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世宗特別自治市
Sejong City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png
행정
국가
행정구역
1읍 9면 14동
청사
소재지
한누리대로 2130 (보람동)
면적
465.0㎢[1]
인문
인구
387,774명[2]
인구 밀도
833.81명/㎢[3]
경제
GDP
$115억
1인당
GDP
$29,953
시장
국민의힘 | 최민호
교육감
진보 | 최교진
상징
시화
복숭아꽃
시목
소나무
시조
파랑새
지역번호
044, 041
ISO 3166-2
KR-50
1. 개요2. 상징3. 행정 구역4. 사법•행정기관5. 교통6. 기반시설7. 문화8. 대학교9. 문서 출처

1. 개요[편집]

세종특별자치시는 대한민국의 행정 수도 기능을 하는 특별자치시이다.

2. 상징[편집]

세종특별자치시의 CI
파일:세종특별자치시의 CI.jpg
우리나라 최초 한글도시인 세종특별자치시의 특징을 강조하고 타 도시와 차별화된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의 한글 자모'ㅅ'을 모티브로 표현하였다. 'ㅅ'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거 형태인 기와의 모습으로 표현하여 최적의 환경 인프라에서 시작되는 행복한 생활도시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며, 우리나라의 행복한 내일을 설계하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비전을 담았다. 또한 태극기의 건곤감리를 결합한 형태로 표현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시로서 위상을 강조하였다. 조화와 균형, 생성과 발전을 의미하는 건곤감리처럼 우리나라의 균형 발전을 이끄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역할을 강조하고, 하늘을 향한 처마선은 세계에 모범이 되는 미래지향적인 도시이미지로 완성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슬로건
파일:세종특별자치시의 슬로건.jpg
세종특별자치시의 오늘이 대한민국의 미래가 된다는 의미로, 변화와 혁신의 중심도시로서 미래와 가장 가까운 도시임을 강조한다. 지능형 도시, 국가시범도시 등 대한민국의 미래를 가늠하는 척도이자 정치・행정・경제・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도시의 위상을 표현한다.

3. 행정 구역[편집]

세종특별자치시는 하위 행정구역으로 시·군·구의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는 단층제 광역자치단체로 시의 행정구역은 1읍 9면 13행정동 18법정동 122리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행정 구역
읍•면•동
명칭
조치원읍
연기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한솔동
새롬동
나성동
도담동
해밀동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소담동
반곡동
보람동
대평동
다정동

4. 사법•행정기관[편집]

2012년 7월 1일 출범 당시 인구는 100,700여 명이었고,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지위로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의 성격으로 인하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도 함께 출범하였다.[13] 대전지방법원, 대전지방검찰청 직속 관할 지역으로 그대로 유지되며, 대전지방법원 산하 연기군법원은 세종특별자치시법원으로, 충남지방경찰청 소속 연기경찰서는 세종경찰서로 변경되었다. 2019년 세종지방경찰청이 설치되었다. 2021년 세종남부경찰서가 개청하여 기존 세종경찰서는 세종북부경찰서로 변경되었다.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 세종북부경찰서
  • 세종남부경찰서
  • 정부세종청사경비대
  • 세종특별자치시선거관리위원회
  •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
  • 세종소방서조치원소방서

5. 교통[편집]

도시 내부에 환상형의 순환 도로가 설치될 예정이며, 2012년 9월부터 동일 생활권인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반석역 ~ 행정중심복합도시 ~ 오송역 30.7km에 간선급행버스체계를 운행하고 있다. 대전 유성까지 10분, 청주 흥덕구 오송까지 2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도로망으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환상형 순환 도로망이 구축되고 있다.

BRT 도로 기능을 공유하는 순환 도로망은 행정도시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한두리대교 ~ 정부세종청사 ~ 신도심 북측 환승 터미널 예정지 구간의 구축이 완료된 상태이며, 외곽 순환 도로망은 금남면 용포리 ~ 학나래교 ~ 연기면 연기리 연기교 구간의 구축이 완료된 상태다.

