서 조리되기 때문에 지방이 적으며, 기호에 따라 여러가지 재료를 넣을 수 있어 다양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격에 비해 푸짐한 양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노동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안동찜닭은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데, 닭에 함유된 풍부한 단백질과 다양한 채소에 함유된 비타민을 섭취할 수 있다.
* 상주 곶감
상주 곶감은 삼백의 고장 상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특산물로 전국 곶감 생산량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상주시의 대표적인 농산물이다.
* 성주 참외
성주 참외는 경북 성주군의 지리적인 장점인 4대강의 하나인 낙동강을 끼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연안의 넓은 평야와 수자원이 많아 깨끗한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성주 땅은 미사질 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비옥하며, 배수가 양호하여 참외 재배의 적지라고 할 수 있다. 전국 참외 생산량의 70%를 성주 참외가 책임지고 있다.
울진, 영덕의 대게는 경북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갑각은 나비 13~15 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 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 포항 구룡포 과메기
과메기는 한국 요리 중 하나로, 청어 또는 꽁치를 겨울동안 반건조 시킨 음식이다. 특히 경상북도 지방에서 많이 먹었으며, 그중에서도 청어나 꽁치가 많이 잡히는 포항, 울진, 영덕 등의 지방에서 과메기를 많이 먹었다. 이 중 포항의 구룡포가 가장 유명하다. 대체로 고추장(혹은 초장)에 찍어먹거나 쌈과 함께 싸먹기도 한다.
본래 청어를 이용해 만들었으나 그 수가 줄자 1960년대부터 꽁치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근래에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나 일본 홋카이도 근해에서 잡힌 꽁치를 많이 이용한다.[4] 포항시에서는 매년 향토음식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과메기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 안동찜닭
안동찜닭은 닭과 채소를 이용한 찜류의 요리로서, 경상북도 안동에서 기원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찜닭은 고온에서 조리되기 때문에 지방이 적으며, 기호에 따라 여러가지 재료를 넣을 수 있어 다양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격에 비해 푸짐한 양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노동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안동찜닭은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데, 닭에 함유된 풍부한 단백질과 다양한 채소에 함유된 비타민을 섭취할 수 있다.
* 상주 곶감
상주 곶감은 삼백의 고장 상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특산물로 전국 곶감 생산량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상주시의 대표적인 농산물이다.
* 성주 참외
성주 참외는 경북 성주군의 지리적인 장점인 4대강의 하나인 낙동강을 끼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연안의 넓은 평야와 수자원이 많아 깨끗한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성주 땅은 미사질 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비옥하며, 배수가 양호하여 참외 재배의 적지라고 할 수 있다. 전국 참외 생산량의 70%를 성주 참외가 책임지고 있다.
7.2. 축제[편집]
{{본문|틀:경상북도의 축제}}
7.3. 사찰[편집]
7.4. 방언[편집]
경상북도에서는 동남 방언을 사용한다.
7.5. 유네스코 (UNESCO)등록 세계문화유산[편집]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left: 5px; "
|- style="background-color: #cccccc;"
! 이름
! 사진
! 소재지
! 제작시기
! 유네스코 지정번호 (지정일)
! 설명
|-
| 불국사와 석굴암
| 파일:Seokguram Buddha.JPG
| 경상북도 경주시 || 신라시대 || [http://whc.unesco.org/en/list/736 736] (1995년)
| <!설명>
|-
| 경주역사유적지구
| 파일:Bifyu 9.jpg
| 경상북도 경주시 || 신라시대 || [http://whc.unesco.org/en/list/976 976] (2000년)
|<!설명>
|-
| 하회·양동 역사마을
| 파일:Korea-Andong-Hahoe.Village-02.jpg
| 경상북도 안동시<br /> 경상북도 경주시 |||| [http://whc.unesco.org/en/list/1324 1324] (2010년)
| <!설명>
|}
|- style="background-color: #cccccc;"
! 이름
! 사진
! 소재지
! 제작시기
! 유네스코 지정번호 (지정일)
! 설명
|-
| 불국사와 석굴암
| 파일:Seokguram Buddha.JPG
| 경상북도 경주시 || 신라시대 || [http://whc.unesco.org/en/list/736 736] (1995년)
| <!
|-
| 경주역사유적지구
| 파일:Bifyu 9.jpg
| 경상북도 경주시 || 신라시대 || [http://whc.unesco.org/en/list/976 976] (2000년)
|<!
|-
| 하회·양동 역사마을
| 파일:Korea-Andong-Hahoe.Village-02.jpg
| 경상북도 안동시<br /> 경상북도 경주시 |||| [http://whc.unesco.org/en/list/1324 1324] (2010년)
| <!
|}
7.6. 경상북도의 문화재[편집]
7.7. 관광[편집]
7.8. 호텔[편집]
2012년 기준으로 호텔 수는 49개, 객실 수는 4,351개가 있다. 나머지 시군별 지역에 경주시는 호텔 수 13개, 객실 수는 2,097개가 높았다.
8. 역대 도지사[편집]
{{참고|경상북도지사}}
9. 자매 결연[편집]
* {{국기나라|미국}} 오하이오주 (1984년 12월 5일)
* {{국기나라|중국}} 허난성 (1995년 10월 23일)
* {{국기나라|러시아}} 이르쿠츠크주 (1996년 9월 10일)
* {{국기나라|남아프리카 공화국}} 노스웨스트주 (1998년 9월 16일)
* {{국기나라|프랑스}} 알자스 (1999년 4월 27일)
* {{국기나라|터키}} 부르사주 (2001년 3월 19일)
* {{국기나라|베트남}} 타이응우옌성 (2005년 2월 21일)
* {{국기나라|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특별주 (2005년 2월 24일)
* {{국기나라|스페인}} 카스티야이레온 지방 (2005년 11월 8일)
* {{국기나라|중국}} 산시성 (2013년 4월 5일)
* {{국기나라|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2018년 11월 8일)
* {{국기나라|중국}} 후난성 (2018년 11월 29일)
* {{국기나라|중국}} 허난성 (1995년 10월 23일)
* {{국기나라|러시아}} 이르쿠츠크주 (1996년 9월 10일)
* {{국기나라|남아프리카 공화국}} 노스웨스트주 (1998년 9월 16일)
* {{국기나라|프랑스}} 알자스 (1999년 4월 27일)
* {{국기나라|터키}} 부르사주 (2001년 3월 19일)
* {{국기나라|베트남}} 타이응우옌성 (2005년 2월 21일)
* {{국기나라|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특별주 (2005년 2월 24일)
* {{국기나라|스페인}} 카스티야이레온 지방 (2005년 11월 8일)
* {{국기나라|중국}} 산시성 (2013년 4월 5일)
* {{국기나라|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2018년 11월 8일)
* {{국기나라|중국}} 후난성 (2018년 11월 29일)
9.1. 과거 자매 결연[편집]
10. 교육[편집]
{{참고|경상북도교육청}}
10.1. 대학교 · 전문대학[편집]
10.1.1. 안동시[편집]
11. 같이 보기[편집]
* 경상북도청
12. 각주[편집]
{{각주}}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13. 외부 링크[편집]
{{위키공용분류}}
* [http://www.gyeongbuk.go.kr/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전거 통제}}
* [http://www.gyeongbuk.go.kr/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