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 ||
AFC Asian Cup Qatar 2023™ كأس آسيا 2023 | ||
대회 기간 | ||
개최국 | ||
슬로건 | ||
마스코트 | ||
공인구 | 켈미 보텍스 23 | |
참가팀 | 24개팀 | |
총 경기 | 51경기 | |
경기장 | 알코베이트 스타디움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알투마마 경기장 칼리파 국제경기장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자누브 스타디움 | |
대회 결과 | ||
우승 | 카타르 | |
준우승 | 요르단 | |
수상 | ||
MVP | 아크람 아피프 | |
득점왕 | 메샬 바르샴 | |
이전·이후 대회 | ||
2019년 아랍에미리트 | 2023년 카타르 |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3. 개최국 선정[편집]
대한민국과 중국이 2023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신청한 뒤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이 유치를 구상했지만 철회했으며 대한민국은 2019년 5월 15일에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회 유치 신청을 철회하였다.
그리고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19년 6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 축구 연맹(FIFA) 총회에서 중국을 2023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했지만 2022년 5월 14일 중국 축구 협회는 중국에서 일어난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으로 인하여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 개최 포기를 선언했고 아시아 축구 연맹은 추후 개최국을 다시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가운데 2022년 6월 30일에는 대한축구협회가 기존에 철회했었던 아시안컵 개최 유치 신청서를 AFC에 제출하였다.
이후 아시아 축구 연맹은 대한민국, 호주, 카타르가 2023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신청했다고 밝혔으나 호주는 2022년 9월 2일에 유치를 철회했으며 결국 아시아 축구 연맹은 2022년 10월 17일에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카타르를 2023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결정했다.
그리고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19년 6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 축구 연맹(FIFA) 총회에서 중국을 2023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했지만 2022년 5월 14일 중국 축구 협회는 중국에서 일어난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으로 인하여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 개최 포기를 선언했고 아시아 축구 연맹은 추후 개최국을 다시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가운데 2022년 6월 30일에는 대한축구협회가 기존에 철회했었던 아시안컵 개최 유치 신청서를 AFC에 제출하였다.
이후 아시아 축구 연맹은 대한민국, 호주, 카타르가 2023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신청했다고 밝혔으나 호주는 2022년 9월 2일에 유치를 철회했으며 결국 아시아 축구 연맹은 2022년 10월 17일에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카타르를 2023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결정했다.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2023년 4월 5일, 아시아 축구 연맹은 이 대회를 위한 4개 개최 도시들과 8개 경기장들을 선언하였다.
그중에 2개 경기장은 2011년 AFC 아시안컵에도 경기들을 개최하였다. 압둘라 빈 칼리파 경기장은 이전 대회에서 경기들을 개최하지 않은 유일한 경기장이다.
그중에 2개 경기장은 2011년 AFC 아시안컵에도 경기들을 개최하였다. 압둘라 빈 칼리파 경기장은 이전 대회에서 경기들을 개최하지 않은 유일한 경기장이다.
- 알코르
- 알베이트 스타디움 : 수용인원(68,895명)
- 도하
- 알투마마 경기장 : 수용인원(44,000명)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수용인원(15,000명)
-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 수용인원(9,000명)
- 알라이얀
- 칼리파 국제경기장 : 수용인원(45,857명)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 수용인원(45,032명)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수용인원(44,667명)
- 알와크라
- 알자누브 스타디움 : 수용인원(44,325명)
5. 예선[편집]
동티모르는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12명의 부적격 외국인 선수를 출전시킨 사건에 대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징계 조치에 따라 이 대회 출전도 금지되면서 2026년 FIFA 월드컵 및 2027년 AFC 아시안컵부터 다시 참가가 가능하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이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여 열리기 때문에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지만 AFC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했다.
또한 중국은 원래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개최권을 반납하고 FIFA 월드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한 반면 북한은 코로나19 범유행에 연관된 안전 문제 때문에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도중에 기권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이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여 열리기 때문에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지만 AFC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했다.
또한 중국은 원래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개최권을 반납하고 FIFA 월드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한 반면 북한은 코로나19 범유행에 연관된 안전 문제 때문에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도중에 기권했다.
6. 참가국[편집]
7. 조 편성[편집]
2023년 5월 11일,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의 조추첨이 이루어졌다.
8. 조별 리그[편집]
조별 리그 | ||||
조 | 1위 | 2위 | 3위 | 4위 |
A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B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C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D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E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F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 미정 (0승0무0패) 승점 : 0점 |
9. 결선 토너먼트[편집]
10. 최종 순위[편집]
최종 순위 |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 7 | 우승 | ||||||||
🥈 | 7 | 준우승 | ||||||||
🥉 | 6 | 4강 | ||||||||
4 | 6 | |||||||||
5 | 5 | 8강 | ||||||||
6 | 5 | |||||||||
7 | 5 | |||||||||
8 | 5 | |||||||||
9 | 4 | 16강 | ||||||||
10 | 4 | |||||||||
11 | 4 | |||||||||
12 | 4 | |||||||||
13 | 4 | |||||||||
14 | 4 | |||||||||
15 | 4 | |||||||||
16 | 4 | |||||||||
17 | 3 | 조별리그 | ||||||||
18 | 3 | |||||||||
19 | 3 | |||||||||
20 | 3 | |||||||||
21 | 3 | |||||||||
22 | 3 | |||||||||
23 | 3 | |||||||||
24 | 3 |
11. 우승[편집]
12. 방송사[편집]
- 중동 - BeIN스포츠
- 대한민국 - CJ ENM 계열사 (tvN / tvN SHOW 혹은 tvN SPORTS / TVING)
- 중화인민공화국 - CCTV (중국중앙전시대)