현재 이들 도로망을 중심으로 오송역, 논산천안고속도로 남풍세 나들목과 정안 나들목, 대전광역시 유성구 반석동 노은지구를 연결하는 도로가 신설되었거나 기존 도로가 확장된 상태이며, 2015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연동면과 부강면을 경유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3순환로 석곡 분기점을 연결하는 왕복 4차로 도로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구의 대덕테크노밸리를 연결하는 BRT 연계 왕복 6차로 도로가 추가로 신설될 예정이다.

2017년까지 기존의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6호선 (공주시 연결), 행정중심복합도시 ~ 장군면 ~ 논산천안고속도로 남공주 나들목,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등이 각각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될 예정이며, 금남면과 부강면을 잇는 교량이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오송역 ~ 청주국제공항 연결 도로가 신설되고 국도 제36호선 오송 ~ 경부고속도로 청주 나들목 연결 도로는 6차로로 확장되며 같은 노선의 조치원 ~ 오송 연결 도로는 기존 4차로는 유지한 채 도로 폭을 넓히고 교차로를 개선하는 등 도로가 개선된다.

국토교통부는 대전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간 주요 도로에 전국 최초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C-ITS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로, 자동차가 주행 중 다른 자동차 또는 도로에 설치된 통신장치와 통신하면서 주변 교통상황과 급정거, 낙하물 등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알려준다. 시범사업은 2017년 3월까지 대전~세종 간 고속도로, 국도,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 도시부도로 81km에서 실시된다.

세종특별자치시를 관통하는 고속도로로는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세종 나들목과 남세종 나들목이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남청주 나들목, 논산천안고속도로 남풍세 나들목과 정안 나들목까지 연계 도로망이 구축돼 있다. 또 세종포천고속도로와 아산청주고속도로가 세종특별자치시를 관통할 예정이다.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된 경부선의 철도역은 소정리역, 전의역, 전동역, 서창역, 조치원역, 내판역, 부강역, 매포역의 8개 역이며, 현재 추진 중인 복선 전철 연장 구간이 세종시 북부지역을 지나게 된다. 또한,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 구간으로 경부선 매포역~부강역~내판역~조치원역이 해당된다. 이 구간은 세종시 동부지역인 부강면, 연동면, 조치원읍 일부에 해당한다.

기존의 경부선과 호남선을 활용하여 논산 ~ 계룡 ~ 대전 ~ 조치원 ~ 청주공항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계획되어 있다.

6. 기반시설[편집]

대전광역시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까지 12.7km의 물길공사를 완료하고 상수관로를 연결하여,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종시는 1일 6만 톤의 대전광역시 수돗물을 공급받게 된다.

세종특별자치시 중심을 흐르는 금강 유역에 돛단배를 형상화한 비대칭 사장교인 한누리대교[28]가 개통된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까지 10분 이내로 단축됐으며, 대전의 대형병원, 백화점, 대형마트 등 편의시설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세종시에서는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는 각종 전선과 통신선이 모두 공동구를 통해 지중화(매설)되기 때문에 전봇대 등을 찾아볼 수 없다.

지역 번호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동시에 기존의 충청권 3개 번호[30]와 다른 국번인 044를 사용한다.

7. 문화[편집]

  • 국보
    • 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국보 제106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 보물
  • 세종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보물 제649호
  • 세종 연화사 칠존불비상: 보물 제650호
  • 중요민속문화재
  • 세종 유계화 가옥: 중요민속문화재 제138호
  • 천연기념물
  • 세종 봉산동 향나무: 천연기념물 제321호
  • 시 지정문화재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따라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서 이관된 도지정문화재를 2012년 12월 25일, 시지정문화재로 재지정하여 고시[31]하고, 이후에 추가로 지정 고시하고 있다. 2016년 12월말까지 지정 내역은 유형문화재 13건, 무형문화재 2건, 기념물 11건, 문화재자료 13건 및 향토유적 66건이다.

8. 대학교[편집]

  • 사립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대전가톨릭 대학교
  • 사립전문대학교 : 한국영상대학교

9. 문서 출처[편집]

본 문서에 작성된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위키백과

[1] 2023년 12월 기준[2] 2024년 5월 기준[3] 2024년 4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